조계종

한국의 불교 |
---|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다. "조계"라는 낱말은 중국 선종 6조인 혜능(慧能)의 별호에서 유래하였다.[1]
조계종이라는 종파 이름이 한국 불교의 역사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고려 때이다. 즉, 신라 때부터 내려온 9산 선문(九山禪門)을 고려 때 합친 것으로,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이 수립한 천태종이 종세(宗勢)를 확장해가자 이에 당시의 선종(禪宗)의 제 분파들이 자극을 받아 합쳐져서 성립된 것이 조계종이다.[1]
조계종이라는 이름이 등장한 것은 고려 시대이지만 선법(禪法)의 전승이라는 관점에서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9산 선문 중 최초로 성립된 산문인 가지산문(迦智山門)의 개조인 도의(道義: fl. 821)국사를 조계종의 초조(初祖), 즉 종조(宗祖)로 여긴다.[2][3][4][5]
대각국사 의천에 의한 천태종의 성립의 영향을 받아 조계종이 성립된 후,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 · 백운(白雲) · 태고국사 보우(普愚: 1301-1382)가 조계종의 종풍(宗風)을 크게 떨쳤다.[1]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보조국사 지눌을 조계종의 중천조(中闡祖: 분명하게 밝힌 조사)로 여기며,[6] 태고국사 보우를 중흥조(中興祖: 중흥시킨 조사)로 여긴다.[7]
이후에는 선종(禪宗)의 여러 교파 중 조계종만이 그 법맥(法脈)을 오래 유지하여 오다가 조선 태종 7년(1407년)에 천태종과 총남종(摠南宗)을 조계종과 통합하여 "선종(禪宗)"이라 이름을 고쳤다.[1]
그 후 1941년에 또다시 "선종(禪宗)"에 교종(敎宗)을 합하여 단일종(單一宗)으로 만들었다.[1] 이때 혜능선사가 있었던 조계산이라는 이름을 빌려다 조계종이라 명명하고, 태고국사 보우(普愚: 1301-1382)를 종조(宗祖)[1] 또는 중흥조(中興祖)[7]로 삼아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함께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귀족사회와 무인정권 > 무인시대의 문화 > 조계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조계종 안내 > 조계종 소개 > 종조 도의국사", 대한불교조계종 사이트. 2011년 3월 13일에 확인.
- ↑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선종 9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선종의 도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의 성립 > 호족의 문화 > 9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조계종 안내 > 조계종 소개 > 중천조 보조국사지눌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사이트. 2011년 3월 13일에 확인.
- ↑ 가 나 "조계종 안내 > 조계종 소개 > 중흥조 원종국사태고보우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사이트. 2011년 3월 13일에 확인.
참고 문헌[편집]
![]() ![]() | ||
---|---|---|
인도 불교 | ![]() | |
일본 불교 | ||
중국 불교 | ||
티베트 불교 | ||
한국 불교 | 신라·고려의 5교《계율종 · 법상종 · 법성종 · 열반종 · 원융종》 · 기타《정토교 · 진언종·신인종·밀교》 | |
|
![]() ![]() | ||
---|---|---|
붓다 | ![]() | |
기본 사상 | ||
세계관 | ||
경전 | ||
부처님 당시 | ||
종파 | ||
수행 | ||
수행 계위 | ||
상가 | ||
역사 | ||
문화 | ||
국가별 | ||
철학 | ||
기타 | ||
비교 종교 | ||
개념 | ||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