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살라이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마오쩌둥 사상 |
---|
역사 •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성립 (1931년) • 대장정 (1934년) • 쭌이 회의 (1935년) • 홍군의 옌안 정착 (1936년) •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 정풍운동 (1942년) •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 냉전 (1947년) • 십칠조협의 (1951년 5월) • 삼반 운동 (1951년 10월) • 오반 운동 (1952년) • 중국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53년) • 반둥 회의 (1955년 4월) • 베트남 전쟁 (1955년 11월) • 백화제방·백가쟁명 (1956년) • 반우파 운동 (1957년) • 대약진 운동 (1958년) • 루산 회의 (1959년) • 중소 분쟁 (1960년)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1961년) • 비동맹운동 (1961년) • 수정주의 논쟁 (1961년) • 콜롬비아 분쟁 (1964년) • 문화대혁명 (1966년) • 1967년 홍콩 폭동 (1967년 5월 12일) • 인도 낙살라이트-마오이스트 반란 (1967년 5월 18일) • 하방운동 (1968년) • CPP-NPA-NDF 반란 (1969년) • 킬링필드 (1975년 4월) • 앙골라 내전 (1975년 11월) •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1977년) • 중국-베트남 전쟁 (1979년) • 페루 분쟁 (1980년) • 1989년 톈안먼 사건 (1989년) • 네팔 내전 (1996년) • 중국 재스민 혁명 (2011년) • 2019–2020년 홍콩 시위 (2019년) |
상징 및 표어 |
관련 문헌 • 마오쩌둥, 《상앙의 상벌론에 대해》 (1912년) • 마오쩌둥, 《중국의 사회 각 계층 분석》 (1925년) • 마오쩌둥, 《호남농민운동 시찰보고》 (1927년) • 마오쩌둥, 《중국의 홍색정권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 (1928년 10월) • 마오쩌둥, 《정강산 투쟁》 (1928년 11월) • 마오쩌둥, 《당내의 그릇된 사상을 시정하는 문제에 대하여》 (1929년) • 마오쩌둥, 《서책주의를 반대하자》 (1930년) • 마오쩌둥, 《중국혁명전쟁의 전략 문제》 (1936년) • 마오쩌둥, 《실천론》 (1937년 7월) • 마오쩌둥, 《모순론》 (1937년 8월) • 마오쩌둥, 《항일전쟁전략》 (1938년 5월) • 마오쩌둥, 《지구전론》 (1938년 5월) • 마오쩌둥, 《민족전쟁에 있어서의 중국공산당의 지위》 (1938년 10월) • 마오쩌둥, 《통일전선 내에서의 자주독립 문제》 (1938년 11월) • 마오쩌둥, 《소련 이익과 인류 이익과의 일치》 (1939년 9월) • 마오쩌둥, 《중국혁명과 중국공산당》 (1939년 12월) • 마오쩌둥, 《신민주주의론》 (1940년 1월) • 마오쩌둥, 《항일근거지의 정권문제》 (1940년 3월) • 마오쩌둥, 《우리의 학습을 개혁하자》 (1941년 5월) • 마오쩌둥, 《반파쇼국제통일전선에 대해》 (1941년 6월) • 마오쩌둥, 《당정풍론》 (1942년 2월 1일) • 마오쩌둥, 《당팔고에 반대하자》 (1942년 2월 8일) • 마오쩌둥, 《국민당에게 묻는다》 (1943년 7월) • 마오쩌둥, 《당세포 조직론》 (1943년 11월) • 스노. 《중국의 붉은 별》 (1944년) • 마오쩌둥, 《연합정부에 대해》 (1945년) • 마오쩌둥, 《중국인민해방군 선언》 (1947년 10월) • 마오쩌둥, 《현 정세와 우리의 임무》 (1947년 12월) • 마오쩌둥, 《인민민주주의 독재에 대하여》 (1949년 6월) • 마오쩌둥, 《관념론적 역사관의 파산》 (1949년 9월) • 마오쩌둥, 《인민 내부의 모순에 대하여》 (1957년) • 마오쩌둥, 《마오쩌둥 주석 어록》 (1964년) |
관련 조직
|
파생 노선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낙살라이트(Naxalite)는 인도 공산당 (마오쩌둥주의)의 준군사 조직이며, 반정부 집단이다. 인도 정부에서는 테러 집단으로 본다.
낙살라이트는 인도 서뱅골 주의 낙살바리라는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고, 낙살라이트 봉기는 1967년 낙살바리에서 자룸 마줌다르와 카누 샨얄이 주도한 농민반란으로부터 기원하였다. 낙살라이트가 본격적으로 무장공격을 감행하기 시작한 것은 인도 공산당 마오파가 산개된 낙살라이트 조직을 통합하여 인민자유게릴라군(PLGA)을 조직한 시기인 2000년대 초반이다.[1]
인도의 600여 지구 가운데 180여개 지구가 낙살라이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차티스가르 주에서의 활동이 제일 활발하다.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인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단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인도 총선기간 중 마오이스트 세력 공격으로 최소 16명 사망”. 2019년 5월 2일. 2019년 6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