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육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도육종(南都六宗)은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710~794)에 헤이조쿄를 중심으로 번창한 다음의 6개의 불교 종파의 총칭으로 나라 불교(奈良仏教)라고도 한다.[1]

겐메이 천황헤이조쿄(平城京: 지금의 나라시)로 천거한 직후부터 도성을 헤이안쿄(平安京: 지금의 교토시)로 옮겨 갈 때까지의 80여 년간(710~794)을 나라 시대라고 한다.[1] 이 시대 중에서 쇼무 천황(재위 724~749)의 시대는 나라 불교의 최고 전성기였다.[1]

일본에 전래된 불교 종파 가운데 나라 시대에 가장 성행한 것은 삼론종법상종이었다.[1] 비록 이후에 화엄종율종의 2종이 전파되었지만, 이 두 종파는 유행한 시기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가장 성행한 유파로 볼 수 없다.[1] 나라 시대에는 불교 제도가 점차 완비되어 승관의 설치, 승위의 수여, 의 품행과 의식주 등에 관한 상세한 규정이 있었다.[1] 불교는 국가를 수호하는 종교로 인정되어 정치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었다.[1]승려정치에 참여하였으며 조정은 승려에 대해 상당한 대우를 해주었다.[1]

형성 배경[편집]

쇼토쿠 태자(574~622) 시대부터 지배계급 가운데에는 불교를 국가 통일의 사상적 기반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1] 이러한 생각은 율령국가의 성립과 더불어 더욱 강렬해졌다.[1]

스이코 천황(재위 593~628) 시대에는 불교의 강학이 거의 한국의 승려들에 의해 전수되었고, 후에 견수사 · 견당사가 나타나고 그들과 함께 유학승들이 활약하면서 중국에서 온 고승도 점차 많아지게 되었다.[1]

쇼무 천황(재위 724~749)은 사회 동요가 심각해지자 불교의 힘을 빌려 사회를 안정시키려고 지방 각지에 을 세웠다.[1] 쇼무 천황은 칙령을 내려 경전을 필사하게 하고 마다 땅을 하사하였다.[1]

나라 시대(奈良時代: 710~794)에는 한국중국에서 온 승려들과 중국으로 유학갔던 승려들이 돌아와 불교를 연구하였다.[1] 그 결과 삼론종 · 성실종 · 법상종 · 구사종 · 화엄종 · 율종의 이른바 남도육종(南都六宗)이 형성되었다.[1] 여기에서 말하는 "종(宗)"이란 불교의 종파나 종단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학파와 유사한 집단을 가리키는 것이다.[1] 나라의 대사원에는 수많은 "종"이 사실상 함께 존재하고, 한 승려가 여러 종을 겸하여 배우거나 연구할 수도 있었다.[1] 특히 독립된 종을 형성할 능력이 없는 성실종구사종은 다른 종과 겸하여 연구되었다.[1] 그리하여 이 두 "종"은 우종(寓宗: 다른 종파에 딸려 있는 종파)이라 불렸다.[1]

삼론종[편집]

남도육종 중에서 가장 먼저 일본에 전파된 것은 삼론종이었다.[1] 625년고구려 승려 혜관원흥사에서 처음으로 삼론종의 강의를 시작하였다.[1] 그러므로 일본에서는 혜관삼론종의 시조로 삼고 있다.[1] 혜관은 일찍 당나라로 들어가 길장으로부터 삼론을 전수받았다.[1]

혜관의 제자는 매우 많았는데, 그들 중에는 당나라에 가서 불법을 연구한 이도 많았다.[1] 복량(福亮)은 본래 중국 오나라 사람으로 일본에 귀화한 후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어 혜관의 문하생이 되었고, 658년에는 《유마경》을 강론하였다.[1]혜관의 제자로 지장(智藏)이 유명하며, 지장에게는 도자(道慈) · 지광(智光) · 예광(禮光)이라는 세 명의 제자가 있었다.[1] 일본삼론종은 이들로부터 흥성하게 되었다.[1]

성실종[편집]

성실종한국중국에서는 매우 성행하였으나, 일본에서는 그다지 유행하지 못하였다.[1] 그러나 덴무 천황 때에 이르러 백제의 승려 도장(道藏)이 일본에 와 일본 성실종의 시조가 된 이후부터 성실종은 활기를 띠게 되었다.[1]

법상종[편집]

삼론종일본에 전파된 지 30여 년이 지나 사이메이 천황(재위 642~645, 655~661) 때에 일본의 승려 도소(道昭)가 법상종을 전파하기 시작하였다.[1] 그는 653년 견당사를 따라 당나라에 건너가 현장에게서 법상종을 배웠다. 당나라에 있는 7년 동안 그는 선종에도 접근하였다.[1] 도소는 죽을 때 화장해 달라고 유언하였는데, 이로부터 일본화장의 풍습이 뿌리내렸다.[1]

658년지통(智通)과 지달(智達) 두 사람이 신라의 배를 타고 당나라에 건너가 현장규기에게서 법상종을 배웠는데 이것이 제2전(傳)이다.[1]

703년에는 지봉(智鳳)과 지웅(智雄) 등의 신라 사람들이 당나라에 들어가 법상종 3대조인 지주(智周)에게 가르침을 받은 후 일본으로 왔다. 이것이 제3전(傳)이다.[1]

이상 세 번의 전래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전래를 남사전(南寺傳) 혹은 원흥사전(元興寺傳)이라 하고, 세 번째 전래는 북사전(北寺傳) 혹은 흥복사전(興福寺傳)이라 칭한다.[1]

그런데 남사(南寺)의 도소 · 지달 아래에는 행기(行基)보살이 있었고, 북사(北寺)의 지봉(智鳳) 승정 아래에는 의연(義淵) 승정이 있었다.[1]

행기는 일찍이 의연에게서도 배운 적이 있는데, 나라 시대법상종의연 이후 교세가 크게 발전되었다.[1] 의연지봉을 스승으로 모시고 후에는 사찰을 개창하며 제자들을 양성하였다.[1] 그는 728년에 입적하였는데, 학덕은 당대 최고에 이르렀다.[1]

의연 문하의 제자 가운데서는 겐보(玄昉)의 명망이 가장 높았다.[1] 겐보717년견당사를 따라 당나라에 가서 지주(智周)에게서 법상종의 교의를 배웠는데, 18년간 당나라에 머무르다 734년에 귀국하여 흥복사에 머물렀다.[1] 737년 쇼무 천황(재위 724~749)은 겐보에게 자색 가사를 하사하였다.[1]

겐보의 제자로는 선주(善珠)가 있었고 행기의 아래에는 승우(勝虞)가 있었는데 각기 남북 양사를 계승하여 전하였다.[1]

화엄종[편집]

736년중국 승려 도선(道璿: 702~760)이 일본으로 왔는데, 그는 (律)을 강술한 동시에 《화엄경》도 강의하였다.[1]

또 당시 화엄종에 정통한 신라 승려 심상(審祥: ?~742)이 일본다이안지(大安寺)에 머무르고 있었다.[1] 때마침 이를 알게 된 일본 승려 양변(良辨)은 화엄종을 융성시킬 목적으로 심상을 청해 《화엄경》의 강술을 청하였다.[1] 이것이 일본 화엄종의 시작이었다.[1] 그러므로 일본 화엄종의 시조는 심상이라 할 수 있다.[1] 도다이지(東大寺)는 화엄종의 근본 도량이었다.[1]

율종[편집]

율종일본에 가장 늦게 전파되었다.[1] 754년 중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감진(鑒眞: 687~763)은 일본에 율종을 전파하였다.[1]

그러나 이보다 앞서 스슌 천황(재위 587~592) 시대에 이미 일본 최초의 승려들이 백제에 가서 수계를 받았다.[1]736년 일본에 온 도선(道璿: 702~760)도 대안사에서 이미 율종을 강론하였다.[1]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