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하이드록시트립토판
이름 | |
---|---|
IUPAC 이름
2-amino-3-(5-hydroxy-1H-indol-3-yl)prop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2.193 |
KEGG | |
MeSH | 5-Hydroxytryptophan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1H12N2O3 | |
몰 질량 | 220.228 g·mol−1 |
밀도 | 1.484 g/mL |
녹는점 | 298 to 300 °C (568 to 572 °F; 571 to 573 K) |
끓는점 | 520.6 °C (969.1 °F; 793.8 K) |
약리학 | |
N06AX01 (WHO)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영어: 5-hydroxytryptophan, 5-HTP)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아미노산 및 화학 전구체일 뿐만 아니라 트립토판으로부터 유래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생합성 과정에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용도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에서 항우울제, 식욕억제제, 수면보조제로 사용하기 위한 일반 의약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많은 유럽 국가에서 신코팜(Cincofarm), 레보팀(Levothym), 레보토닌(Levotonine), 옥시판(Oxyfan), 텔레솔(Telesol), Tript-OH, 트리툼(Triptum)이라는 상표명으로 주요 우울 장애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다.[1]
2002년 리뷰에 따르면 평가된 데이터에서 우울증 치료에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이 위약(僞藥)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지만, 오늘날의 엄격한 기준을 충족시키는 임상 데이터가 부족하여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2]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이 우울증 치료에 진정으로 효과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방법론을 사용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3][4] 소규모 대조 실험에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항우울제인 클로미프라민의 항우울 효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6][7]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때때로 메틸렌다이옥시메스암페타민(MDMA) 복용 후의 불쾌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복용한다.[8]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뇌가 세로토닌을 더 많이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구체로서 메틸렌다이옥시메스암페타민의 사용은 사람의 자연적인 세로토닌 수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메틸렌다이옥시메스암페타민을 섭취한 후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복용하면 세로토닌의 생성 속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댄스세이프(DanceSafe)는 일화적인 증거가 널리 퍼져있고, 그 이론은 생리학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한다.[9] 이러한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것은 왕(Wang) 등에 의해 수행된 연구로 2007년에 쥐에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투여 후 메틸렌다이옥시메스암페타민이 유발한 세로토닌의 고갈이 회복된 것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접근법이 메틸렌다이옥시메스암페타민 사용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8]
고용량 또는 카르비도파와 병용하여 비만 치료를 위해 FDA의 승인 없이 처방되어 사용되었다.[10][11]
다양한 설계의 임상 시험에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섬유근육통,[12] 근육간대경련,[13] 편두통,[14] 소뇌성운동실조증[15]을 치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 연구에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모든 치료 결과들은 잠정적이며 보다 대규모의 시험에서 확인이 필요하다.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약물로서의 단점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짧은 반감기(<2시간)[16]는 전신의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노출 수준이 비교적 빈번한 투여에서도 실질적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치료 가능성을 본질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17] 이러한 노출 변동은 일반적으로 Cmax 약물 스파이크로 인한 이상 반응 부담 증가 및 하루 중 대부분의 치료적 노출로 인한 임상 효능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기 활성 제약 성분이 있는 상황[18]처럼 장기 전달을 달성하는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투여 형태가 보다 더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되었다.[17]
부작용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잠재적 부작용으로는 속쓰림, 복통, 구역질, 구토, 설사, 졸림, 성 기능 장애, 악몽, 근육 문제 등이 있다.[19]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임상 시험에서 철저하게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약물들과의 상호작용 및 가능한 부작용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 국립보건원의 TOXNET에 따르면,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세로토닌 증후군이나 사람에서의 심각한 부작용과는 관련이 없다.[20] 여러 연구에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눈에 띄는 혈액학적 또는 심혈관계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호산구 증가증과도 관련이 있지만, 후속 연구에서 인과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22]
상호작용
[편집]모노아민 산화효소 저해제(MAOI)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SSRI) 부류의 항우울제와 병용하면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매우 높은 비경구 용량이 쥐에서 급성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23][24] 대부분의 약물이 설치류에서 매우 높은 복용량으로 심각한 부작용이나 사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비록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모노아민 산화효소 저해제(MAOI)에 추가될 때 조증을 촉진할 수 있지만, 사람에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세로토닌 증후군과 임상적으로 관련이 없다.[25]
카르비도파와 병용하면(파킨슨병의 치료제로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구역질 및 구토를 유발한다. 그러나 구역질 및 구토는 그라니세트론의 투여를 통해 완화될 수 있다.[26] 약리학에서 아래에 언급된 바와 같이 카르비도파 및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피부경화증과 유사한 질병 사례가 보고되었다.[27]
경구로 투여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소변의 5-하이드록시인돌아세트산(세로토닌의 대사산물)의 증가를 초래하고,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이 세로토닌으로 말초 대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을 찾는 시험에서 잘못된 양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28][29] 간에 의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세로토닌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전임상 결과에 근거한 세로토닌의 심장에 대한 영향으로 심장 판막 질환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30][31] 그러나,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사람에서 심장 독성과 관련이 없다.[22][21][20][32]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극심한 근육 압통, 근육통 및 혈액 이상을 초래하는 심각한 상태인 호산구 증가 근육통 증후군(EMS)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호산구 증가 근육통 증후군이 특정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보충제의 오염 물질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33]
생성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트립토판 하이드록실화효소의 작용을 통해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으로부터 생성된다. 트립토판 하이드록실화효소는 비오프테린 의존적 방향족 아미노산 하이드록실화효소의 일종이다.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생성 단계는 세로토닌(5-HT) 합성 대사에서 속도 제한 단계이다.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탈카복실화효소에 의해 세로토닌으로 빠르게 전환된다.[34]
흡수
[편집]경구 투여 후,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소장에서 흡수된다.[16] 흡수 방식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아미노산 수용체를 통한 능동수송이 수반될 것이다.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경구 생체이용률은 결정되지 않았다.[35] 탈카복실화효소 저해제를 사용하면,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생체 이용률은 50% 이상일 수 있다.[36]
약물동태학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약 1.5h의 Tmax로 빠르게 흡수되고, 약 1.5~2h의 반감기로 빠르게 제거된다. 탈카복실화효소 저해제(예: 카르비도파, 벤세라자이드)의 공동 투여는 투여 요법에 따라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반감기를 3~4h로 두 배 늘리고,[37][16] 노출을 몇 배로 향상시킨다.[16][38]
물질대사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비타민 B6를 조효소로 사용하는 방향족 L-아미노산 탈카복실화효소에 의해 세로토닌(5-하이드록시트립타민 또는 5-HT)으로 탈카복실화된다.[39] 이러한 반응은 신경 조직과 간에서 일어난다.[40]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지만,[41] 세로토닌은 통과하지 못한다. 과량의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특히 비타민 B6와 함께 투여될 때 대사되어 배설되는 것으로 생각된다.[42][43]
약리학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정신활성 작용은 중추신경계 조직에서 세로토닌 생성의 증가에 기인한다.[44]
연구에 따르면 카르비도파와의 공동 투여는 혈장의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수준을 크게 증가시킨다.[45] 다른 연구에 따르면 5-하이드록시트립토판과 카르비도파 조합으로 인한 피부경화증과 같은 질환의 위험이 나타났다.[46]
규제 상태
[편집]현재 미국 식품의약국이 승인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한 승인된 의약품은 없다.[47] 사용가능한 모든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제품은 뉴트라수티컬이며 순도, 완전성, 임상적 효능, 안전성에 대해 규제되거나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섭취시 주의가 필요하다.[48]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느린 방출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이 빠르게 흡수되고 빠르게 배출되는 약물동태학은 만성 약물 요법에 비실용적이다. 듀크 대학교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쥐에게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투여했을 때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이 약물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49] 느리게 방출되는 것은 치료 중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노출시 피크와 밸리를 약화시키거나 없어지게 한다.[50]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느린 방출은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안전성 프로파일을 현저하게 개선시켰고,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의 안정한 혈장 노출 및 뇌에서 세로토닌이 강력하고 지속적으로 기능하도록 하였다.[49] 이러한 발견은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느리게 방출하는 약물이 세로토닌 작동성 강화에 반응하는 뇌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식이 공급원
[편집]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은 음식물에서 미미한 양으로만 발견되지만, 우유, 육류, 감자, 호박 및 다양한 채소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대사 중간생성물로 대사되는 화합물이다.[51]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관목인 그리포니아 심플리시폴리아(Griffonia simplicifolia)의 씨앗은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한 약재로 사용된다.[52][53][54] 2010년의 한 시험에서 그리포니아 심플리시폴리아의 추출물은 과체중 여성의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wiss Pharmaceutical Society (2000).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Book with CD-ROM)》. Boca Raton: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ISBN 978-3-88763-075-1.
- ↑ Shaw K, Turner J, Del Mar C (2002). Shaw KA, 편집. “Tryptophan and 5-hydroxytryptophan for depression” (PDF).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3198. doi:10.1002/14651858.CD003198. PMID 11869656.
- ↑ 5-Hydroxytryptophan (5-HTP)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11. Accessed: 9 January 2012.
- ↑ Iovieno N, Dalton ED, Fava M, Mischoulon D (May 2011). “Second-tier natural antidepressants: review and critiqu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0 (3): 343–57. doi:10.1016/j.jad.2010.06.010. PMID 20579741.
- ↑ van Praag HM (1982). “Serotonin precursors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dvances in Biochemical Psychopharmacology》 34: 259–86. PMID 6753514.
- ↑ van Praag HM, van den Burg W, Bos ER, Dols LC (1974). “5-hydroxytryptophan in combination with clomipramine in "therapy-resistant" depressions”. 《Psychopharmacologia》 38 (3): 267–9. doi:10.1007/BF00421379. PMID 4547418.
- ↑ Nardini M, De Stefano R, Iannuccelli M, Borghesi R, Battistini N (1983).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L-5-hydroxytryptophan combined with chlorimipramine, a double-blin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Research》 3 (4): 239–50. PMID 6381336.
- ↑ 가 나 Wang X, Baumann MH, Dersch CM, Rothman RB (August 2007). “Restoration of 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induced 5-HT depletion by the administration of L-5-hydroxytryptophan”. 《Neuroscience》 148 (1): 212–20. doi:10.1016/j.neuroscience.2007.05.024. PMID 17629409.
- ↑ “Ecstasy and Depression”. DanceSafe.Org. nd. 2015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Halpern B, Oliveira ES, Faria AM, Halpern A, Melo ME, Cercato C, Mancini MC (July 2010). “Combinations of drug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Pharmaceuticals》 3 (8): 2398–2415. doi:10.3390/ph3082398. PMC 4033931. PMID 27713360.
- ↑ Hendricks EJ (2017). “Off-label drugs for weight management”.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Targets and Therapy》 10: 223–234. doi:10.2147/DMSO.S95299. PMC 5473499. PMID 28652791.
- ↑ Caruso I, Sarzi Puttini P, Cazzola M, Azzolini V (1990). “Double-blind study of 5-hydroxytryptophan versus placebo in the treatment of primary fibromyalgia syndrome”. 《J Int Med Res.》 18 (3): 201–9. doi:10.1177/030006059001800304. PMID 2193835.
- ↑ Thal LJ, Sharpless NS, Wolfson L, Katzman R (1980). “Treatment of myoclonus with L-5-hydroxytryptophan and carbidopa: clinical, electro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observations”. 《Ann Neurol》 7: 570–6. doi:10.1002/ana.410070611. PMID 6969054.
- ↑ Boiardi A, Crenna P, Merati B, Negri S, Tansini E, Bussone G (1981). “5-OH-Tryptophane in migraine: clinical and neurophysiological considerations”. 《J Neurol》 225 (1): 41–6. doi:10.1007/bf00313460. PMID 6164755.
- ↑ Trouillas P, Brudon F, Adeleine P (Nov 1988). “Improvement of cerebellar ataxia with levorotatory form of 5-hydroxytryptophan. A double-blind study with quantified data processing”. 《Arch Neurol》 45 (11): 1217–22. doi:10.1001/archneur.1988.00520350055016. PMID 3190503.
- ↑ 가 나 다 라 Gijsman HJ, van Gerven JM, de Kam ML, Schoemaker RC, Pieters MS, Weemaes M, de Rijk R, van der Post J, Cohen AF (April 2002). “Placebo-controlled comparison of three dose-regimens of 5-hydroxytryptophan challenge test in healthy volunteers”.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2 (2): 183–9. doi:10.1097/00004714-200204000-00012. PMID 11910264.
- ↑ 가 나 Jacobsen JP, Krystal AD, Krishnan KR, Caron MG (November 2016). “Adjunctive 5-Hydroxytryptophan Slow-Release for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Clinical and Preclinical Rationale”.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37 (11): 933–944. doi:10.1016/j.tips.2016.09.001. PMC 5728156. PMID 27692695.
- ↑ Thombre AG (September 2005). “Assessment of the feasibility of oral controlled release in an exploratory development setting”. 《Drug Discovery Today》 10 (17): 1159–66. doi:10.1016/S1359-6446(05)03551-8. PMID 16182208.
- ↑ “5-HTP”.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5년 6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5-HYDROXYTRYPTOPHAN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SDB Database”.
- ↑ 가 나 Byerley WF, Judd LL, Reimherr FW, Grosser BI (Jun 1987). “5-Hydroxytryptophan: a review of its antidepressant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J Clin Psychopharmacol》 7 (3): 127–37. doi:10.1097/00004714-198706000-00002. PMID 3298325.
- ↑ 가 나 Das YT, Bagchi M, Bagchi D, Preuss HG (2004). “Safety of 5-hydroxy-L-tryptophan”. 《Toxicol Lett.》 150 (1): 111–22. doi:10.1016/j.toxlet.2003.12.070. PMID 15068828.
- ↑ Ma Z, Zhang G, Jenney C, Krishnamoorthy S, Tao R (July 2008). “Characterization of serotonin-toxicity syndrome (toxidrome) elicited by 5-hydroxy-l-tryptophan in clorgyline-pretreated rat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88 (2–3): 198–206. doi:10.1016/j.ejphar.2008.04.004. PMC 4242171. PMID 18499101.
- ↑ Izumi T, Iwamoto N, Kitaichi Y, Kato A, Inoue T, Koyama T (February 2006). “Effects of co-administration of a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nd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on 5-HT-related behavior in rat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32 (3): 258–64. doi:10.1016/j.ejphar.2005.12.075. PMID 16488409.
- ↑ Pardo JV (2012). “Mania following addition of hydroxytryptophan to monoamine oxidase inhibitor”.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4 (1): 102.e13–4. doi:10.1016/j.genhosppsych.2011.08.014. PMC 3253963. PMID 21963353.
- ↑ Jacobs GE, Kamerling IM, de Kam ML, Derijk RH, van Pelt J, Zitman FG, van Gerven JM (January 2010). “Enhanced tolerability of the 5-hydroxytryptophane challenge test combined with granisetro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4 (1): 65–72. doi:10.1177/0269881108094299. PMID 18719048.
- ↑ “Carbidopa/Levodopa”. Truestarhealth.com. 8 January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9일에 확인함.
- ↑ Joy T, Walsh G, Tokmakejian S, Van Uum SH (January 2008). “Increase of urinary 5-hydroxyindoleacetic acid excretion but not serum chromogranin A following over-the-counter 5-hydroxytryptophan intake”. 《Canad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2 (1): 49–53. doi:10.1155/2008/472159. PMC 2659120. PMID 18209781.
- ↑ Hallin ML, Mahmoud K, Viswanath A, Gama R (January 2013). “'Sweet Dreams', 'Happy Days' and elevated 24-h urine 5-hydroxyindoleacetic acid excretion”. 《Annals of Clinical Biochemistry》 50 (Pt 1): 80–2. doi:10.1258/acb.2012.012041. PMID 23086978.
- ↑ Gustafsson BI, Tømmerås K, Nordrum I, Loennechen JP, Brunsvik A, Solligård E, Fossmark R, Bakke I, Syversen U, Waldum H (March 2005). “Long-term serotonin administration induces heart valve disease in rats”. 《Circulation》 111 (12): 1517–22. doi:10.1161/01.CIR.0000159356.42064.48. PMID 15781732.
- ↑ Xu J, Jian B, Chu R, Lu Z, Li Q, Dunlop J, Rosenzweig-Lipson S, McGonigle P, Levy RJ, Liang B (December 2002). “Serotonin mechanisms in heart valve disease II: the 5-HT2 receptor and its signaling pathway in aortic valve interstitial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61 (6): 2209–18. doi:10.1016/S0002-9440(10)64497-5. PMC 1850896. PMID 12466135.
- ↑ Turner EH, Loftis JM, Blackwell AD (Mar 2006). “Serotonin a la carte: supplementation with the serotonin precursor 5-hydroxytryptophan”. 《Pharmacol Ther.》 109 (3): 325–38. doi:10.1016/j.pharmthera.2005.06.004. PMID 16023217.
- ↑ Michelson D, Page SW, Casey R, Trucksess MW, Love LA, Milstien S, Wilson C, Massaquoi SG, Crofford LJ, Hallett M (December 1994). “An eosinophilia-myalgia syndrome related disorder associated with exposure to L-5-hydroxytryptophan”. 《The Journal of Rheumatology》 21 (12): 2261–5. PMID 7699627.
- ↑ Turner EH, Loftis JM, Blackwell AD (March 2006). “Serotonin a la carte: supplementation with the serotonin precursor 5-hydroxytryptophan”. 《Pharmacology & Therapeutics》 109 (3): 325–38. doi:10.1016/j.pharmthera.2005.06.004. PMID 16023217.
- ↑ Rondanelli M, Opizzi A, Faliva M, Bucci M, Perna S (March 2012).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of 5-hydroxytryptophan from an integrated diet, by means of Griffonia simplicifolia extract, and the effect on satiety in overweight females after oral spray administration”. 《Eat Weight Disord.》 17 (1): e22–8. doi:10.3275/8165. PMID 22142813.
- ↑ Magnussen I, Nielsen-Kudsk F (April 1980). “Bioavailability and related pharmacokinetics in man of orally administered L-5-hydroxytryptophan in steady state”. 《Acta Pharmacologica et Toxicologica》 46 (4): 257–62. doi:10.1111/j.1600-0773.1980.tb02451.x. PMID 6966118.
- ↑ Magnussen I, Engbaek F (July 1978). “The effects of aromatic amino acid decarboxylase inhibitors on plasma concentrations of 5-hydroxytryptophan in man”. 《Acta Pharmacologica et Toxicologica》 43 (1): 36–42. doi:10.1111/j.1600-0773.1978.tb02229.x. PMID 309271.
- ↑ Westenberg HG, Gerritsen TW, Meijer BA, van Praag HM (December 1982). “Kinetics of l-5-hydroxytryptophan in healthy subjects”. 《Psychiatry Research》 7 (3): 373–85. doi:10.1016/0165-1781(82)90074-9. PMID 6187038.
- ↑ Rahman MK, Nagatsu T, Sakurai T, Hori S, Abe M, Matsuda M (October 1982). “Effect of pyridoxal phosphate deficiency on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activity with L-DOPA and L-5-hydroxytryptophan as substrates in rats”.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32 (5): 803–11. doi:10.1254/jjp.32.803. PMID 6983619.
- ↑ Bouchard S, Bousquet C, Roberge AG (September 1981). “Characteristics of dihydroxyphenylalanine/5-hydroxytryptophan decarboxylase activity in brain and liver of cat”. 《Journal of Neurochemistry》 37 (3): 781–7. doi:10.1111/j.1471-4159.1982.tb12555.x. PMID 6974228.
- ↑ Nakatani Y, Sato-Suzuki I, Tsujino N, Nakasato A, Seki Y, Fumoto M, Arita H (May 2008). “Augmented brain 5-HT crosses the blood-brain barrier through the 5-HT transporter in rat”. 《The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27 (9): 2466–72. doi:10.1111/j.1460-9568.2008.06201.x. PMID 18445233.
- ↑ Bouchard S, Roberge AG (July 1979). “Biochemical properties and kinetic parameters of dihydroxyphenylalanine--5-hydroxytryptophan decarboxylase in brain, liver, and adrenals of cat”. 《Canadian Journal of Biochemistry》 57 (7): 1014–8. doi:10.1139/o79-126. PMID 39668.
- ↑ Amamoto T, Sarai K (September 1976). “On the tryptophan-serotonin metabolism in manic-depressive disorders. Changes in plasma 5-HT and 5-HIAA levels and urinary 5-HIAA excretion following oral loading of L-5HTP in patients with depression”. 《Hiroshima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5 (2–3): 135–40. PMID 1088369.
- ↑ “5-HTP: Uses, Side Effects, Interactions and Warnings - WebMD”. 2009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Magnussen I, Jensen TS, Rand JH, Van Woert MH (September 1981). “Plasma accumulation of metabolism of orally administered single dose L-5-hydroxytryptophan in man”. 《Acta Pharmacologica et Toxicologica》 49 (3): 184–9. doi:10.1111/j.1600-0773.1981.tb00890.x. PMID 6175178.
- ↑ Sternberg EM, Van Woert MH, Young SN, Magnussen I, Baker H, Gauthier S, Osterland CK (October 1980). “Development of a scleroderma-like illness during therapy with L-5-hydroxytryptophan and carbidop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03 (14): 782–7. doi:10.1056/NEJM198010023031403. PMID 6997735.
- ↑ “Orange Book: Approved Drug Products with Therapeutic Equivalence Evaluations”.
- ↑ “5-HTP: MedlinePlus Supplements”.
- ↑ 가 나 Jacobsen JP, Rudder ML, Roberts W, Royer EL, Robinson TJ, Oh A, Spasojevic I, Sachs BD, Caron MG (Aug 2016). “SSRI Augmentation by 5-Hydroxytryptophan Slow Release: Mouse Pharmacodynamic Proof of Concept”. 《Neuropsychopharmacology》 41 (9): 2324–34. doi:10.1038/npp.2016.35. PMC 4946063. PMID 26932820.
- ↑ Thombre AG (2005). “Assessment of the feasibility of oral controlled release in an exploratory development setting”. 《Drug Discov Today》 10 (17): 1159–66. doi:10.1016/S1359-6446(05)03551-8. PMID 16182208.
- ↑ “5-Hydroxytryptophan”.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10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5-Hydroxytryptophan (5-HTP)”. 《A.D.A.M., Inc.》.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Animated Dissection of Anatomy for Medicine, Inc. (A.D.A.M., Inc.) provided health and benefits information and technology to healthcare organizations, employers, consum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 ↑ Emanuele E, Bertona M, Minoretti P, Geroldi D (2010). “An open-label trial of L-5-hydroxytryptophan in subjects with romantic stress”. 《Neuro Endocrinology Letters》 31 (5): 663–6. PMID 21178946.
- ↑ “5-hydroxy-L-tryptophan”,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September 2004CID=439280
- ↑ Rondanelli M, Opizzi A, Faliva M, Bucci M, Perna S (March 2012).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of 5-hydroxytryptophan from an integrated diet, by means of Griffonia simplicifolia extract, and the effect on satiety in overweight females after oral spray administration”. 《Eating and Weight Disorders》 17 (1): e22–8. doi:10.3275/8165. PMID 22142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