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국민의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토론 참조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38번째 줄: 38번째 줄:
* [[반공주의]]<ref>{{웹 인용|author=Seo Han-gil |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414/100653535/2 |title= 이준석 "통합당 지도부, 부정선거 의혹 근거 없다 결론" |work=동아일보 |date=14 April 2020 }}</ref>}}
* [[반공주의]]<ref>{{웹 인용|author=Seo Han-gil |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414/100653535/2 |title= 이준석 "통합당 지도부, 부정선거 의혹 근거 없다 결론" |work=동아일보 |date=14 April 2020 }}</ref>}}
|상징색 = {{Color box|#EF426F}} [[분홍|해피 핑크]] (Happy Pink, #EF426F)
|상징색 = {{Color box|#EF426F}} [[분홍|해피 핑크]] (Happy Pink, #EF426F)
|스펙트럼 = [[중도~우익]]<ref>{{웹 인용|url=https://en.yna.co.kr/view/AEN20200224005200315 |title=Three minor parties merge ahead of April elections |quote= Last Monday, the main opposition Liberty Korea Party merged with the New Conservative Party and Forward for Future 4.0 to create the right-wing United Future Party (UFP).|work=[[Yonhap News Agency]]|date=24 February 2020}}</ref><ref>{{웹 인용|url=https://asiatimes.com/2020/04/koreas-right-trapped-in-the-past/ |title= Korea’s right trapped in the past |work=[[Asia Times]]|date=20 April 2020}}</ref>
|스펙트럼 = [[우익]]<ref>{{웹 인용|url=https://en.yna.co.kr/view/AEN20200224005200315 |title=Three minor parties merge ahead of April elections |quote= Last Monday, the main opposition Liberty Korea Party merged with the New Conservative Party and Forward for Future 4.0 to create the right-wing United Future Party (UFP).|work=[[Yonhap News Agency]]|date=24 February 2020}}</ref><ref>{{웹 인용|url=https://asiatimes.com/2020/04/koreas-right-trapped-in-the-past/ |title= Korea’s right trapped in the past |work=[[Asia Times]]|date=20 April 2020}}</ref>~[[극우]]<ref>{{웹 인용|url=http://giview.co.kr/mobile/article.html?no=31644|title=미래통합다의 극우적 주장에 등 돌린 선거|work=경인뷰|date=22 April 2020}}</ref>
|의석1 제목 =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원]]
|의석1 제목 =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원]]
|의석1 수 = 103
|의석1 수 = 103

2020년 7월 23일 (목) 11:37 판

미래통합당
약칭 통합당
영어명 United Future Party
표어
  • 하나된 자유 대한민국의 힘
당가 승리의 길
상징색      해피 핑크 (Happy Pink, #EF426F)
이념
스펙트럼 우익[4][5]~극우[6]
당직자
대표 김종인(비상대책위원장)
원내대표 주호영
정책위의장 이종배
사무총장 김선동
비상대책위원
역사
창당 2020년 2월 17일
선행조직
내부 조직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73, 3층
정책연구소 여의도연구원
청년 조직 미래통합당 청년정치학교
외부 조직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의석
국회의원
103 / 300
광역단체장
3 / 17
기초단체장
57 / 226
광역의원
144 / 824
기초의원
1,005 / 2,926

미래통합당(한국 한자: 未來統合黨, 영어: United Future Party)은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대한민국의 정당이며, 상징색은 분홍색이다. 현재 당대표는 김종인(비상대책위원장)으로, 원내대표는 주호영이다. 2020년 2월 17일, 자유한국당새로운보수당미래를향한전진4.0 등의 정당들이 통합하며 창당되었다.

역사

보수 대통합의 시작

2020년 2월 13일, 자유한국당은 전국위원회를 열고 바른미래당에서 탈당한 유승민계(바른정당계)가 창당한 원내 7석의 새로운보수당, 이언주 의원이 창당한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을 의결하였다. 2월 16일에는 새로운보수당 통합신당준비위원회 측과 신당을 추진했던 국민의당에서 비상대책위원 등을 지낸 ‘브랜드뉴파티’ 조성은 대표, 청년정당을 표방하며 창당준비위원회 활동을 이어온 ‘같이오름’ 김재섭 대표, ‘젊은보수’ 천하람 대표 등 중도·보수 정당들이 합류를 선언하였다. 드디어 2월 17일, ‘2020 국민 앞에 하나’라는 슬로건과 법치를 바탕으로 한 공정한 사회 구현, 삶의 질 선진화, 북핵 위협 억제와 안보 우선 복합외교,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교육백년대계 확립, 민간주도·미래기술주도 경제 발전정강 정책을 발표하며 미래통합당이 공식 출범하였다. 보수진영에서 1997년 한나라당 출범 이후 23년 만의 신설 합당이다.[7][8][9] 공식적으로 113석의 원내정당으로 출범하였다. 여기에 위성 정당인 미래한국당 (5석)을 포함하면 총 118석이 된다. 당초 정당색으로 자유한국당이 2019년 6월부터 중도층과 젊은 세대를 아우르는 차원에서 밀레니엄 핑크황교안 대표 취임 100일을 맞아 공개한 에세이집 《밤이 깊어 먼 길을 나섰습니다》의 표지와 싱크탱크여의도연구원의 홈페이지 배경색과 명함에 사용했었고, 이후 상징색은 같은 분홍색 계열의 해피 핑크가 확정되었다.[10]

21대 총선 사상 최악의 대참패

2020년 4월 15일 제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은 지역구 84석과 위성정당미래한국당의 비례대표 19석을 얻으며 총 103석을 획득하였다. 국민의당 3석, 무소속 4석 등 범야권으로 분류되는 의석수는 110석이다.[11] 이는 100석인 개헌저지선을 겨우 확보한 것은 물론,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는 참패했던 지난 총선보다도 못한 몰락에 가까운 패배를 기록한 것이다.[12] 반대로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63석, 더불어시민당은 비례대표 17석을 흭득하여 총 180석을 차지했으며 여기에 정의당 6석, 열린민주당 3석, 무소속 1석을 합하면, 범여권이 190석을 기록함으로서 민주당은 전체 의석의 65%에 달하는 초대형 범여 정당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11] 이에 대해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솔직히 아쉽지만 꼭 필요한 만큼이라도 표를 주신 것에 감사드린다. 정부 여당을 견제할 작은 힘이나마 남겨주셨다."며 "야당도 변화하라는 명령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13] 황교안 대표는 개표가 진행 중이던 오후 11시 45분에 긴급 기자회견을 자청해 “약속한 대로 총선 결과에 책임을 지고 모든 당직을 내려놓겠다.”고 발표하였다. 다만, “지금 대한민국 정부에는 브레이크가 필요하다.”며 “나라와 국민을 위해 인내를 가지고 미래통합당에 기회를 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14] 결국 미래통합당은 당장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졌다.[15]

긍정적 평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탈북자 출신 첫 지역구, 비례대표 국회의원과[16] 시각장애인 여성 국회의원을 탄생시켰다. 또한 미래한국당의 이용 당선인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비인기종목 신화'를 낳은 봅슬레이·스켈레톤 국가대표팀의 감독 출신으로 주목을 받았다.[17][18] BBC태구민 전 영국 주재 북한공사의 국회의원 당선을 "놀라운 승리"라고 표현하며 목숨을 걸고 대한민국에 망명한 탈북민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주었다고 평가했다.[19] NBC도 미래통합당이 지난 20년 동안 대한민국으로 탈북한 300여만 명이 넘는 탈북민들에게 희망을 보여줬다고 평가하였다.[20]

부정적 평가

진중권 전 교수는 4월 15일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 사회의 주류가 산업화 세력에서 민주화 세력으로 교체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21] 김근식 송파병 후보는 SNS를 통해 "친박 비박도 정리하고 중도도 통합하는 나름의 노력을 했는데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보다 더 참담하게 패배할 정도로 미운 것이냐?"고 반문하며 "이건 정당한 평가가 아닐 수 있다. 그저 밉고 싫은 이미지와 정서가 고착된 듯하다."고 생각을 밝혔다.[22] 유승민 의원도 “국민의 선택을 무거운 마음으로 받아들겠다. 저희들이 크게 부족했음을 뼈저리게 깨달았다. 보수의 책임과 품격을 지키지 못했다.”며 “백지 위에 새로운 정신, 새로운 가치를 찾아 보수를 재건하겠다.”고 밝혔다.[15]

역대 지도부

당대표

대수 대표 직함 임기 비고
1 황교안 당대표 2020년 2월 17일 ~ 2020년 4월 15일
(임시) 심재철 당대표권한대행 2020년 4월 16일 ~ 2020년 5월 8일 [23]
(임시) 주호영 당대표권한대행 2020년 5월 8일 ~ 2020년 5월 26일
(임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2020년 5월 27일 ~ 현재

원내대표

대수 원내대표 임기
1 심재철 2020년 2월 17일 ~ 2020년 5월 8일
2 주호영 2020년 5월 8일 ~

통합추진위원회

2020년 1월 14일 ~ 2020년 2월 5일
  • 정치권(6인) : 김상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이양수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정운천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지상욱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송근존 전진당 창당준비위원회 통합추진위원장, 정경모 국민소리당 창당준비위원회 부위원장
  • 시민단체 (6인) : 이갑산 범시민사회단체연합 상임대표, 박인환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 박상덕 원자력국민연대 공동대표, 김근식 경남대 교수, 신용한 서원대 석좌교수, 김은혜 MBN 앵커·특임이사, 안형환 국민통합연대 사무총장 (前 한나라당 의원)

창당준비위원회

2020년 2월 6일 ~ 2020년 2월 17일

초대 지도부

2020년 2월 17일 ~ 2020년 5월 26일

비상대책위원회

2020년 5월 27일 ~ 2021년 4월 7일

역대 선거 기록

국회의원 선거

연도 선거 지역구 비례대표 정원
당선 당선비율 당선 득표율 당선 당선비율
2020년 21대 84/253
33.2%
19/47
33.84%
103/300
34.33%

각주

  1. “Ex-North Korean Diplomat Runs for South Korean Parliament”. 
  2. Song Chang-Sik (2020년 4월 9일). “오세훈-고민정 이어 이동섭-우원식도 동성애 혐오 발언”. 《미디어스》. 
  3. Seo Han-gil (2020년 4월 14일). “이준석 "통합당 지도부, 부정선거 의혹 근거 없다 결론". 《동아일보》. 
  4. “Three minor parties merge ahead of April elections”. 《Yonhap News Agency》. 2020년 2월 24일. Last Monday, the main opposition Liberty Korea Party merged with the New Conservative Party and Forward for Future 4.0 to create the right-wing United Future Party (UFP). 
  5. “Korea’s right trapped in the past”. 《Asia Times》. 2020년 4월 20일. 
  6. “미래통합다의 극우적 주장에 등 돌린 선거”. 《경인뷰》. 2020년 4월 22일. 
  7. 홍정규 이은정 (2020년 2월 13일). “중도보수 통합신당 '미래통합당'…115석 제1야당으로 17일 출범(종합3보)”. 《연합뉴스. 2020년 2월 13일에 확인함. 
  8. ‘브랜드뉴파티’ 등 3개 청년정당, 미래통합당 합류 중앙일보 2020년 2월 16일
  9. 23년 만에 보수 재결집 118석 ‘미래통합당’ 공식 출범 동아일보 2020년 2월 17일
  10. 황교안, 당대표 취임 100일...31세 청년과 에세이집 출간 조선일보 2019년 6월 2일
  11. 김아진 기자 (2020년 4월 16일). “정치 지형 완전히 변했다... 범여 190석, 범야 110석”. 《조선일보》.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12. “文정권 실정 아무리 커도, 민심은 통합당을 안 찍었다”. 《조선일보》. 2020년 4월 16일.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13. 최경운 기자 (2020년 4월 16일). “김종인 "통합당, 변화 모자랐고 자세 갖추지 못했다". 《조선일보》.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14. 이원주 기자 (2020년 4월 15일). “황교안 “결과에 책임지고 모든 당직에서 물러날 것””. 《동아일보》.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15. “통합당 지도부 붕괴…유승민 홍준표 안철수까지 다 모으나”. 《동아일보》. 2020년 4월 16일.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16. 김동하 기자 (2020년 4월 16일). “애국가 부르다 눈물 흘린 태구민 "강남이 제 고향". 《조선일보》.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17. '형제 당선'·28세 금배지·싱글맘…21대 총선 이색 당선인들”. 《매일경제》. 2020년 4월 16일.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18. 피주영 기자 (2020년 4월 16일). “썰매 대부, 정치 입문...이용 감독”. 《중앙일보》.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19. Laura Bicker 기자 (2020년 4월 16일). “North Korean defector becomes first to win South Korea parliamentary seat”. 《BBC NEWS》.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20. Saphora Smith 기자 (2020년 4월 16일). “Ex-North Korean diplomat becomes first defector elected to South Korea's Parliament”. 《NBC NEWS》.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21. 최경운 기자 (2020년 4월 16일). “황교안 진중권 "민주당 1당+ 나머지 0.5당의 뉴노멀 체제 됐다". 《조선일보》.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22. 임도원 기자 (2020년 4월 16일). '통합당 송파병 후보' 김근식 "당 미래 보이지 않아...대한민국 앞날도 깜깜". 《한국경제》. 2020년 4월 16일에 확인함. 
  23. 통합당, 심재철 대표권한대행 체제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