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비언 협회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8월) |
사회주의 |
---|
![]() |
역사 •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 프랑스 혁명 (1789년) • 뉴하모니 운동 (1820년대 중반) • 1848년 혁명 (1848년) •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 파리 코뮌 (1871년) • 페이비언 협회 설립 (1884년) •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 10월 혁명 (1917년) • 독일 11월 혁명 (1918년) •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 스페인 내전 (1936년) • 냉전 (1947년) • 프랑크푸르트 선언 (1951년) • 오슬로 선언 (1962년) •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1991년) • 볼리바르 혁명 (1999년) •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2008년) • 노란 조끼 운동 (2018년) |
상징 및 표어 |
관련 문헌 • 모어, 《유토피아》 (1516년) • C. 홀, 《유럽 국가들 인민에 있어 문명의 효과》 (1801년) • 푸리에, 《네 가지 운동과 일반적인 운명의 이론》 (1808년) • 오언, 《사회에 대한 새로운 견해》 (1813년) • 생시몽, 《유럽 사회의 재편》 (1814년) • 오언, 《제조업 체계의 영향에 대한 관찰》 (1815년) • 생시몽, 《산업론》 (1817년) • 생시몽, 《조직자에 대해》 (1820년) • 푸리에, 《농업가족집단》 (1822년) • 생시몽, 《산업 제도론》 (1822년) • 오언, 《세계 문명에 만연한 부조리의 원인에 대한 개론》 (1823년) • 생시몽, 《신그리스도교》 (1825년) • 푸리에, 《상호발전을 약속하는 두 분파》 (1831년) • 푸리에, 《사랑이 넘치는 신세계》 (1837년) • 헤스, 《돈의 본질》 (1841년) • 헤스, 《행위의 철학체》 (1843년) • 헤스, 《화폐체론》 (1845년) • 카베, 《노동자가 겪는 불행의 원인과 치료법 및 공동체 미래의 행복을 보장하는 법에 대해》 (1846년) • 프루동, 《빈곤의 철학》 (1846년) • 카베, 《이카루스 공동체의 실현》 (1847년) • 오언, 《인류의 마음과 살천의 혁명》 (1849년) • 라살, 《노동자 강령》 (1862년) • 라살, 《독일 국민노동협회에 보내는 공개 서한》 (1863년) • 라살, 《자본이란 무엇인가?》 (미상) • 마르크스, 《자본 I》 (1867년) • 마르크스, 《자본 II》 (1885년) • 모리스, 《사회주의: 그것의 성장과 결과》 (1893년) • 마르크스, 《자본 III》 (1894년) • 모리스, 《사회주의자들을 위한 성가》 (1935년) • 카다피, 《녹색서》 (1975년) •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1989년) • 지젝, 《우연, 헤게모니, 보편성》 (2000년) • 지젝, 《전체주의가 어쨌다구?》 (2001년) |
관련 조직
|
주요 운동가 ![]() ![]() ![]() ![]() ![]() ![]() ![]() ![]() ![]() ![]() ![]() ![]() 줌블라크 (1917년 ~ 1977년) ![]() |
주요 이론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농 (1925년 ~ 1961년) ![]() ![]() ![]() ![]() |
주요 정치인 ![]() ![]() ![]() ![]() ![]() ![]() ![]() ![]() ![]() ![]() ![]() ![]() ![]() ![]() ![]() ![]() |
사회민주주의 |
---|
![]() |
관련 문헌 • 라살, 《노동자 강령》 (1862년) • 라살, 《독일 국민노동협회에 보내는 공개 서한》 (1863년) • 라살, 《자본이란 무엇인가?》 (미상) • 러셀, 《독일 사회민주주의》 (1896년) • 베른슈타인, 《마르크스와 사회 개혁》 (1897년) • 베른슈타인, 《사회주의의 문제》 (1898년) • 베른슈타인, 《사회주의를 위한 전제들과 사회민주주의의 임무》 (1899년) • 베른슈타인, 《진화적 사회주의》 (1899년) • 조레스, 《사회주의자의 목표에 대해》 (1905년) • 조레스, 《사회주의에서의 학문》 (1906년) • 힐퍼딩, 《금융자본》 (1910년) • 데브스, 《노동과 자유》 (1916년) • F. 아들러, 《에른스트 마흐의 기계적 유물론에 대한 반박》 (1918년) • M. 아들러, 《민주주의와 의회 체계》 (1919년) • M. 아들러, 《사회학적 방법과 법적 방법의 구별에서 마르크스주의 국가 개념의 기여》 (1922년) • M. 아들러, 《칸트와 마르크스주의》 (1925년) • M. 아들러, 《정치 또는 사회민주주의》 (1926년) •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1935년) • M. 아들러, 《사회과학의 인식론적 기초에 대해》 (1936년) • 힐퍼딩, 《국가자본주의 또는 전체주의 국가의 경제》 (1940년) • 기든스, 《제3의 길》 (1998년) |
관련 조직
|
주요 정치인 ![]() ![]() ![]() ![]() ![]() ![]() ![]() ![]() ![]() ![]() ![]() ![]() ![]() ![]() ![]() ![]() ![]() ![]() ![]() ![]() ![]() ![]() ![]() |

페이비언 협회(영어: Fabian Society)는 영국의 지식인들이 주도한 점진적 사회주의 단체로 혁명적 방법보다는 계몽과 개혁을 통한 이념실천을 활동방법으로 했다. 협회의 활동과 사상은 영국 노동당의 기초가 되었으며 영국 식민지의 독립, 특히 인도의 독립 등 정책에 영향을 끼쳤다.
역사[편집]
페이비언협회는 1884년 1월 4일 런던에서 설립되었는데 1883년 설립된 ‘신생활회(The Fellowship of New Life)’의 멤버 중 몇명이 따로 떨어져 나와 설립한 단체이다. ‘신생활회’는 청빈한 삶 즉, 자발적인 가난의 실천을 통해 사회를 바꾸어 보자는 목표를 가지고 설립되었는데 그중 몇몇 회원은 사회개혁에는 정치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따로 모여 페이비언협회를 만든 것이다. 1890년대초 신생활회는 사라졌으나 페이비언협회는 당시 영국에서 가장 유망한 지적 사회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당시 멤버로는 당대의 저명한 저술가 및 학자 등이 대거 참여했다. 조지 버나드 쇼, H.G. 웰즈, 시드니 웨브, 베아트리스 웨브 등이 있었으며 버트런드 러셀도 나중에 멤버가 되었다. 경제학자 존 케인즈도 회원이었다.
혁명적인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개혁을 통한 사회변혁을 주장했던 이 협회의 이름은 파비우스 전략으로 알려진 고대 로마의 파비우스 막시무스 장군의 전술에서 비롯되었는데 그는 카르타고의 한니발장군의 침입에 맞서 전면전보다는 질질 끄는 지구전 전술을 구사했다.
페이비언협회는 자유무역에 반대했고 국제경쟁에서 이익을 보호하는 보호무역주의를 선호했으며, 토지의 국유화를 주장했다. 1900년 영국 노동당의 창립에 수많은 협회회원이 참여했고 협회의 강령이 노동당 강령의 모태가 되었다.
페이비언협회는 사회민주주의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영국 노동당 정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토니 블레어이다.
역사 | |||||||||||||||||
---|---|---|---|---|---|---|---|---|---|---|---|---|---|---|---|---|---|
지도부 (* = 전시, 야당 / ^ 과도, 대행) |
| ||||||||||||||||
내부선거 |
| ||||||||||||||||
당조직 | |||||||||||||||||
제휴단체 |
| ||||||||||||||||
가맹단체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영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위키데이터 속성 P9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5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2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4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7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40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9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31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6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85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818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9984를 사용하는 문서
-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8월
- 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
- 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 FAST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da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CANTI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J9U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K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CINI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Trove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UDO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영국에 관한 토막글
- 모든 토막글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