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
![]() |
역사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0월) • 코민테른 12월 테제 (1928년 12월) • 소비에트 연방의 농업집산화 정책 (1929년) • 홀로도모르 (1932년)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33년 1월) •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 (1933년 2월) • 반파쇼인민전선 (1935년 8월) • 스타하노프 운동 (1935년 11월) • 스페인 내전 (1936년) • 대숙청 (1937년)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38년) • 독소전쟁 (1941년) • 후크발라합 반란 (1942년) • 즈다놉시나 (1946년) • 그리스 내전 (1946년)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 • 냉전 (1947년) • 베를린 위기 (1948년) • 한국 전쟁 (1950년) • 반둥 회의 (1955년) • 베트남 전쟁 (1955년) • 스탈린 격하 운동 (1956년 2월) •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10월) • 쿠바 혁명 (1959년) • 중소 분쟁 (1960년)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1961년) • 비동맹운동 (1961년) • 수정주의 논쟁 (1961년) • 쿠바 미사일 위기 (1962년) • 문화대혁명 (1966년) • 프라하의 봄 (1968년 1월) • 브레즈네프 독트린 (1968년 9월) • 앙골라 내전 (1975년) •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개방 (1978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년) •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 글라스노스트 (1986년 2월) • 체르노빌 원전 사고 (1986년 4월) • 베트남의 도이 머이 실시 (1986년 12월) • 1989년 톈안먼 사건 (1989년 6월) •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 몰타 회담 (1989년 12월) • 독일의 재통일 (1990년) • 8월 쿠데타 (1991년 8월) •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1991년 12월) • 쿠바의 비상 시기 선포 (1992년) •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1993년) • 고난의 행군 (1995년) |
상징 및 표어 |
관련 문헌 • 스탈린,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 데보린, 《변증법적 유물론 강론》 (1916년) • 데보린, 《인격성과 세계관》 (1923년) •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 (1924년) • 스탈린, 《트로츠키주의인가? 레닌주의인가?》 (1924년) • 스탈린, 《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적 편향》 (1926년) • 스탈린, 《중국 혁명과 코민테른의 작업들》 (1927년) • 스탈린, 《곡물 조달과 농업 발전 전망》 (1928년) • 스탈린, 《제1차 5개년 경제 계획의 결과들》 (1933년) • 스탈린, 《변증법적 유물론》 (1938년) •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볼셰비키당사》 (1938년) • 페도시프, 《종교와 그 극복으로서 마르크스-레닌주의》 (1941년) • 페도시프,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과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이해》 (1948년) • 콘스탄티노프, 《과학으로서 역사적 유물론》 (1949년) • 스탈린, 《마르크스주의 언어학》 (1950년) • 콘스탄티노프, 《사회적 의식의 형태》 (1951년) • 스테파니얀,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점진적인 전환》 (1951년) • 스탈린, 《소련 사회주의의 경제 문제들》 (1951년) • 콘스탄티노프, 《사회 발전에서 고등 관념의 역할》 (1953년) • 페도시프, 《사회주의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 (1955년) • 페도시프, 《사회주의와 인본주의》 (1956년) • 페도시프, 《역사에서 군중과 인민의 역할》 (1956년) • 콘스탄티노프,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기초》 (1958년) • 쿠시넨,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초》 (1960년) • 보응우옌잡, 《인민의 전쟁, 인민의 군대》 (1961년) • 차긴, 《G. V. 플레하노프와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에서 그의 역할》 (1963년) • 게바라, 《게릴라 전쟁》 (1963년) • 스테파니얀, 《현대 사회 발전의 변증법》 (1966년) • 스테파니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근대성》 (1970년) • 페도시프, 《공산주의와 철학》 (1971년) • 페도시프, 《현대 시대의 변증법》 (1976년) • 호자, 《제국주의와 혁명》 (1978년) • 콘스탄티노프, 《현대 세계의 관념 투쟁》 (1978년) • 페도시프, 《세계관, 철학, 과학》 (1979년) • 미틴, 《철학과 사회 진보》 (1979년) • 콘스탄티노프, 《마르크스-레닌주의 철학과 근대성》 (1982년) • 스테파니얀, 《공산주의 형성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문제》 (1985년) • 로디오노프,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란 무엇인가?》 (1988년) • 박현채,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 (1989년) |
관련 조직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탈린주의(Stalinism)는 스탈린 통치하 소련의 정치체제 및 레닌주의에서 스탈린의 특수한 해석론에 머무는 것 경향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그 용례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스탈린의 통치하 소련의 정치·경제 구조의 특징적인 양상. 이 정의에 따르면, 스탈린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운영의 한 단면으로 여겨질 수 있다.
- 스탈린 주도로 해석·종합한 레닌주의 이론. 이 정의에 따르면,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스탈린주의는 동의어이다.
- 스탈린에 의한 마르크스주의 왜곡이라는 의미에서의 멸칭.[1]
스탈린주의적 정책들은 빠른 공업화, 일국사회주의, 중앙집권적 국가조직,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집단농업, 소비에트 당에 대한 여타 공산당들에 대한 절대우위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2]
의미[편집]
이 표현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스탈린의 측근인 라자리 카가노비치였다. 스탈린 본인은 스스로의 사상을 ‘스탈린주의’라고 정의한 적이 없으며, 그는 자신의 사상을 마르크스-레닌주의라고 칭하였다.[3] 이러한 점에서 스탈린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같은 뜻으로 여겨진다.
이 ‘스탈린주의’라는 표현 자체는 긍정적 의미로 쓰인 적이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스탈린의 정치와 사상에 반대하는 자들에 의해서 쓰여진다. 다양한 마르크스주의의 분파들 중 스스로를 ‘스탈린주의’로 지칭한 분파는 거의 없으며, 특히 트로츠키주의에서는 상대방의 오류를 비난할 때 ‘스탈린주의’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특징[편집]
레닌주의에 대한 스탈린의 독특한 해석, 그리고 그의 정치 행보를 볼 때, 스탈린주의는 사싱상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특징과 다르지 않다. 이에 따르면 스탈린주의는 일국사회주의에 따른 사회주의 지도,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강조, 프롤레타리아 단일 정당에 대한 절대적 우위, 급진적인 중공업 육성 정책, 프롤레타리아 도덕주의 강요, 관료주의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탈린 집권기에 진행된 비밀경찰에 의한 테러와 관료 조직의 비대화, 전체주의 현상을 종합할 때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스탈린주의는 별개의 뜻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비판[편집]
일부 학자들은 전체주의 정치, 비밀경찰의 상시 운용, 강력한 통제 등의 요소를 들어서 스탈린주의가 파시즘과 유사하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탈린주의는 ‘적색파시즘’이라고 불렸다.[4]
관련 항목[편집]
각주[편집]
- ↑ The Stalin dictatorship: Khrushchev's 'secret speech' and other documents, Thomas Henry Rigby, Sydney University Press, 1968 - P.128
- ↑ T. B. Bottomore. A Dictionary of Marxist thought. Malden, Massaschussetts, USA; Oxford, England, UK;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Berlin, Germany: Wiley-Blackwell, 1991. Pp. 54.
- ↑ Montefiore, Simon Sebag (2004).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Knopf. p. 164. ISBN 978-1-4000-4230-2.
- ↑ Fried, Richard M. (1991). Nightmare in Red: The McCarthy Era in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p. 50. ISBN 978-0-19-504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