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자유주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유주의 |
---|
![]() |
역사 • 네덜란드 독립 전쟁 (1567년) • 잉글랜드 내전 (1642년) • 베스트팔렌 조약 (1648년) • 명예 혁명 (1688년) •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 1783년 파리 조약 (1783년) • 프랑스 혁명 (1789년) • 프랑스 혁명 전쟁 (1792년) • 테르미도르의 반동 (1794년) • 7월 혁명 (1830년) • 1848년 혁명 (1848년) • 신해혁명 (1911년) •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러시아 2월 혁명 (1917년) • 14개조 평화 원칙 (1918년 1월) • 독일 11월 혁명 (1918년 11월) • 국제 연맹 창설 (1920년) • 스페인 내전 (1936년) •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냉전 (1947년) • 4.19 혁명 (1960년) • 색깔 혁명 (1974년)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0년) • 피플 파워 혁명 (1986년) • 동유럽 혁명 (1989년) • 2019–2020년 홍콩 시위 (2019년) |
관련 문헌 • 홉스, 《리바이어던》 (1651년) • 로크, 《통치론》 (1689년) • 로크, 《관용에 대한 편지》 (1692년) • 로크, 《교육에 관한 성찰》 (1692년) • 로크, 《인간 이해력에 관하여》 (1706년) • 볼테르, 《철학서간》 (1733년) •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1748년) • 볼테르, 《미크로메가스》 (1751년) • 스미스, 《도덕 감정론》 (1759년) • 볼테르, 《랭제뉘》 (1760년) • 볼테르, 《철학 사전》 (1764년) • 벤담, 《정치론》 (1766년) • 칸트, 《세계시민적 견지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 (1784년) • 벤담, 《도덕 및 입법의 원리 서설》 (1789년) • 울스턴크래프트, 《인간 권리의 옹호》 (1790년) • 훔볼트, 《국가 활동의 한계 규정 시도를 위한 생각들》 (1790년) • 울스턴크래프트,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도덕적 관점》 (1794년) • 훔볼트, 《그리스 자유국가의 쇠퇴와 타락의 역사》 (1808년) • 훔볼트, 《독일의 미래 상태에 대해》 (1813년) •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1840년) • J. S. 밀, 《정치경제학 원리》 (1848년) • 토크빌, 《앙시엥 레짐과 프랑스 혁명》 (1859년) • J. S. 밀, 《자유론》 (1859년) • J. S. 밀, 《공리주의》 (1860년) • J. S. 밀, 《대의정부론》 (1860년) • 후쿠자와, 《문명론의 개략》 (1875년) •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1945년) • 포퍼, 《역사주의의 빈곤》 (1957년) • 롤스, 《정의론》 (1971년) • 노직, 《무정부,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 (1974년) • 후쿠야마, 《역사의 종언》 (1992년) • 롤스, 《공정으로서 정의》 (2001년) |
주요 인물(동양) ![]() ![]() ![]() ![]() ![]() ![]() ![]() ![]() ![]() ![]() ![]() ![]() ![]() ![]() ![]() ![]() ![]() ![]() |
주요 인물(서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요 인물(아프리카) |
보수자유주의(영어: Conservative liberalism, 한자: 保守自由主義)는 1917년 부터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발생한 자유주의 우익의 대표적인 사상이다. 보수자유주의는 20세기 초 재산권과 보편적 자유권을 희생해서라도 평등을 실현하려했던, 당시 과학적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반발로 나왔다.
개요[편집]
보수자유주의는 고전적 자유주의보다 훨씬 강하게 재산권, 자유권, 생존권 보장을 주장하며, 이를 위해서 자유권과 재산권에 위협을 주는 기타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경계가 강한 자유주의이다. 보수자유주의자들은 경제적으로 극한의 자유로움을 주장하며, 위 세 가지 권리를 지키기 위해 강력한 법을 요구한다. 보수자유주의에서 나타나는 보수적인 가치는 고전적 자유주의의 가치를 더욱더 부각한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즉, 강력한 법질서 확립과 법치주의, 사회질서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보수자유주의에서 경제적 자유로움을 더 높게 주장하도록 발전된 사상이 바로 신자유주의이다.[1][2]
자유보수주의와의 차이점[편집]
자유보수주의는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주의를 혼합한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다. 즉, 자유보수주의는 자유주의적인 가치와 보수적인 가치를 어느 우위에 두지 않으며 국교 유지와 복지 그리고 환경의 중요성을 합한 개화된 보수주의 사상이다. 반면, 보수자유주의는 자유주의의 보수적인 면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자유주의의 고전적 개념인 고전적 자유주의의 중요한 면(재산권, 생존권, 자유권의 확립, 경제적 자유주의)을 부각한 사상이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