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명
元明
출생1888년 7월 7일[1]
조선 평안도 양덕군
입적1966년 10월 15일(1966-10-15) (향년 78세)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군 표충사
속명이찬형(李燦亨)
경력1941년 송광사 대종사
학력대한제국 백일장 장원(1901년)
平南 平壤 광성고보 수료(1904년)
일본 오사카 제1중학교 졸업(1907년)
平南 평양고보 졸업(1912년)
일본 와세다 大學校 법학과 청강과정 중퇴(1912년)
종파조계종
전직판사(법관) 출신의 변호사
출가1925년 금강산 신계사 출가

학눌(學訥, 1888년 7월 7일(1888-07-07)[2]~1966년 10월 15일(1966-10-15))은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로 속명은 이찬형(李燦亨)이다.

이름과 본관[편집]

속명이찬형(李燦亨). 본관수안(遂安). 법명원명(元明). 법호는 효봉(曉峰), 학눌(學訥).

생애[편집]

청년 시절[편집]

평안도 양덕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평안도 대동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그 후 평안도 평양에서 성장하였으며 1901년 대한제국 조선 황조 백일장에 장원 급제하였다. 그 후 평안남도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를 수료한 이후 1907년 일본 오사카 제1중학교 졸업을 거쳐 1909년 평남 평양고보 입학하였으며 1912년 평양고보 졸업을 한 그는 같은 해(1912년)에 일본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를 입학하였으나 8개월만에 중퇴하였다.[3]

법관 생활 단념과 불교 승려 입문[편집]

1912년 11월, 그렇게 일본 유학을 마친 후 귀국한 그는 이듬해 1913년 3월에 판사가 되어 10년 6개월간의 법관 생활을 하였다. 이때 한 죄수에게 1923년 3월, 사형 선고를 내린 것이 같은 해 6월, 잘못으로 밝혀지자, 과오의 심각성과 양심의 가책과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같은 해(1923년) 9월, 판사 직책까지 사직(판사 사퇴)하면서 2년 남짓 전국을 방랑하다가, 1925년 금강산 신계사로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1929년 순천 송광사에서 불교 최고의 과정인 대교과를 공부하였다. 그 후 상원사 등 여러 절을 돌아다니며 불법을 편 후, 1941년 송광사에서 대종사의 직위를 받았다.

광복 이후와 만년[편집]

8·15 광복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를 전후한 시절에 그는 1947년부터 2년 후 1949년까지 동국대학교 초빙교수 등을 역임함으로써 잠시 대학 교수(불교 교육자)로 활약을 하기도 하였고 1954년 불교 종단 정화 준비위원이 되어 불교 정화 운동에 앞장섰으며, 1956년 네팔에서 개최된 불교도 대회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1958년 대한민국 불교계의 최고 지도자가 되어 여러 파로 갈라져 있는 불교계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사망[편집]

1966년 경상남도 밀양 표충사에서 입적(사망)하였는데, 입적 당시 32개의 사리가 나왔다. 영결식은 서울 조계사에서 조계종단장으로 치러졌고 사리와 정골은 송광사, 표충사, 용화사, 미래사 등지에 나누어 봉안하였다.[4]

주요 경력[편집]

이외 이력[편집]

사후 팩트체크 관련 논란[편집]

최종 학력과 주요 경력에 대한 반론[편집]

서울대학교 로스쿨 한인섭 교수가 제기한 팩트체크에 따르면, 와세다 대학교 중퇴하였다는 것과 판사 경력은 모두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에 관하여 한인섭 교수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5]

(1) 와세다 대학교를 유학하여 법학을 전공하던 중에 끝내 자퇴? 와세다 대학교 명부를 보면 그런 인물이 없다. 당시 일본에서는 타 국가 유학생이 아직 극소수였던지라, 한국인 유학생 출신의 입학 및 퇴학 명단을 보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일본에서 대학 중퇴 후 귀국하여 판사? 1913년 무렵에는, 조선인으로서 시험을 통해 신규 판사(법조인)가 되는 길이 아직 봉쇄되어 있었다.

(3) 최초의 판사? 물론 "최초"라는 글자를 좋아하는 한국인의 취향을 잡아당기는 이야기지만, 1910년 아직 일제 지배의 첫 단계에서, 조선인으로 판사를 하고 있는 사람은 차라리 그대로 판사를 하게라도 해주었다. 따라서 "최초"라는 타이틀은, 누구에게도 쓰기 부적합하다. 하물며, 판사도 아닌데 최초 판사는 될 수가 없다.

(4) 1923년 즈음, 평양복심법원에 이찬형이란 이름의 판사가 없다. 그 시절 아직도 조선인 출신의 판사는 극소했고, 대부분이 일본인 판사였다.

(5) 《친일인명사전》, 《조선총독부관보》에도 이찬형이란 이름의 판사는 없다. 《한국유학생운동사(조도전대학 우리동창회 70년사)》, 《한국법관사》를 모두 다 뒤져봐도 이찬형이라는 이름은 없고, 그런 이름의 판사도 없다.

각주[편집]

  1. 음력 5월 28일
  2. 음력 5월 28일
  3. 참고로 여담이지만 일본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 보통청강과정 중퇴를 한 이종형(李鍾馨) 前 대한민국 무소속 국회의원처럼 학눌 이찬형 그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 청강 과정 중퇴로 사료됨.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학눌 선사가 일본의 와세다 대학교에서 법학과를 자퇴?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