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팔리어: ahetukakiriya-cittāni, ahetuka kiriya cittas, 영어: rootless functional consciousness)[1][2]은 특히 상좌부의 교학과 아비담마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마치 심불상응행법처럼 과거의 업의 결과가 아니고 단지 "작용만 하는", 따라서 그 자체로서는 어떠한 업도 쌓지 않는, 인식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음의 총 3가지의 마음을 말한다.[3][4]

  1. 평온이 함께한 오문전향의 마음
  2. 평온이 함께한 의문전향의 마음
  3. 기쁨이 함께한 미소 짓는 마음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에는 원인 없는, 즉 뿌리가 없는, 즉 3불선근3선근도 없는 마음도 있고, 원인 있는 즉 뿌리가 있는 즉 3선근이 있는 마음(참고로, 작용만 하는 마음 중 3불선근이 있는 마음은 없다)도 있는데 이 3가지의 마음은 전자의 "원인 없는" 마음에 해당한다.[4]

기본적으로, 뿌리(3선근과 3불선근)가 없는 것은 (선업과 악업)을 쌓는 원인이 되지 않고 반대로 뿌리가 있는 것은 업을 쌓는 원인이 된다. 그런데 뿌리가 있으면서 업을 쌓지 않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붓다아라한선한 행위를 할 때 함께하는 마음이다. 붓다나 아라한의 선한 행위는 거기에 3선근이 있지만 후유를 낳을 어떠한 단서 즉 어떠한 갈애도 없기 때문에 그 행위가 끝나면 업을 쌓지 않고 바로 소멸한다.[5][6] 붓다나 아라한의 선하지도 불선하지도 않는 행위는 그 자체가 무기이므로 업을 쌓지 않는다. 붓다나 아라한이 불선한 행위를 하는 경우는 없다. 이런 이유로, 작용만 하는 마음 중에는 3불선근이라는 원인이 있는 마음은 없다.

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오문전향의 마음과 의문전향의 마음[편집]

상좌부아비담마에 따르면 오문전향(五門轉向)의 마음과 의문전향(意門轉向)의 마음은 인식과정에서 필요한 작용만 하는 마음이다. 이 두 마음의 명칭은 '전향(轉向, 팔리어: āvajjana, 영어: adverting)' 이후의 마음의 흐름을 대상으로 향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붙여진 것이다. 오문전향의 마음은 의근 즉 '18계 중 의계'에 속한 유형의 마음이고, 의문전향의 마음은 의식 즉 제6의식 즉 '18계 중 의식계'에 속한 유형의 마음이다. 의근과 의식은 7심계(즉, 크게 보아, 마음)에 속한다.

감각적 대상, 즉, 6경 중 색경(색깔·모양) · 성경(소리) · 향경(냄새) · 미경(맛) · 촉경(감촉)의 5경에 속한 대상인 경우 인식과정에서 오문전향의 마음의문전향의 마음이 둘 다 작용한다. 감각적 대상이 5근 앞에 나타났을 때 오문전향의 마음이 일어나서 이후의 마음의 흐름을 그 감각적 대상으로 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시각적 대상(색경)이 눈(안근) 앞에 나타나면 오문전향의 마음이 일어나서 다음 찰나에 발생할 안식(눈의 알음알이, 시각적 앎)을 그 대상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즉, 인식대상이 감각적 대상인 경우, 인식과정의 이후 단계들 중 하나에서 발생하는 의문전향의 마음은 '의문전향의 마음'이라 불리지 않고 '결정하는 마음'(팔리어: votthapanacitta, 영어: determining consciousness)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즉, 이 인식과정의 이 단계에서 작용하는 의식 즉 제6의식이 대상에 대해 전향의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대체적인 판단을 내리는 작용을 하기에 의문전향의 마음이라 부르지 않고 결정하는 마음이라 부른다.[7][8]

정신적 대상, 즉, 6경법경(존재·현상)에 속한 대상인 경우 인식과정에서 오문전향의 마음은 작용하지 않고 의문전향의 마음만 작용한다. 즉, 정신적 대상이 의근 앞에 나타났을 때 의문전향의 마음(제6의식)이 일어나서 이후의 마음의 흐름을 그 정신적 대상으로 향하게 한다.[7]

인식과정[편집]

오문전향의 마음의문전향의 마음은 새로운 선업(유익한 업)이나 불선업(해로운 업)을 만들지 않고 인식과정에서 작용만 하는 마음이다.

감각적 대상의 인식과정, 즉, 전5식의 대상 즉 색경 · 성경 · 미경 · 향경 · 촉경이 해당하는 근 즉 안근 · 이근 · 비근 · 설근 · 신근 앞에 나타날 때의 인식과정 중 초기 6단계는 아비담마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초기 6단계를 통해 그 감각적 대상을 대략적으로 인식하며, 그 감각적 대상을 세부적으로 명확히 인식하기까지에는 이후 여러 단계가 더 진행된다.[7][8]

  1. 색경(색깔과 모양) 즉 '18계색계'에 속한 한 감각적 대상이 눈(안근) 즉 '18계 중 안계' 앞에 나타난다.
  2. 오문전향의 마음의근 즉 '18계의계'가 일어나서 이후의 마음의 흐름, 즉, 이 경우에는 안식의 흐름이 그 감각적 대상으로 흐르게 한다.
  3. 안식 즉 '안근의 알음알이' 즉 '눈의 알음알이' 즉 '18계안식계'가 감각적 대상을 본다. 즉, 안식이 자신의 본질인 봄 즉 '보는 작용'을 행한다.
  4. 받아들이는 마음의근 즉 '18계 중 의'가 일어나서 바로 앞 단계에서 발생한 식의 대상, 즉, 여기서는 안식의 대상, 즉, 감각적 대상을 받아들인다.
  5. 조사하는 마음의식제6의식 즉 '의근의 알음알이' 즉 '18계의식계'가 일어나서 감각적 대상을 조사한다.
  6. 의문전향의 마음의식제6의식 즉 '의근의 알음알이' 즉 '18계의식계'가 일어나서 그 감각적 대상이 좋은지 나쁜지 결정한다. 이 때의 의문전향의 마음을 다른 이름으로는 결정하는 마음이라고 한다. 즉, 이 단계에서 그 감각적 대상을 대략적으로 알게 된다. 즉, 대략적인 인식이 발생한다. 이 인식과 더불어 이 단계에서 느낌이 고수 · 낙수 · 불고불락수의 3수 중 하나로 확정된다. 또는, 보다 세밀하게는, 고수 · 낙수 · 희수 · 우수 · 사수의 5수 중 하나로 확정된다. 의문전향의 마음 그 자체는 언제나 사수와 함께하지만 이후의 마음은 확정된 느낌과 함께한다.
  7. 이후 그 감각적 대상을 세부적으로 명확히 인식하기까지의 여러 단계가 진행된다.

정신적 대상인식과정, 즉, 정신적 대상의근 즉 '18계의계' 앞에 나타날 때의 초기 2단계는 다음과 같다. 이후 그 정신적 대상을 세부적으로 명확히 인식하기까지에는 여러 단계가 더 진행된다.[7]

  1. 법경 즉 '18계법계'에 속한 한 정신적 대상이 의근 즉 '18계의계' 앞에 나타난다.
  2. 의문전향의 마음의식제6의식 즉 '의근의 알음알이' 즉 '18계의식계'가 일어나서 이후의 마음의 흐름, 즉, 이 경우에는 의식의 흐름 즉 제6의식의 흐름이 그 정신적 대상으로 흐르게 한다. 이 단계에서 느낌이 고수 · 낙수 · 불고불락수의 3수 하나로 확정된다. 보다 정확히는, 고수 · 낙수 · 희수 · 우수 · 사수의 5수 중 정신적 느낌인 희수 · 우수 · 사수 중 하나로 확정된다. 의문전향의 마음 그 자체는 언제나 사수와 함께하지만 이후의 마음은 확정된 느낌과 함께한다.
  3. 이후 그 정신적 대상을 세부적으로 명확히 인식하기까지의 여러 단계가 진행된다.

미소 짓는 마음[편집]

미소 짓는 마음욕계에 존재하는 붓다나 아라한에게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그들이 증득한 깨달음으로 인해 깨달음 이전에는 (苦)와 (集)이였던 욕계의 사물에 의해 더 이상 휘둘리지 않는 상태에 도달함에 따라 욕계의 대상에 대해 즐거운 정신적 느낌[喜受]과 더불어 미소 짓는 마음이다.[9] (참고: 염화미소)

평온과 기쁨[편집]

불교에 따르면, 모든 마음은 반드시 느낌함께한다. (참고: 대지법, 변행심소)

오문전향의 마음은 감각적 대상이 나타났을 때만 일어나는 마음으로, 감각적 대상에 대해 전향의 작용만 하는 마음이기에 평온불고불락수(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와 함께한다.

의문전향의 마음은 감각적 대상의 경우, 판단하는 작용을 하는 마음인데 이 때의 판단이란 대상이 괴로운 것인지, 즐거운 것인지 또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아닌지에 대한 판단이 내려지는 것을 말한다. '판단을 한다'는 것은 이제야 판단한다는 것이므로, 즉, 아직 판단이 내려지기 이전의 상태이므로 평온불고불락수함께한다. 정신적 대상의 경우, 의문전향의 마음은 전향의 작용만 하는 마음이기에 평온불고불락수(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와 함께한다.

미소 짓는 마음은 깨달음을 증득한 붓다나 아라한이 이제는 욕계의 대상을 정신적 괴로움 즉 우수가 아닌 정신적 즐거움과 더불어 미소 짓는 것이므로 정신적 즐거운 느낌 즉 기쁨 즉 희수함께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6.
    §10. Rootless Functional Consciousness (ahetukakiriya-cittāni) — 3
  2. Mehm Tin Mon (2015).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Third edition. Mehm Tay Zar Mon, Mya Mon Yadanar Literature. p.39.
    ROOTLESS FUNCTIONAL CONSCIOUSNESS (Ahetuka Kiriya Cittas)
  3.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6.
    §10. Rootless Functional Consciousness (ahetukakiriya-cittāni) — 3

    16. Upekkhāsahagataṁ pañcadvārāvajjanacittaṁ; tathā
    17. Manodvārāvajjanacittaṁ;
    18. Somanassasahagataṁ hasituppādacittañ cā ti.
    Imāni tīṇi pi ahetukakiriyacittāni nāma.
    Icc’evaṁ sabbathā pi aṭṭhāras’āhetukacittāni samattāni.

    16. Five-sense-door adverting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equanimity; as is
    17. Mind-door adverting consciousness;
    18. Smile-producing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joy.
    These three are the rootless functional types of consciousness.
    Thus end, in all, the eighteen types of rootless consciousness
  4.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p.36~37.
    Guide to §10
    Rootless functional consciousness (ahetukakiriyacittāni): The remaining three types of consciousness among the ahetuka are not karmic results. They belong to the category called “kiriya,” rendered here as “functional” to indicate that they perform tasks that do not have any karmic potency. Such types of consciousness are neither the cause of kamma nor the result of kamma. Within this category, three types of consciousness are rootless (ahetuka), the rest (described later) are with roots (sahetuka).
  5.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43.
    Guide to §15
    Sense-sphere functional consciousness with roots (sahetuka-kāmāvacarakriyācittāni):
    Whereas the eight wholesome sense-sphere cittas arise in worldlings (puthujjana) and trainees (sekha), they do not arise in Buddhas and Arahants, who have transcended the cycle of kamma and future becoming in the realms of rebirth. However, in Buddhas and Arahants, there arise eight types of consciousness that are their exact counterparts. These are called “kriyā” (or “kiriya”),33 or “functional cittas,” because they merely perform their functions without leaving any karmic deposit. Because a Buddha or an Arahant has eradicated all traces of ignorance (avijjā) and craving (taṇhā), the causes of rebirth, there is no way his good actions could generate future results. They merely arise, accomplish some function, and then fall away without residue.
    33 Kiriya (or kriyā) citta, “functional consciousness” or “karmically inoperative consciousness,” is the name for such states of consciousness that are neither karmically wholesome (kusala), nor unwholesome (akusala), nor kamma-results (vipāka); that is, they function independently of kamma. Thus are also called all those worldly mental states in the Arahant that are accompanied by two or three noble roots (non-greed, non-hatred, non-delusion), being karmically neutral in an Arahant and corresponding to the karmically wholesome states of a non-Arahant, as well as the rootless joy-producing (hasituppāda) mindconsciousness- element of an Arahant; further, that mind-element (mano-dhātu)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adverting (āvajjana) to the sense object, and that mind-consciousness element (manoviññāṇa-dhātu)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deciding (votthapana) and adverting to the mental object. The last-named two elements, of course, occur in all beings.
    Together with kamma-resultant consciousness (vipāka), it belongs to the group of “karmically neutral consciousness” (abyākata). Cf. Nyanatiloka, Buddhist Dictionary: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fourth revised edition [1980]), pp. 103—104.
  6. Mehm Tin Mon (2015).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Third edition. Mehm Tay Zar Mon, Mya Mon Yadanar Literature. p.41.
    Mahā-kusala cittas arise when ordinary worldlings (puthujjanas) and noble persons with the exception of arahants perform meritorious deeds such as dāna (alms-giving), sīla (morality) and bhāvanā (meditation).
    Mahā-vipāka cittas are the kamma-results of mahā-kusala cittas of past lives. They function as paṭisandhi-citta (rebirth consciousness), bhavaṅga-citta (life-continuing consciousness) and cuti-citta (death consciousness) in human beings and devas in their present lives.
    Mahā-kiriya cittas arise in arahants when they perform meritorious deeds. Arahants have no attachment to anything. They expect no rewards from their wholesome deeds. So their kiriya-cittas are just functional and will not bear any kamma-results in future lives. Arahants do not have future lives.
  7.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7~38.
    Five-sense-door adverting consciousness (pañcadvārāvajjanacitta): When an external sense object impinges on one of the five physical sense organs, before the appropriate sense consciousness can arise — for example, eye-consciousness seeing a form —, another consciousness must have arisen first. This consciousness is the fivesense- door adverting consciousness (pañcadvārāvajjanacitta), which has the function of adverting (āvajjana)31 to whatever object is presenting itself at one of the five sense doors (dvāra). This consciousness does not see, hear, smell, taste, or touch the object. It simply turns to the object, thereby enabling the sense consciousness to arise in immediate succession.32
    31 This is the turning of the mind towards an object. Āvajjana forms the first stage in the process of consciousness. When an object of the five physical senses is involved, it is called “five-sense-door adverting consciousness” (pañcadvārāvajjanacitta); in the case of a mental object, “mind-door adverting consciousness” (manodvārāvajjanacitta). Cf, Nyanatiloka, Buddhist Dictionary: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fourth revised edition [1980]), pp. 30—31.
    32 A single unit of sense perception (for example, visual consciousness), being conditioned through a sense organ and its corresponding object, forms in reality an extremely complex process, in which all the single phases of consciousness follow one another in rapid succession, perform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for example:
    “As soon as a visible object has entered the range of vision, it acts on the sensitive eye-organ (cakkhu-pasāda), and, conditioned thereby, an excitation of the subconscious stream (bhavanga-sota) takes place.
    “As soon, however, as subconsciousness is broken off, the functional mind element, grasping the object and breaking through the subconscious stream, performs the function of ‘adverting’ (āvajjana) the mind towards the object.
    “Immediately thereupon, there arises at the eye-door, and based upon the sensitive eye-organ, the eye-consciousness,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seeing’ (dassana)…
    “Immediately thereafter, there arises the mind-element, performing the function of ‘receiving’ (sampaṭicchana) the object of that consciousness…
    “Immediately thereafter, there arises…the mind-consciousness element, while ‘investigating’ (santīraṇa) the object received by the mind-element…
    “Immediately thereafter, there arises the functional, rootless mind-consciousness-element, accompanied by indifference,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determining’ (votthapana) the object…
    “Now, if the object is large, then immediately afterwards there flash forth six or seven ‘impulsive moments’ (javana-citta), constituted by one of the eight wholesome (kusala) or twelve unwholesome (akusala) or nine functional (kiriya or kriyā) classes of consciousness.
    “Now, if, at the end of the impulsive moments, the object at the five-sense doors is very large and at the mind-door clear, then there arises, once or twice, one of the eight root-accompanied kamma-resultant classes of consciousness of the sense-sphere, or one of the three rootless kamma-resultant mindconsciousness- elements… Because this consciousness, after the vanishing of the impulsive moments, possesses the faculty continuing with the object of the subconsciousness, taking the object of the subconsciousness as its own object, thereby, it is called ‘registering’ (tadārammaṇa, literally, ‘that object’ or ‘having that as object’).” (Visuddhimagga XIV, 115ff.)
    If, however, the sense-object is weak, then it reaches merely the stage of “impulsion” (javana), or of “determining” (votthapana); if very weak, only an excitation of the subconsciousness takes place.
    The process of the inner, or mind, consciousness, that is, without participation of the five physical senses, is as follows: in the case that the mind-object entering the mind-door is distinct, then it passes through the stages of “adverting at the mind-door” (manodvārāvajjana), “the impulsive stage,” and “the registering stage,” before finally sinking into the subconscious stream. Cf, Nyanatiloka, Buddhist Dictionary: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fourth revised edition [1980]), pp. 227—228.
  8. Mehm Tin Mon (2015).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Third edition. Mehm Tay Zar Mon, Mya Mon Yadanar Literature. pp.37~38.
    IMMORAL RESULTANT CONSCIOUSNESS (Akusala Vipāka Citta)
    The seven akusala vipāka cittas are given the following symbols and names.
    cakkhu      ghāna       kāya        santī
       —    —     —     —     ^     —     —
           sota       jivhā       sampa


    1 Upekkhā-sahagataṁ cakkhuviññāṇaṁ
     eye-consciousness accompanied by neutral feeling.
    2 Upekkhā-sahagataṁ sotaviññāṇaṁ
     ear-consciousness accompanied by neutral feeling.
    3 Upekkhā-sahagataṁ ghānaviññāṇaṁ
     nose-consciousness accompanied by neutral feeling.
    4 Upekkhā-sahagataṁ jivhāviññāṇaṁ
     tongue-consciousness accompanied by neutral feeling.
    5 Dukkha-sahagataṁ kāyaviññāṇaṁ
     body-consciousness accompanied by painful feeling.
    6 Upekkhā-sahagataṁ sampaṭicchana-cittaṁ
     receiving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neutral feeling.
    7 Upekkhā-sahagataṁ santīraṇa-cittaṁ
     investigating-consciousness accompanied by indifference.

    Of the seven cittas mentioned above, the first five are known as pañca-viññāna, i.e., five cittas that are conscious of the five senses. The last two, i.e., sampaṭicchana-citta and santīraṇa-citta, represent two connecting stages in the process of cognition (awareness of an object).
    For example, when a visible object appears in the eye, a series of consciousness has to arise and perish in order to see the object. First pañca-dvārāvajjana (five-door directing consciousness) directs the consciousness stream towards the object. Then cakkhu-viññāṇa (eye consciousness) sees the object and transmits it to the next consciousness.
    Then sampaṭicchana (receiving consciousness) receives the sense object. Then santīraṇa (investigating consciousness) investigates the sense object. Then mano-dvārāvajjana (mind-door directing consciousness) determines the sense object whether it is good or bad. We are aware of the sense object roughly at this stage.
    Similarly, when an audible voice strikes the eardrum, a series of consciousness, i.e., pañca-dvārāvajjana, sotaviññāṇa, sampaṭichana, santīraṇa, mano-dvārāvajjana, etc., has to arise and perish before we can hear the voice.
    Thus sampaṭicchana-citta, santīraṇa citta together with pañca dvārāvajjana citta and mano-dvārāvajjana citta are essential for cognition of the senses at the five sense-doors (eye, ear, nose, tongue and body).

  9.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8.
    Smile-producing consciousness (hasituppādacitta): This is a citta peculiar to Arahants, including Buddhas and Pacceka Buddhas, who are also types of Arahants. Its function is to cause Arahants to smile about sense-sphere phenomena. According to the Abhidhamma, Arahants may smile with one of five cittas — the four beautiful sensesphere functional cittas (see below, §15) and the rootless smile-producing consciousness mentioned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