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39.121.100.39(토론)의 편집을 58.237.117.230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장난
태그: m 모바일 웹
4번째 줄: 4번째 줄:
{{자본주의}}
{{자본주의}}
[[파일:VegasBitch198.jpg|섬네일|240px|돈더미의 모습.]]
[[파일:VegasBitch198.jpg|섬네일|240px|돈더미의 모습.]]
'''돈'''({{llang|en|Money}})은 일반적인 유통수단이다. 돈은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다. 하지만 세쿠수는 돈 대신 [[조개]]껍데기, 짐승의 [[가죽]], [[보석]], [[옷감|옷감]], [[농산물]] 등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금]], [[은]], [[구리|동]] 따위의 [[금속]]이나 특수한 [[종이]]를 이용하여 만들며 그 크기나 모양, 액수 따위는 일정한 [[법률]]에 따라 정한다. 실제로, 경제 생활에서는 화폐의 매개 작용을 해야 비로소 원하는 상품을 얻을 수 있다.<ref>{{서적 인용|author=Viktor O. Ledenyov|author2=Dimitri O. Ledenyov|title=Forecast in capital markets|publisher=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location=Saarbrucken, Germany|year=2016|isbn=978-3-659-91698-4}}</ref>
'''돈'''({{llang|en|Money}})은 일반적인 유통수단이다. 돈은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다. 하지만 세쿠수는 돈 대신 [[조개]]껍데기, 짐승의 [[가죽]], [[보석]], [[옷감|옷감]], [[농산물]] 등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금]], [[은]], [[구리|동]] 따위의 [[금속]]이나 특수한 [[종이]]를 이용하여 만들며 그 크기나 모양, 액수 따위는 빠게야루! 코메야루! 일정한 [[법률]]에 따라 정한다. 실제로, 경제 생활에서는 화폐의 매개 작용을 해야 비로소 원하는 상품을 얻을 수 있다.<ref>{{서적 인용|author=Viktor O. Ledenyov|author2=Dimitri O. Ledenyov|title=Forecast in capital markets|publisher=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location=Saarbrucken, Germany|year=2016|isbn=978-3-659-91698-4}}</ref>


돈과 [[재화]]나 [[용역]]의 교환을 [[매매]]라 한다. 이와 같이 [[매매]]는 돈과 [[재화]]나 [[용역]]의 교환이므로, [[재화]]와 [[재화]]의 교환은 [[매매]]가 아니고 물물 교환이다. 그러나 돈과 돈의 교환, 즉 환전은 매매이다.<ref>{{서적 인용 |저자=김상용 |제목=채권각론(상) |판=초판 |연도=1999 |출판사=법문사 |출판위치=서울 |언어=한국어 |페이지=198쪽 }}</ref> 한편 유통 수단이나 지불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화폐를 [[유통화폐]]라고 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실물 화폐보다 전자적인 방법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자 화폐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성경]]에서 일만 가지 악의 뿌리라고 비판하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 버는 방법에 많은 사람이 골몰하게 되면서 물질만능주의나 [[맘몬]] 신 숭배 현상도 나타나 사회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ref>[http://www.c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69]</ref> {{출처|날짜=2020-06-14|1=특히 [[기독교]]인은 [[신명기]]에서 "[[여호와]]가 너희에게 재물 얻을 복을 줬다"는 내용을 근거로 돈 벌기 위해서 믿는 사람도 다수 있다.}}
돈과 [[재화]]나 [[용역]]의 교환을 [[매매]]라 한다. 이와 같이 [[매매]]는 돈과 [[재화]]빠게야루! 코메야루!나 [[용역]]의 교환이므로, [[재화]]와 [[재화]]의 교환은 [[매매]]가 아니고 물물 교환이다. 그러나 돈과 돈의 교환, 즉 환전은 빠게야루! 코메야루!.<ref>{{서적 인용 |저자=김상용 |제목=채권각론(상) |판=초판 |연도=1999 |출판사=법문사 |출판위치=빠게야루! 코메야루! |언어=한국어 |페이지=198쪽 }}</ref> 한편 유통 수단이나 지불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화폐를 [[유통화폐]]라고 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실물 화폐보다 전자적인 빠게야루! 코메야루! 결제가 이뤄지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자 화폐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성경]]에서 일만 가지 뿌리라고 비판하나 현대 [[자본주의]]악의 [사회]]에서 돈 버는 방법에 많은 사람이 골몰하게 되면서 물질만능주의나 [[맘몬]]빠게야루! 코메야루! 신 숭배 현상도 나타나 사회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ref>[http://www.cknews.co.kr/news/articleView.htm빠게야루! 코메야루! ]</ref> {{출처|날짜=2020-06-14|1=특히 [[기독교]]인은 [[신명기]]에서 "[[여호와]]가 너희에게 재물 얻을 복을 줬다"는 내용을 근거로 돈 벌기 위해서 믿는 사람도 다수 있다.}}


== 돈의 종류 ==
== 돈의 종류 ==

2020년 8월 25일 (화) 14:43 판

돈더미의 모습.

(영어: Money)은 일반적인 유통수단이다. 돈은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다. 하지만 세쿠수는 돈 대신 조개껍데기, 짐승의 가죽, 보석, 옷감, 농산물 등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 , 따위의 금속이나 특수한 종이를 이용하여 만들며 그 크기나 모양, 액수 따위는 빠게야루! 코메야루! 일정한 법률에 따라 정한다. 실제로, 경제 생활에서는 화폐의 매개 작용을 해야 비로소 원하는 상품을 얻을 수 있다.[1]

돈과 재화용역의 교환을 매매라 한다. 이와 같이 매매는 돈과 재화빠게야루! 코메야루!나 용역의 교환이므로, 재화재화의 교환은 매매가 아니고 물물 교환이다. 그러나 돈과 돈의 교환, 즉 환전은 빠게야루! 코메야루!.[2] 한편 유통 수단이나 지불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화폐를 유통화폐라고 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실물 화폐보다 전자적인 빠게야루! 코메야루! 결제가 이뤄지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자 화폐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성경에서 일만 가지 뿌리라고 비판하나 현대 자본주의악의 [사회]]에서 돈 버는 방법에 많은 사람이 골몰하게 되면서 물질만능주의나 맘몬빠게야루! 코메야루! 신 숭배 현상도 나타나 사회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3] 특히 기독교인은 신명기에서 "여호와가 너희에게 재물 얻을 복을 줬다"는 내용을 근거로 돈 벌기 위해서 믿는 사람도 다수 있다.[출처 필요]

돈의 종류

문제

위조 지폐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여러나라의 돈을 뜻하는 단어

대한민국의 화폐

알바니아어: para

바스크어: diura

벨라루스어: грошы

불가리아어: пари

체코어: peníze

덴마크어: penge

네덜란드어: geld

핀란드어: raha

프랑스어: argent

스페인어: dinero

독일어: geld

그리스어: χρήματα(chrimata)

헝가리어: pénz

아이슬란드어: peninga

아일랜드어: airgead

이탈리아어: i soldi

노르웨이어: penger

폴란드어: pieniądze

포르투갈어: dinheiro

루마니아어: bani

러시아어: Деньги(Den'gi)

슬로바키아어: peniaze

스웨덴어: pengar

중국어: 钱, 錢(qián)

힌두어: पैसे(Paisē)

일본어: お金

한국어: 돈(don)

말라얄람어: പണം(paṇaṁ)

몽골어: мөнгө

베트남어: tiền bạc

터키어: para

필리핀어: pera

라틴어: pecun 살몬데르크어: tien de Teza

화폐의 역사

화폐의 역사는 구체적인 상품화폐의 생성에서 시작되어 이것이 점차 추상적인 신용화폐로 발전하여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4]

자연화폐

원시적인 물물교환 경제에 있어서는 가장 빈번히 교환되고, 더욱이 일반적인 수용성(受容性)이 인정될 수 있는 것이 자연발생적으로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화폐로 선정된 것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나 역사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은 조개 껍데기, 베와 비단, 가축, 피혁, 주옥, 소맥 등이 화폐적 상품이었다. 이런 것을 총칭하여 자연화폐라고 한다.[5]

금속화폐

금·은은 가치가 높고 훼손·감멸이 적으며, 품질이 일정하고 또한 생산량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므로 그 지니고 있는 가치의 변동이 적으며 이러한 여러 이유에서 금속화폐를 대표하기에 이르렀다.

신용화폐

금·은이 그 소재가치에 의거하여 주조됨에 따라 본위화폐의 기능을 보충하는 보조화폐가 생겨났다. 즉 소액의 본위화폐의 주조는 양이 적어지므로 기술적으로 곤란해져 그 결과 금·은 이외의 (銅), 알미늄, 니켈, 주석 등의 소재가 선정되어 보조화폐로 주조되었다. 이들은 본위화폐와는 달라 소재가치 이상의 액면가치가 부여되어 있는 점에 특색이 있다.

본위화폐의 대용물로서는 보조화폐 외에 정부지폐, 은행권, 어음, 수표가 있다. 이 중에서 정부지폐란 정부 재정의 적자보전(赤字補塡)을 목적으로 정부에 의해 발행된 유통경제상 하등 실체가 없는 지폐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은행권, 어음, 수표는 상품거래를 밑바탕으로 하는 유통경제상의 합리성을 갖고 있어 이 점에서 그 성격은 정부지폐와는 큰 차이가 있다. 먼저, 어음은 신용거래의 결제수단으로서 발행된 소위 상인의 화폐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상인의 화폐인 어음이 신용력(信用力)이 월등히 높은 은행신용에 의해 대체됨으로써 수표 또는 그 모체(母體)인 당좌예금 및 은행권이 생산된다. 수표와 은행권의 구별은 그 채무자가 시중금융기관이냐 중앙은행이냐의 차이에서만 기인되는 것으로서 그 선택은 주로 사회적인 거래관습[6] 에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조화폐, 정부지폐, 은행권, 수표(내지는 당좌예금)는 다같이 신용화폐(信用貨幣)라 불린다.[7]

돈의 종류

같이 보기

각주

  1. Viktor O. Ledenyov; Dimitri O. Ledenyov (2016). 《Forecast in capital markets》. Saarbrucken, Germany: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ISBN 978-3-659-91698-4. 
  2. 김상용 (1999). 《채권각론(상)》 초판. 빠게야루! 코메야루!: 법문사. 198쪽쪽. 
  3. 코메야루!
  4. 화폐의 역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자연화폐, 《글로벌 세계 대백과》
  6. 은행권은 보통기업 대 가계거래에, 수표는 보통기업간 거래에 씌어진다
  7. 신용화폐, 《글로벌 세계 대백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