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공사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 |
형태 | 공기업 |
---|---|
산업 분야 | 대구도시철도 운영 관리 및 제반 사업 |
창립 |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1989년 9월 1일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1995년 11월 20일 대구도시철도공사: 2008년 10월 1일 |
해체 |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1995년 11월 19일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2008년 9월 30일 |
시장 정보 | 비상장공기업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 |
핵심 인물 | 홍승활 (사장) |
사업 내용 | 도시철도 운송사업 |
제품 | 대구 도시철도 |
자본금 | 4,608,404,543,831원 (2015.12) |
매출액 | 166,034,578,993원 (2015) |
영업이익 | -166,482,391,864원 (2015) |
순이익 | -93,548,125,487원 (2015) |
자산총액 | 3,357,749,967,997원 (2015.12) |
종업원 | 2,357명 (2015.12) |
웹사이트 | http://www.dtro.or.kr |
대구도시철도공사(大邱都市鐵道公社)는 대한민국 대구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개요[편집]
- 조직 형태 : 지방 공기업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7조,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설치조례)
- 설립 목적 : 대경권 도시철도인 대구 도시철도 운영 및 부대사업, 도시교통 발전과 시민복리 증진
- 본사: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 조직 : 사장 3본부 1감사 3실 7처 23부 / 14원.센터.소 (2016.1.1)
- 인원 : 2,468명
조직[편집]
사장[편집]
역대 | 사장 | 임기 |
---|---|---|
1대 | 신태수 | 1995년 10월 23일 ~ 1998년 10월 22일 |
2대 | 이희태 | 1998년 10월 23일 ~ 2001년 7월 24일 |
3대 | 윤진태 | 2001년 7월 25일 ~ 2003년 5월 15일 |
4대 | 이훈 | 2003년 5월 16일 ~ 2004년 4월 30일 |
5대 | 손동식 | 2004년 5월 1일 ~ 2004년 12월 6일 |
6대 | 배상민 | 2004년 12월 7일 ~ 2006년 5월 11일 |
7대 | 2006년 5월 12일 ~ 2009년 5월 31일 | |
8대 | 김인환 | 2009년 6월 1일 ~ 2012년 5월 31일 |
9대 | 류한국 | 2012년 6월 1일 ~ 2014년 2월 19일 |
10대 | 홍승활 | 2014년 4월 20일 ~ 2017년 4월 21일 |
11대 | 2017년 7월 24일 ~ 2020년 7월 24일 | |
12대 | 2020년 7월 24일 ~ 2023년 7월 23일 |
경영지원본부[편집]
- 기획조정처 - 기획예산부, 성과조직부, 정보지원부
- 지원관리처 - 총무인사부, 노사협력부, 회계자산부
운영본부[편집]
- 고객사업처 - 영업전략부, 고객소통부, 사업개발부
- 운전처 - 운전계획부, 운전지도부
기술본부[편집]
- 차량처 - 차량계획부, 차량정비부
- 시설처 - 시설관리부, 기계관리부
- 기술처 - 전기관리부, 신호관리부, 통신관리부, 전자관리부
안전관리실[편집]
- 안전방재부, 환경관리부, 상황관리PL
홍보실[편집]
- 홍보PL
감사실[편집]
- 경영감사부, 기술감사부, 관리부
교육연구원[편집]
- 교육부, 기술개발부
1고객센터[편집]
- 역무지원부, 역무운영부
2고객센터[편집]
- 역무지원부, 역무운영부
3고객센터[편집]
- 역무지원부, 제1관리역, 제2관리역, 제3관리역, 제4관리역, 제5관리역
1호선승무사업소[편집]
- 월배승무부
- 안심승무부
2호선승무사업소[편집]
- 문양승무부
- 경산승무부
종합관제소[편집]
- 운영부, 기술부
경전철사업소[편집]
- 지원부, 관제부, 검수부, 시스템부, 정비PL, 전기기계PL, 토목건축PL
차량사업소[편집]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월배차량사업소, 안심차량사업소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차량사업소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차량사업소, 범물차량사업소
시설기계사업소[편집]
- 보선부
- 토목부
- 건축부
- 기계부
전기통신사업소[편집]
- 전력부
- 변전부
- 통신부
신호전자사업소[편집]
- 신호부
- 전자부
연혁[편집]
- 1989년 9월 1일 :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5년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
- 1997년 11월 26일 : 1호선 1단계(진천~중앙로) 구간 개통
- 1998년 5월 2일 : 1호선 2단계(중앙로~안심) 구간 개통
- 2002년 5월 10일 : 1호선 3단계 대곡 연장구간(대곡~진천) 개통
- 2005년 10월 18일 : 2호선 1단계(문양~사월) 구간 개통
- 2008년 10월 1일 : 대구도시철도공사로 사명 변경
- 2012년 9월 19일 : 2호선 2단계 경산 연장구간(사월~영남대) 개통
- 2015년 4월 23일 : 3호선 칠곡경대병원~용지구간 개통
- 2016년 9월 8일 : 1호선 4단계 달성 연장구간(설화명곡~대곡) 개통
- 2017년 5월 25일 : 1호선-32개역, 2호선-29개역, 다 합쳐서 61개 모든 역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2호선 문양역만 로프형, 나머지 역들은 다 완전 밀폐형)
안내방송[편집]
2011년까지 한국어는 이윤정과 영어는 제니퍼 클라이드였으나 2013년에 다시 개정되었다. 2011년까지는 ‘내리실 문’과 ‘내리시기 바랍니다’로 방송하였으나 2012년 안내 방송 개정과 함께 ‘내리는 문’, ‘내려야 합니다’, '십시오' 등으로 방식이 변경되었다.[1] 하지만 개정된 성우의 방송 안내와 어눌하고 어색한 발음으로 인해 2013년 이윤정과 제니퍼 클라이드 성우로 환원되었으며, ‘내리는 문’, ‘내려야 합니다’, '십시오' 등 안내방송은 그대로 유지중이다. 이때부터 2호선과 3호선 차내에서는 하차문 영어 안내 방송 송출을 중단하였다. 그리고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수성못역 등에서 사투리 방송이 송출되었으나 알아듣기 힘들다는 등의 민원으로 원래의 안내방송으로 환원되었다.
차량 접근음[편집]
운영 노선[편집]
모든 노선에서 매표무인화 역사 운영을 하고 있다.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운행: 평일 23편성 296회, 토요일 20편성 280회, 일요일 15편성 264회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운행: 평일 24편성 296회, 토요일 21편성 280회, 일요일 16편성 264회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운행: 평일 28편성 312회
보유 차량[편집]
외관 | 차량명 | 제작년도 | 제작사 | 제어 방식 | 영업 최고 속도 | 도입대수 | 차량 정보 |
---|---|---|---|---|---|---|---|
지하철 1호선 | |||||||
![]() |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 1996년~1997년 | 한진중공업 | VVVF-GTO (지멘스) | 100km/h | 36편성 216량 | 2003년 2월 18일 방화 참사가 났다. |
지하철 2호선 | |||||||
![]() |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 | 2004년~2005년 | 현대로템 | VVVF-IGBT (미쓰비시) {현대로템 IPM} 2레벨 1C4M제어 | 80km/h | 30편성 180량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18M급 중형 통근형 전동차이다. |
모노레일 3호선 | |||||||
![]() |
대구도시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 2015년 | 히타치 제작소, 우진산전 | VVVF-IGBT | 70km/h | 28편성 84량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어 운행 중인 대구도시철도공사의 모노레일 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이다. |
같이 보기[편집]
- 한국철도공사
- 서울교통공사(구: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인천교통공사(구: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인천메트로)
-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
- 부산교통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