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산 에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틸 갈레이트에서 넘어옴)

갈산 에틸[1]
Structural formula of ethyl gallate
Space-filling model of ethyl gallate
이름
우선명 (PIN)
ethyl 3,4,5-trihydroxybenzoate
별칭
phyllemblin,
gallic acid ethyl ester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11.462
E 번호 E313 (산화 방지제, ...)
RTECS 번호
  • LW7700000
UNII
  • InChI=1S/C9H10O5/c1-2-14-9(13)5-3-6(10)8(12)7(11)4-5/h3-4,10-12H,2H2,1H3 아니오아니오
    Key: VFPFQHQNJCMNBZ-UHFFFAOYSA-N 아니오아니오
  • InChI=1/C9H10O5/c1-2-14-9(13)5-3-6(10)8(12)7(11)4-5/h3-4,10-12H,2H2,1H3
    Key: VFPFQHQNJCMNBZ-UHFFFAOYAR
  • CCOC(=O)c1cc(c(c(c1)O)O)O
성질
C9H10O5
몰 질량 198.17 g/mol
녹는점 149–153 °C (300–307 °F; 422–426 K)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갈산 에틸(영어: ethyl gallate)는 E 번호가 E313인 식품 첨가물이다. 에틸 갈레이트라고도 한다. 갈산 에틸은 갈산에틸 에스터이다. 갈산 에틸은 항산화제식품에 첨가된다.

갈산 에틸은 호두,[2] 테르미날리아 미리오카르파(Terminalia myriocarpa),[3] 또는 가자나무(Terminalia chebula)[4]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며, 갈산과 에탄올로부터 생성된다.[5] 갈산 에틸은 포도주에서 발견할 수 있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Ethyl gallate at Sigma-Aldrich
  2. Zijia Zhanga; Liping Liaoc; Jeffrey Moored; Tao Wua; Zhengtao Wanga (2009).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walnut kernels (Juglans regia L.)”. 《Food Chemistry》 113 (1): 160–165. doi:10.1016/j.foodchem.2008.07.061. 
  3. Pharmacologically Active Ellagitannins from Terminalia myriocarpa. Mohamed S.A. Marzouk, Sayed A.A. El-Toumy, Fatma A. Moharram, Nagwa M.M. Shalaby and Amany A.E. Ahmed, Planta Med, 2002, 68(6), pages 523-527, doi 10.1055/s-2002-32549
  4. “Haritaki”. Toddcaldecott.com.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5. Enzymic synthesis of gallic acid esters. Weetall, Howard Hayyim. Eur. Pat. 137601 (1985)
  6. Bartolomé, Begoña; Gómez-Cordovés, Carmen; Suárez, Rafael; Monagas, María (2005년 6월 1일).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onanthocyanin Phenolic Compounds in Red Wines by HPLC-DAD/ESI-MS. María Monagas, Rafael Suárez, Carmen Gómez-Cordovés and Begoña Bartolomé, AJEV, June 2005, vol. 56, no. 2, pages 139-147”. 《American Journal of Enology and Viticulture》 56 (2): 139–147.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