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신라 왕실에 대한 내용이다. (신라의 국왕 계보 참고)

선도산성모
仙桃山聖母
1
혁거세 거서간
赫居世 居西干
-57년 ~ 4년
알지
閼智
2
남해 차차웅
南解 次次雄
4년 ~ 24년
세한
勢漢
3
유리 이사금
儒理 尼師今
24년 ~ 57년
아효부인
阿孝夫人
4
탈해 이사금
脫解 尼師今
57년 ~ 80년
아도
阿道
7
일성 이사금
逸聖 泥師今
134년 ~ 154년
5
파사 이사금
婆娑 尼師今
80년 ~ 112년
구추
仇鄒
수류
首留
8
아달라 이사금
阿達羅 泥師今
154년 ~ 184년
6
지마 이사금
祗摩 泥師今
112년 ~ 134년
9
벌휴 이사금
伐休 泥師今
184년 ~ 196년
욱보
郁甫
세신 골정
世神 骨正
이매
伊買
구도 갈문왕
仇道 葛文王
11
조분 이사금
助賁 泥師今
230년 ~ 247년
12
첨해 이사금
沾解 泥師今
247년 ~ 261년
10
내해 이사금
奈解 泥師今
196년 ~ 230년
13
미추 이사금
味鄒 泥師今
261년 ~ 284년
말구
末仇
14
유례 이사금
儒禮 泥師今
284년 ~ 298년
걸숙
乞淑
우로
于老
17
내물 마립간
奈勿 麻立干
356년 ~ 402년
대서지
大西知
15
기림 이사금
基臨 泥師今
298년 ~ 310년
16
흘해 이사금
訖解 泥師今
310년 ~ 356년
19
눌지 마립간
訥祗 麻立干
417년 ~ 458년
파호 갈문왕
巴胡 葛文王
18
실성 마립간
實聖 麻立干
402년 ~ 417년
20
자비 마립간
慈悲 麻立干
458년 ~ 479년
습보 갈문왕
習寶 葛文王
21
소지 마립간
炤知 麻立干
479년 ~ 500년
22
지증왕 지대로
智證王 智大路
500년 ~ 514년
23
법흥왕 원종
法興王 原宗
514년 ~ 540년
입종 갈문왕
立宗 葛文王
24
진흥왕 삼맥종
眞興王 彡麥宗
540년 ~ 576년
동륜
銅輪
25
진지왕 사륜
眞智王 舍輪
576년 ~ 579년
26
진평왕 백정
眞平王 伯淨
579년 ~ 632년
백반 갈문왕
伯飯 葛文王
국반 갈문왕
國飯 葛文王
용수
龍樹
마차
摩次
27
선덕여왕 덕만
善德女王 德曼
632년 ~ 647년
28(상대終)
진덕여왕 승만
眞德女王 勝曼
647년 ~ 654년
알천
閼川
29(중대始)
무열왕 춘추
武烈王 春秋
654년 ~ 661년
추존
현성대왕 법선
玄聖大王 法宣
30
문무왕 법민
文武王 法敏
661년 ~ 681년
?추존
신영대왕 의관
神英大王 義寬
31
신문왕 정명
神文王 政明
681년 ~ 692년
추존
흥평대왕 위문
興平大王 魏文
32
효소왕 이홍
孝昭王 理洪
692년 ~ 702년
33
성덕왕 흥광
聖德王 興光
702년 ~ 737년
추존
명덕대왕 효양
明德大王 孝讓
34
효성왕 승경
孝成王 承慶
737년 ~ 742년
35
경덕왕 헌영
景德王 憲英
742년 ~ 765년
사소부인
四炤夫人
추존
개성대왕 효방
開聖大王 孝芳
38
원성왕 경신
元聖王 敬信
785년 ~ 798년
36(중대終)
혜공왕 건운
惠恭王 乾運
765년 ~ 780년
37(하대始)
선덕왕 양상
宣德王 良相
780년 ~ 785년
추존
혜충대왕 인겸
惠忠大王 仁謙
추존
혜강대왕 예영
惠康大王 禮英
39
소성왕 준옹
昭聖王 俊邕
798년 ~ 800년
41
헌덕왕 언승
憲德王 彦昇
809년 ~ 826년
42
흥덕왕 수종
興德王 秀宗
826년 ~ 836년
추존
선강대왕 충공
宣康大王 忠恭
추존
익성대왕 헌정
翌成大王 憲貞
추존
성덕대왕 균정
成德大王 均貞
40
애장왕 청명
哀莊王 淸明
800년 ~ 809년
45
신무왕 우징
神武王 祐徵
839년
44
민애왕
閔哀王 明
838년 ~ 839년
43
희강왕 제륭
僖康王 悌隆
836년 ~ 838년
47
헌안왕 의정
憲安王 誼靖
857년 ~ 861년
46
문성왕 경응
文聖王 慶膺
839년 ~ 857년
추존
의공대왕 계명
懿恭大王 啟明
48
경문왕 응렴
景文王 膺廉
861년 ~ 875년
추존
혜성대왕 위홍
惠成大王 魏弘
추존
의흥대왕 인경
懿興大王 仁慶
추존
선성대왕 예겸
宣聖大王 乂兼
49
헌강왕
憲康王 晸
875년 ~ 886년
50
정강왕
定康王 晃
886년 ~ 887년
51
진성여왕
眞聖女王 曼
887년 ~ 897년
추존
신흥대왕 효종
神興大王 孝宗
53
신덕왕 경휘
神德王 景暉
912년 ~ 917년
52
효공왕
孝恭王 嶢
897년 ~ 912년
56(終)
경순왕
敬順王 傅
927년 ~ 935년
54
경명왕 승영
景明王 昇英
917년 ~ 924년
55
경애왕 위응
景哀王 魏膺
924년 ~ 927년

박씨 왕조[편집]

위 문서는 신라 왕의 가계도편에서 가져왔습니다.

1대.혁거세 거서간[편집]

2대.남해 차차웅[편집]

3대.유리 이사금[편집]

5대.파사 이사금[편집]

6대.지마 이사금[편집]

7대.일성 이사금[편집]

8대.아달라 이사금[편집]

53대.신덕왕[편집]

  • 외증조할아버지 : 박원린(朴元隣) 각간(角干) - 아달라왕의 원손
  • 외할아버지 : 박순홍(朴順弘) 각간(角干) - 성무왕(成武王)으로 추봉
  • 어머니 : 정화부인(貞和夫人) 또는 진화부인(眞花夫人)
  • 할아버지 : 박문관(朴文官) 해간(海干)
  • 아버지(생부) : 박문원(朴文元) 이간(伊干) - 흥렴왕(興廉王)으로 추봉
  • 아버지(양부) : 박예겸(朴乂兼 또는 朴銳謙) - 흥덕왕의 원손, 헌강왕 시기 대아찬(大阿飡)으로 시중이 됨. 선성왕(宣聖王 또는 宣成王)으로 추봉

54대.경명왕[편집]

  • 부왕 : 신덕왕(神德王, ? ~917, 재위:912~917)
  • 모후 : 의성왕후 김씨(義成王后 金氏)
    • 국왕 : 경명왕(景明王, ? ~924, 재위:917~924)
    • 왕비 : 신라 금입택 중 하나인 장사택(長沙宅)의 소유주인 각간(角干) 김대존(大尊)의 딸
      • 장남 :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 : 밀양 박씨의 시조
      • 차남 : 고양대군 박언성(朴彦成) : 고령 박씨의 시조
      • 3남 : 속함대군(速咸大君) 박언신(朴彦信) : 함양(咸陽) 박씨(朴氏)의 시조
      • 4남 : 죽성대군 박언립(朴彦立) : 죽산박씨 시조(박기오)의 아버지. 죽주박씨竹州=죽산박씨竹山, 고성박씨, 음성박씨
      • 5남 : 사벌대군 박언창(朴彦昌) 상주 박씨의 시조
      • 6남 : 완산대군 박언화(朴彦華) 전주 박씨, 무안 박씨의 시조
      • 7남 : 강남대군 박언지(朴彦志) 순천 박씨
      • 8남 : 월성대군 박언의(朴彦義) 월성 박씨

55대.경애왕[편집]

  • 부왕 : 신덕왕(神德王, ? ~917, 재위:912~917)
  • 모후 : 의성왕후 김씨(義成王后 金氏)
    • 왕비 : 미상
    • 동생 : 박효렴(朴孝廉)

석씨 왕조[편집]

위 문서는 신라 왕의 가계도편에서 가져왔습니다.

4대.탈해 이사금[편집]

9대.벌휴 이사금[편집]

10대.내해 이사금[편집]

11대.조분 이사금[편집]

  • 아버지: 석골정(昔骨正)
  • 어머니: 옥모부인 김씨(玉帽夫人 金氏) - 구도 갈문왕(仇道 葛文王)의 딸.
  • 왕후: 아이혜부인 석씨(阿爾兮夫人 昔氏) - 내해 이사금(奈解泥師今)의 딸.
    • 딸: 명원부인(命元夫人) - 내해 이사금의 장남 석우로에게 출가했으며, 우로는 명원부인의 삼촌으로 아이혜부인의 오빠 혹은 남동생
    • 딸: 광명부인(光明夫人) - 미추 이사금(味鄒泥師今)의 왕후
    • 아들(차남): 이찬 석걸숙(昔乞淑)
      • 손자: 15대왕 기림 이사금, 삼국사기에는 그의 손자 또는 증손자라 하나, 삼국유사에는 그의 손자라는 설과, 그의 둘째아들이라는 설이 같이 수록되어 있다.
  • 후궁: □소부인 박씨(□召夫人 朴氏) - 내음 갈문왕(奈音 葛文王)의 딸

12대.첨해 이사금[편집]

14대.유례 이사금[편집]

15대.기림 이사금[편집]

  • 할아버지 또는 증조부 :11대왕 조분 이사금
  • 아버지 : 이찬 석걸숙(昔乞淑) - 다른 이름은 탈대(脫大)

16대.흘해 이사금[편집]

김씨 왕조[편집]

선대계[편집]

휴저왕
투경후
김일제
김륜
투절후
김상
김건도성경후
김안상
도성이후
김상
김창김잠김명
투후
김당
김섭김참김요도성후
김흠
김준
도성대후
김탕
김융

신라 김씨[편집]

위 문서는 신라 왕의 가계도편에서 가져왔습니다.

13대.미추 이사금[편집]

17대.내물 마립간[편집]

  • 할아버지 : 구도 갈문왕
  • 아버지 : 각간 김말구(金末仇) 갈문왕
  • 어머니 : 휴례부인 김씨(休禮夫人 金氏)
    • 왕후 : 보반부인 김씨(保反夫人 金氏)

18대.실성 마립간[편집]

  • 아버지 : 이찬 김대서지(金大西知)
  • 어머니 : 이리부인 석씨(伊利夫人 昔氏) - 아간 석등보(昔登保), 혹은 석등야(昔登也)의 딸

19대.눌지 마립간[편집]

  • 부왕 : 내물 마립간(奈勿 麻立干, ? ~402 재위:356~402)
  • 모후 : 보반부인 김씨(寶飯夫人 金氏)
    • 왕후 : 아로부인 김씨(阿孝夫人 金氏) - 실성 마립간(實聖 泥師今)의 딸
      • 아들 : 자비 마립간(慈悲 麻立干, ? ~479 재위:458~479)
      • 딸 : 조생부인(鳥生夫人)
      • 사위 : 김습보(金習寶)
    • 후궁 : 치술공주 김씨(鵄述公主 金氏)
      • 딸 : 황아공주(皇我公主)

20대.자비 마립간[편집]

  • 부왕 :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
  • 모후 : 아로부인 김씨(阿孝夫人 金氏)
  • 왕후 : 미사흔의 딸
    • 장남 : 미상
    • 차남 : 미상
    • 아들 :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 딸: 준명공주 김씨(俊明公主 金氏)
  • 아내 : 김씨, 김물력(金勿力)의 딸
  • 아내 : 연제부인 박씨(延帝夫人 朴氏)
    • 아들 : 산종
    • 며느리 : 사도미
      • 손자 : 복승
      • 손서 : 송화공주

21대.소지 마립간[편집]

22대.지증왕[편집]

23대.법흥왕[편집]

24대.진흥왕[편집]

25대.진지왕[편집]

동륜태자[편집]

26대.진평왕[편집]

27대.선덕여왕[편집]

28대.진덕여왕[편집]

29대.태종무열왕[편집]

부인과 후손[편집]

30대.문무왕[편집]

왕비와 후손[편집]

31대.신문왕[편집]

32대.효소왕[편집]

  • 조부 : 문무왕(文武王, 626~681 재위: 661~681) - 신라 제 30대 왕
  • 조모 :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
  • 부왕 : 신문왕(神文王, 653?~692, 재위:681~692) - 신라 제 31대 왕
  • 모후 : 신목왕후 김씨(神穆王后 金氏) - 일길찬 김흠운(金欽運)의 딸.
    • 국왕 : 효소왕(孝昭王, 687~702 재위: 692~702)
    • 왕비 : ?
    • 동생 : 성덕왕(聖德王, 691~737 재위: 702~737)
    • 동생 : 김근질(金根質)
    • 동생 : 김사종(金詞宗)

33대.성덕왕[편집]

  • 조부 : 문무왕(文武王, 626~681 재위: 661~681) - 신라 제 30대 왕
  • 조모 :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
    • 아버지 : 신문왕(神文王, 653?~692, 재위:681~692) - 신라 제 31대 왕
  • 외조부 : 김흠운(金歆運, ? ~655)
  • 외조모 : 요석공주(瑤石公主)
  • 부인과 후손
    • 부인 : 성정왕후(成貞王后 金氏) - 승부령(乘府令) 소판(蘇判) 김원태(金元太)의 딸, 엄정왕후(嚴貞王后)라고도 한다. 3년(704년) 여름 5월에 입궁했다가 15년(716년) 3월에 출궁. 채색비단 5백 필과 밭 2백 결(結), 조(租) 1만 섬을 받았으며, 강신공(康申公)의 옛 집을 사들여 궁밖에서의 거처로 내려 주었다.
      • 딸 : 사소부인 - 이찬 김효방(金孝芳)에게 출가.
      • 아들 : 김중경(重慶) - 태자였으나, 16년(717년) 사망. 시호는 효상태자(孝殤太子)
    • 아내 : 소덕왕후 김씨(炤德王后 金氏) (점물왕후) - 이찬(伊飡) 김순원(金順元)의 딸. 19년(720년) 3월에 납비(納妃). 23년(724년)에 사망.
    • 후궁 : 이름 미상
      • 서자 : 수충(守忠) - 생졸 미상

34대.효성왕[편집]

  • 조부 : 신문왕 - 신라 제31대 왕
  • 조모 : 신목왕후 김씨
  • 외조부 : 김순원
  • 외조모 : 미상
  • 부인 : 왕후 박씨(王后 朴氏) - 각간 진종(眞宗)의 딸. 739 출궁을 당함
  • 부인 : 혜명왕후 김씨(惠明夫人 金氏) - 이찬(伊飡) 김순원(金順元)의 손녀
  • 후궁 : 박씨(朴氏) - 파진찬 영종(英宗)의 딸

35대.경덕왕[편집]

  • 부왕 : 성덕왕
  • 모후 : 소덕왕후 김씨
    • 왕후 : 삼모부인 김씨 - 이찬(伊飡) 김순정(金順貞)의 딸
    • 왕후 : 경수왕후 김씨(景守王后 金氏) 또는 (만월부인 김씨 滿月夫人 金氏) - 서불한(舒弗邯) 의충(義忠)의 딸
    • 후궁 : 순씨 - 이찬 순정의 딸

36대.혜공왕[편집]

  • 증조부 : 신라 제31대 왕 신문왕
  • 증조모 : 신목왕후 김씨 (神穆王后 金氏)
    • 조부 : 신라 제33대 왕 성덕왕
    • 조모 : 소덕왕후 혹은 점물왕후 김씨
      • 부왕 : 경덕왕 (景德王, ? ~765, 재위: 742~765)
  • 증외조부 : 김순정
  • 증외조모 : 수로부인 (水路夫人)
    • 외조부 : 김의충
    • 외조모 : 미상
      • 모후 : 경수왕후 김씨(景守王后 金氏) 또는 만월부인 김씨 - 서불한(舒弗邯) 의충(義忠)의 딸
  • 왕후 : 신파부인(神巴夫人) 위씨(韋靖) - 각간(角干) 위정(韋靖)의 딸[12] = 신보왕후 유씨(維氏) - 이찬 유성(維誠)의 딸[13]
  • 왕후 : 창창부인 김씨 - 이찬 김장(金璋)의 딸

37대.선덕왕[편집]

  • 조부 : 김원훈(金元訓)
    • 아버지 : 김효방(金孝芳) 해찬(海飡)으로 개성왕(開聖王)에 추봉
  • 외조부 : 성덕왕 - 신라 제33대 왕
  • 외조모 : 성정왕후(成貞王后)
    • 어머니 : 사소부인(四炤夫人, 성덕왕의 딸)
    • 계모 : 정의부인 박씨(貞毅夫人 朴氏)
      • 왕비 : 구족왕후 김씨, 각간(角干) 양품(良品)의 딸

38대.원성왕[편집]

  • 8대조부 : 지증왕
  • 7대조부 : 김아진종
  • 6대조부 : 김달복
  • 현조부 : 김흠운
  • 고조부 : 김마차
  • 증조부 : 김의관
  • 조부 : 김위문 또는 김훈입(訓入)
    • 아버지 : 김효양 - 명덕왕(明德王)으로 추존
  • 외조부 : 박창근 이간
    • 어머니 : 지오부인 혹은 계오부인(繼烏夫人) 박씨, 소문태후(昭文太后)로 추존
  • 왕비 : 숙정부인 김씨(淑貞夫人) - 각간 김신술(神述)의 딸
    • 아들 : 인겸(仁謙) 785년 태자 책봉 791년 음력 1월 사망 혜충태자(惠忠太子)에 추증되었다가 소성왕 즉위 후 혜충왕으로 추존
    • 아들 : 의영(義英) - 792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794년 사망, 헌평태자(憲平太子)에 추증
    • 아들 : 예영(禮英) - 이후 혜강왕(惠康王)에 추봉
      • 손자 : 헌정(憲貞) - 정(貞)을 장노(章奴)라고도 함
      • 손자 : 균정(均貞) - 성덕왕(成德王)에 추봉, 부인은 헌목태후(憲穆太后)
      • 손녀 : 귀승부인(貴勝夫人) - 헌덕왕(憲德王)의 부인
    • 딸 : 대룡부인(大龍夫人)
    • 딸 : 소룡부인(小龍夫人)
  • 종6대조부 : 김흠돌
  • 종6대고모 : 김흠신

혜충태자[편집]

  • 부왕 원성왕(元聖王, ? ~798, 재위:785~798)
  • 모후 숙정부인(淑貞夫人)
    • 동생 : 헌평태자(憲平太子) 의영(義英)
    • 동생 : 혜강왕 예영(惠康王 禮英)
    • 누이 : 대룡부인(大龍夫人)
    • 누이 : 소룡부인(小龍夫人)
  • 부인 :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 아들 : 소성왕(昭聖王, 773~800)
      • 손자 : 애장왕(哀莊王, 788~809)
      • 손자 : 김체명(金體明, ? ~ 809)
      • 손녀 : 장화부인(章和夫人) - 흥덕왕의 왕비
    • 아들 : 헌덕왕(憲德王, 775~826)
      • 손자 : 김장렴(金張廉)
    • 아들 : 흥덕왕(興德王, 777~836)
    • 며느리 : 장화부인(章和夫人) - 소성왕의 딸
      • 손자 : 김능유(金能儒)
    • 아들 : 김충공(金忠恭, ? ~ 835년)
    • 며느리 : 귀보부인(貴寶夫人) - 선의태후(宣懿太后)에 추증
      • 손자 : 민애왕
      • 손녀 : 문목왕후(文穆王后)
  • 후궁 : 포도부인 박씨(包道夫人) - 김헌정에게 재가

39대.소성왕[편집]

  • 아버지 : 혜충태자(惠忠太子, ? ~791/792)
  • 어머니 :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 왕후 : 계화부인 김씨(桂花夫人 金氏) - 대아찬 숙명(叔明)의 딸
      • 아들 : 청명(淸明) - 후에 중희(重熙)로 개명, 800년에 13세의 나이로 즉위(애장왕)
      • 아들 : 체명(體明) - 애장왕과 함께 주살(呪殺)됨
      • 딸 : 장화부인(章和夫人) - 흥덕왕의 왕비

40대.애장왕[편집]

  • 부왕 : 소성왕(昭聖王, ? ~800, 재위:798~800)
  • 모후 : 계화부인 김씨(桂花夫人)

41대.헌덕왕[편집]

  • 아버지 : 혜충태자 김인겸
  • 어머니 : 성목태후
    • 왕후 : 귀승부인 김씨(貴勝夫人 金氏) - 헌덕왕의 숙부인 각간 김예영(金禮英)의 딸이다. 809년 당나라로부터 왕후에 책봉받을 때는 성덕왕 대의 시중이자 경덕왕황룡사종의 시주인 이찬 김효진(金孝眞) 또는 김효정(金孝貞)의 이름을 딴 정씨(貞氏)를 성으로 사용하였다.
      • 아들 : 제3자 심지왕사心地王師
      • 며느리 : 정교부인 - 김충공의 딸, 삼국유사에서는 왕후로 나옴

42대.흥덕왕[편집]

  • 조부 : 원성왕(元聖王, ? ~798년) - 신라 제38대 왕
  • 조모 : 숙정부인 김씨(淑貞夫人) - 각간 김신술(神述)의 딸
  • 아버지 : 혜충태자(惠忠太子, ? ~ 791년) - 혜충왕(惠忠王)으로 추존
  • 어머니 :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金氏, 생몰년 미상)
    • 왕비 : 정목왕후 김씨(定穆王后 金氏, 장화부인, ? ~ 826년) - 소성왕의 딸

43대.희강왕[편집]

  • 증조부 : 원성왕(元聖王, ? ~798, 재위:785~798)
  • 증조모 : 숙정부인(淑貞夫人)
  • 조부 : 김예영(金禮英) - 혜강태자(惠康太子)에 추증, 이후 혜강왕(惠康王)에 추봉.
  • 부친 : 김헌정(金憲貞) - 헌장노(憲章奴)라고도 한다. 익성왕(翌成王)으로 추봉.
  • 모친 : 포도부인 박씨(包道夫人 朴氏) - 대아간(大阿干) 충녜(忠祢)의 딸 - 후에 순성태후(順成太后)로 추봉.

44대.민애왕[편집]

  • 증조부 : 제38대 원성왕(元聖王, ? ~ 798년)
  • 조부-외조부 : 혜충태자 인겸(惠忠太子 仁謙, ? ~ 791년) - 원성왕의 장자. 소성왕에 의해 혜충왕(惠忠王)으로 추존.
    • 아버지 : 김충공(金忠恭, ? ~ 835년) - 선강왕(宣康王)으로 추존.
    • 어머니 : 귀보부인[14] 김씨(貴寶夫人金氏, 생몰년 미상) -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존. 《삼국사기》에는 박씨(朴氏)로 기록되어 있다.
      • 누이 : 문목부인 김씨(文穆夫人金氏) - 희강왕의 왕비이며 경문왕의 할머니.
      • 누이 : 조명부인 김씨(照明夫人金氏) - 김균정의 부인이며 헌안왕의 어머니.
    • 왕후 : 윤용왕후 김씨(允容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 - 각간(角干) 영공(永公)의 딸.

45대.신무왕[편집]

  • 증조부 : 원성왕(元聖王, ? ~ 798/799 재위:785~798)
  • 증조모 : 숙정왕후 김씨(淑貞王后 金氏) - 각간 신술(神述)의 딸
  • 조부 : 김예영(金禮英) - 혜강왕(惠康王)에 추봉
  • 아버지 : 김균정 - 성덕왕(成德王)에 추봉
  • 어머니 : 정교부인 박씨(貞矯夫人 朴氏) - 헌목태후(憲穆太后)로 봉해짐
    • 왕비 : 정계부인(貞繼夫人) - 정종태후(定宗太后)로 추봉
    • 이복동생 : 헌안왕(憲安王, ? ~861 재위:857~861)

46대.문성왕[편집]

  • 부왕 : 신무왕(神武王, ? ~ 839, 재위:839~839)
  • 모후 : 정계부인(貞繼夫人) 또는 정종태후(定宗太后)
    • 왕비 : 소명왕후(炤明王后) 박씨(朴氏) - 김충공(金忠恭)의 딸
      • 양자 : 헌안왕(憲安王, ? ~ 861, 재위:857~861)
    • 왕비 : 흔명부인(昕明夫人) - 이찬(伊飡) 위흔(魏昕)의 딸

47대.헌안왕[편집]

  • 아버지 : 김균정(金均貞) - 성덕왕(成德王)으로 봉해짐
  • 의붓어머니 또는 이모 : 진교부인(眞矯夫人)
  • 어머니 : 조명부인(照明夫人) - 충공(忠恭)의 딸. 소명왕후(炤明王后)로 추봉
    • 이복 형 또는 이종사촌형 : 신라 신무왕(新羅 神武王)
    • 이복 형수 또는 이종사촌형수 : 정계부인(貞繼夫人)
    • 왕비 : ??씨(??氏)
      • 딸 : 영화부인(寧花夫人) - 경문왕(景文王)의 왕후
      • 딸 : 문의왕후 김씨(文懿王后 金氏) - 경문왕(景文王)의 왕후
      • 아들 : 궁예(弓裔)
        • 손자 : 청광보살
        • 손자 : 신광보살

48대.경문왕[편집]

  • 증조부 : 김헌정(金憲貞) 후일 익성왕(翌成王)으로 추봉
  • 증조모 : 포도부인(包道夫人) 후일 순성태후(順成太后)으로 추봉
  • 조부 : 희강왕(僖康王, ? ~838, 재위:836~838)
  • 조모 : 문목왕후(文穆王后)
  • 아버지 : 김계명(金啓明)
  • 어머니 : 광화부인(光和夫人)

49대.헌강왕[편집]

  • 부왕 : 경문왕(景文王)
  • 적모 : 영화부인(寧花夫人)
  • 모후 : 문의왕후(文懿王后) - 문자왕후(文資王后)라고도 한다.
    • 왕비 : 의명부인(懿明夫人) - 의명왕태후(義明王太后)로 추존

50대.정강왕[편집]

  • 부왕 : 경문왕 (景文王)
  • 모후 : 문의왕후(文懿王后)

51대.진성여왕[편집]

  • 부왕 : 경문왕(景文王, 841/846~875, 재위:861~875)
  • 모후 : 문의왕후 김씨(文懿王后 金氏)
    • 숙부,남편 : 김위홍(金魏弘, ? ~888)
      • 의붓아들 : 김양정(金良貞)

52대.효공왕[편집]

  • 부왕 : 헌강왕(憲康王)
  • 모후 : 의명왕후(義明王后)
    • 손윗처남이자 이복 자형: 신덕왕 박경휘(神德王 朴景暉)
    • 왕후 : 왕비 박씨(王妃 朴氏) - 이찬 박예겸(朴乂謙)의 딸이자 신덕왕(神德王)의 여동생.

56대.경순왕[편집]

비정통 군주 김씨 왕조[편집]

계림도독부, 장안국[편집]

후백제[편집]

조부 : 입종 갈문왕

조모 : 지소태후

외조부 : 박영실

외조모 : 옥진궁주

부인 : 반야공주 김씨

  • 아들 : 수품
    • 며느리 : 천장낭주

부인 : 보화공주

  • 아들 : 선품
    • 손녀 : 자의왕후 김씨
    • 손녀 : 운명
    • 손녀 : 야명
    • 손자 : 김순원

견훤계[편집]

  • 선조 : 김순원
      .
      .
      .
      .
  • 조부 : 작진
  • 조모 : 왕교파리

도래왕, 도래계 왕족[편집]

가라포고이[편집]

加羅布古伊(일본식이름), 일본후기의 기록에 따르면 814년 음력 8월 23일 일행 5명과 함께 귀화했다고 한다. 당시 신라는 일본과 779년, 이후 국교가 단절되어 있던 상황으로 일본으로 표류해 도착한 뒤 신라로 돌아가지 않고 정착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름을 보아 가야 지방의 유이민이고, 이름은 '포고이'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각절왕[편집]

角折王(한자식 묘호), 고키노비도씨(近義首氏)[31], 일본 기록인 <신찬성씨록>에 등장하는 신라의 왕.

물론 신라 본국의 왕일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일본에 진출한 많은 신라인 중 하나인 것으로 여겨진다. 기록에 의하면 일본에서 이후 이즈미구니(和泉國)가 되는 지역을 개척하였고, 그리하여 전문적인 직무를 가진 베(部)를 통솔하는 호족인 고키노비도(近義首)라는 성씨의 조상이 되었다.

하지만 실존했다고 보기 힘든 인물이다. 왜냐하면 '각절'은 고유명사라기보다는 '소나갈질지' 같이 절풍 모양의 관모를 묘사한 말에 불과하다고할 수 있기 때문이며 또는 신라의 관등인 각간 및 상대등과 연관시키는 견해도 존재한다. 지증왕의 다른 표기로는 지대로(智大路) / 지철로(智哲老)가 모두 가능한데 이 때 대로가 상대등의 일본어 음차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다만 마루야마 고분군의 존재를 미루어 보면 이즈미구니 일대에 신라 유이민의 존재가 확인되긴 했다.

낭자왕[편집]

郎子王(한자식 묘호), 일본 측 씨족지인 신찬성씨록에만 등장하는 신라의 왕. 카와치노쿠니(河内国)[2]의 대하량(大賀良), 하량성(賀良姓)의 시조가 낭자왕의 후예로 기록되어 있다. 미정집성(未定雑姓)이기 때문에 이들의 성은 기록되지 않았다.

다만 각절왕과 마찬가지로 신라 국왕이라는 언급이 없기 때문에 신라 본국의 왕일 가능성은 적은 편이다.

낭자왕을 가야계로 보는 주장도 존재한다. 대하량씨(大賀良氏), 하량성씨(賀良姓氏)로 도래.

이사지왕[편집]

尒斯智王(한자식 묘호), 김(金)씨로 추정. 태조 성한왕처럼 한국의 사서에선 등장하지 않고 금석문인 금관총(이사지왕릉)의 유물에서 이름이 발견된 신라의 왕.

유물 자체는 1921년 일제강점기 발굴 때 출토됐으나 시대가 시대인데다 당시 일제도 철저히 준비하고 발굴한 게 아니라 우연히 시작했던 일이었기 때문에 상당히 졸속으로 진행되었다. 결국 현대에 재발굴이 진행되었고, 이 재발굴에서 92년만인 2013년에야 이전엔 찾아볼 수 없었던 이사지왕이라는 인명을 발견했다. 금관총의 주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금관총의 유물이 5세기 후반으로 비정되는 걸로 보아 5세기 후반에 활동한 왕족으로 보여진다. 결론부터 말하지면 알 수 없다. 무덤의 양식을 볼 때 이사지왕이란 인물이 활동했던 무렵의 왕이면 자비 마립간, 소지 마립간, 지증왕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금관총 조성시기를 5세기 후반으로 볼 경우 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 시기에 활동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사지왕이라는 인물이 신라의 국왕이라면 이 왕들 중 한 명의 다른 이름이 이사지왕이라는 말인데, 자비 마립간이나 소지 마립간이라고 하기에는 음의 연관성도 미약하다. 묘지문이 나오지 않는 이상 금관총=이사지왕의 무덤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2015년 금관총 재발굴에서 '이사지왕도'라고 새겨진 칼집 부속구가 추가로 확인되고, 금관총에서 출토된 이사지왕 관련 명문 환두대도 3점의 실존이 모두 확인됨에 따라 일단 금관총은 이사지왕이라는 사람의 무덤으로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가 되었다.

비록 이사지왕이 "왕"이라는 호칭을 쓰고 있지만 포항 냉수리 신라비(503년 조성)에서 '차칠왕'이라는 표기나 그 외 여러 갈문왕에서 왕의 용례가 사용된 것을 보면 왕호 자체는 일찍 받아들였으나 확정된 것이 지증왕 무렵이었다. 따라서 고위 귀족인 이사지왕이 '왕'이란 호칭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당시 신라 왕으로 비정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이사지왕과 관련된 연구가 거듭될수록 노태돈이 주장했던 "고대국가 초기부터 일정 시기까지 신라의 왕들은 6부의 대표자였지 통치자가 아니었다."라는 가설이 점점 더 힘을 얻고 있다.

한편, 이사지왕(尒斯智王)의 이사(尒斯)가 이사금(泥斯今)의 이사(泥斯)와 같은 단어일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이사지왕은 특정 인명이 아닌 단순한 왕으로서의 호칭이 된다. 尒와 泥는 중고한어에서 발음이 각각 [nie]와 [nei]로 유사하다.

후손 가문[편집]

박씨[편집]

  • 장남 :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 : 밀양 박씨의 시조
  • 차남 : 고양대군 박언성(朴彦成) : 고령 박씨의 시조
  • 3남 : 속함대군(速咸大君) 박언신(朴彦信) : 함양(咸陽) 박씨(朴氏)의 시조
  • 4남 : 죽성대군 박언립(朴彦立) : 죽산박씨 시조(박기오)의 아버지. 죽주박씨竹州=죽산박씨竹山, 고성박씨, 음성박씨
  • 5남 : 사벌대군 박언창(朴彦昌) 상주 박씨의 시조
  • 6남 : 완산대군 박언화(朴彦華) 전주 박씨, 무안 박씨의 시조
  • 7남 : 강남대군 박언지(朴彦志) 순천 박씨
  • 8남 : 월성대군 박언의(朴彦義) 월성 박씨

월성 석씨[편집]

경주 김씨[편집]

분파[편집]

벽상공신내사령공파[편집]

  • 파조 김예겸(金禮謙) :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내사령(內史令)을 지냈다.[32] 손자 김의진(金義珍)은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양신(良愼)이다. 6세손 김인경(金仁鏡)도 문과 급제 후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정숙(貞肅)이다.
    • 인물 : 김주정, 김의진, 김후덕, 김수지, 김영고, 김인경, 김연성, 김영, 김서인, 김충한

평장사공파[편집]

태사공파[편집]

판도판서공파[편집]

  • 파조 김장유(金將有) : 고려 말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다.[35] 6세손 김정(金淨)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湖糖)에 선정되고, 순창군수,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하였다. 기묘사화로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며, 충북 보은 상현서원에 배향되었다.

계림군파[편집]

  • 파조 김균(金稛) : 김균(金稛) 김인위(金因渭)의 후손이다. 태조 때에 개국 공신이 되었으며,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제숙(齊肅)이다. 계림군파에서 최초로 발행한 족보에서는 원시조를 김순웅(金順雄)[36] 고려 초 장군(將軍)으로 모시고 있다. 고려시대 김지우 묘지석에 따르면 파조 시조 김균의 조상 김인위의 선대조상을 원성왕으로 밝히고 있다.

호장공파[편집]

  • 파조 김위영(金魏英) : 고려 초 호장(戶長)을 역임했다.[37] 증손자 김부일(金富佾)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태위(太尉)였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었으며, 동생 김부식(金富軾)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중서령(中書令)이었고, 낙랑후(樂浪侯)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인종 묘실(仁宗廟室)에 배향되었다. 동생 김부의(金富儀)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공(司空)이었으며, 시호는 문의(文懿)이다.[38]

상서공파[편집]

  • 파조 김여진(金麗珍) : 조선 조 상서(尙書)를 역임했다.[39]

목사공파[편집]

  • 파조 김소(金邵) : 조선 조 목사(牧使)를 역임했다.[40]

판서공파[편집]

  • 파조 김의(金義) : 고려 말 판서(判書)를 역임했다.[41]

판서공파[편집]

직장공파[편집]

  • 파조 김수구(金壽龜) : 상의원 직장(尙衣院 直長)을 역임했다.[43]

상호군파[편집]

  • 파조 김중약(金仲約) : 조선 조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했다.[44]

울산 김씨[편집]

각주[편집]

  1. 김부식(1145), 《삼국사기》 〈권제2〉 아달라 이사금 條 “妃朴氏內禮夫人祗摩王之女也” (비는 박씨 내례부인으로 지마왕의 딸이다.)
  2. 삼국유사 왕력편
  3. 《삼국사기》 권2 신라본기 내해이사금 즉위년조에는 내해왕의 어머니 역시 내례부인이라고 하고 있는데, 두 사람이 동명이인인지 아니면 동일인물인지 확실하지 않다. 동일인물일 경우 아달라왕이 죽은 뒤 내해의 아버지 이매(伊買)에게 재가하여 내해를 낳은 셈이 된다.
  4. 《삼국유사》에는 자성왕후(資成王后) 또는 의성(懿成), 효자(孝資)라는 왕후의 책호도 기록되어 있다.
  5. http://doil.mireene.co.kr/026-sinla-park-02-1.htm
  6. 내해 이사금의 딸
  7. 화랑세기
  8. 진평왕의 어머니 만호부인이 숙흘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로, 진평왕의 이부남매이다.
  9. 삼국유사 왕력에 진평왕의 후비(後妃)는 승만부인(僧滿夫人) 손씨(孫氏)라는 구절이 있다.
  10.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의 왕후로 백제 의자왕의 어머니가 된다. 그러나 삼국사기에서는 그녀의 존재가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공주의 실존 여부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게다가 2009년 3월 발견된 미륵사지 석탑의 사리봉안기에 무왕의 왕후가 '좌평 사택적덕의 딸'임을 의심케 하는 구절이 있어 논쟁이 다시금 격화되었다.
  11. 문무대왕비
  12. 삼국유사
  13. 삼국사기
  14. 삼국유사》 제1권(三國遺事 卷第一) 왕력(王歷)에는 귀파부인(貴巴夫人)으로 기록되어 있다.
  15. 《삼국사기》
  16. 『신라경순왕전비』
  17. 《삼국유사》
  18. 《고려사》에 931년(태조 14) 고려 태조가 서라벌을 방문하고 돌아가는 길에 신라왕과 태후 죽방부인을 비롯한 신하들에게 물품을 나누어 주었다는 기록을 근거로 경순왕의 모후라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한문 직역에서 오는 오류라 하겠다. 《고려사》 서술 때 경순왕은 전왕으로 예우하였으며, 그의 왕비를 왕의 태후라 기록하였던 것이다.
  19. 1561년 《하서 김인후 가장》
  20. 조선조 말 1814년경주 김씨 일문들이 세운 「신라경순왕전비」에 정비 죽방부인을 전비로, 후비를 낙랑공주 왕씨라 하였는데, 이는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후비라 하였을 뿐이지,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이후 맞아들인 후배들은 신라의 왕비도 아니고, 그 슬하의 자녀들도 왕자나 공주가 아니다.
  21. 《고려사》에 등장하며, 어머니는 모른다. 조선조 말 1814년 경주 김씨 일문들이 세운 '신라경순왕전비'에 죽방부인 박씨 소생이라 하는데, 역사학계에선 낙랑공주 왕씨 소생으로 추정하는 것이 정설에 가까우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발견된 것은 아니다.
  22.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신라경순왕전비
  23. 고려 태조성무부인 박씨 소생의 딸로, 외조부 호족 박지윤이다.
  24. 《신라경순왕전비》에서는 배척함
  25. 1814년 《신라경순왕전비》에서는 배척함
  26. 1814년 《신라경순왕전비》에서는 배척함
  27. 1814년 《신라경순왕전비》에 기재함
  28. 1814년 《신라경순왕전비》에 기재함
  29. 1814년 《신라경순왕전비》에 기재함
  30. 1814년 《신라경순왕전비》에 기재함
  31. 김씨로 추정.
  32. 『고려묘지명집성』에 후손 김자류(金子鏐)는 신라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3자(태자 김일, 나주김씨 김황, 영분공 김명종)로 永芬公 金鳴鍾이 파조이며, 김예겸은 그의 6세손(영분공-임흥공-김억종-김계옹-아개공-김예겸) 후손이라 한다.
  33. 《고려사》에는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조선조 말 우연히 발견된 《김은열 묘지석》 이후 경순왕 4자로 추정되는 김은열이 파조이며 김봉모는 그의 후손이라 한다.
  34. 《고려사》에는 헌강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하한다. 《조선씨족통보》에는 경순왕의 후예 혹은 헌강왕의 7세손이라 한다.
  35.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36. 《고려사》 「김지우 묘지명(金之祐 墓誌銘)」에 신라 원성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 일운 김알지의 후예, 또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이라 한다.
  37. 《고려사》 김부일(金富佾) 열전(列傳)에 그는 경주(慶州) 사람으로 그 선조는 신라(新羅)의 종성(宗姓)인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 고려 태조가 처음 경주를 설치할 때 김위영(金魏英)을 주장(州長)으로 삼았으니 곧 김부일의 증조이다.
  38. 아버지 김근(金覲)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국자감(國子監) 좨주(祭酒)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였다.
  39.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경주 김씨 계림군파(鷄林君派) 갑자보에 의하면 조선 개국공신 김균(金稛)의 9세손 김여진(金麗珍)이 지금의 경북 상주군 공검면에 세거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40.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공민왕 7년에 광록대부(光祿大夫)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역임한 문간공(文簡公) 청주이씨 이정(李挺. 1397~1361)의 신도비문을 태종 3년(1403) 권근(權近)이 찬하였는데, 맏아들 형부낭중(刑部郞中) 유신(由信)의 둘째 사위가 대호군(大護軍) 김소(金邵)라는 기록이 보인다. 세종 7년(1425) 술잔치를 벌인 도총제 이순몽의 죄를 적용할 율을 올리면서 전 목사(牧使) 김소(金邵)의 이름이 보인다.
  41. 《고려사》(高麗史)에 고려에 귀화한 호인(胡人)으로 본명은 김야열가(金也列哥)이다. 고려 말 공민왕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동지사사(同知司事)등을 역임했다
  42.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일설에 김은열(金殷說)의 12세손이라 한다. 조선 개국 보좌공신(補佐功臣)에 책록되고 병조판서를 역임한 후 함경도 정평(定平)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43. 안강 김씨(安康 金氏)로 분적하였다.
  44. 정종 (조선)의 아들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빙부(聘父)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