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측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72번째 줄: 72번째 줄:
{{각주}}
{{각주}}
* {{서적 인용|제목=Measure theory|이름=Donald L.|성=Cole|출판사=Birkhäuser|판=2|doi=10.1007/978-1-4614-6956-8|총서=Birkhäuser Advanced Texts Basler Lehrbücher|issn=1019-6242|날짜=2013|isbn=978-1-4614-6955-1|언어=en}}
* {{서적 인용|제목=Measure theory|이름=Donald L.|성=Cole|출판사=Birkhäuser|판=2|doi=10.1007/978-1-4614-6956-8|총서=Birkhäuser Advanced Texts Basler Lehrbücher|issn=1019-6242|날짜=2013|isbn=978-1-4614-6955-1|언어=en}}
* {{서적 인용|제목=Measure theory|이름=Paul R.|성=Halmos|저자고리=헐모시 팔|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doi=10.1007/978-1-4684-9440-2|isbn=978-0-387-90088-9|날짜=1950|출판사=Springer-Verlag|언어=en}}
* {{서적 인용|제목=Measure theory|이름=J. L.|성=Doob|저자고리=헐모시 팔|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143|doi=10.1007/978-1-4612-0877-8|isbn=978-0-387-94055-7|날짜=1950|출판사=Springer-Verlag|issn=0072-5285|언어=en}}
* {{서적 인용|제목=Measure theory|이름=Paul R.|성=Halmos|저자고리=헐모시 팔|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doi=10.1007/978-1-4684-9440-2|isbn=978-0-387-90088-9|날짜=1950|출판사=Springer-Verlag|issn=0072-5285|권=18|언어=en}}
* {{서적 인용|url=http://www.math.tifr.res.in/~publ/ln/tifr12.pdf|제목=Lectures on measure theory and probability|이름=H. R.|성=Pitt|출판사=Tata institute of Fundamental Research|위치=[[뭄바이]]|날짜=1957|언어=en}}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 {{eom|title=Measure}}
* {{eom|title=Measure}}
* {{eom|title=Measure space}}
* {{eom|title=Measure space}}
* {{eom|title=Measure algebra}}
* {{eom|title=Measure algebra (measure theory)}}
* {{매스월드|id=MeasureSpace|title=Measure space}}
* {{매스월드|id=MeasureSpace|title=Measure space}}
* {{매스월드|id=Measure|title=Measure}}
* {{매스월드|id=Measure|title=Measure}}
* {{매스월드|id=MeasureTheory|title=Measure theory}}
* {{nlab|id=measure theory|title=Measure theory}}
* {{nlab|id=measure theory|title=Measure theory}}
* {{nlab|id=measure space|title=Measure space}}
* {{nlab|id=measure space|title=Measure space}}

2016년 9월 12일 (월) 15:46 판

수학에서, 측도(測度, 영어: measure)는 특정 부분 집합에 대해 "크기"를 부여하며, 그 크기를 가산개로 쪼개어 계산할 수 있게 하는 함수이다.[1] 직선에서의 길이, 평면에서의 넓이 · 3차원 공간에서의 부피의 개념을 공통적으로 일반화한다. 측도가 부여된 집합을 측도 공간(測度空間, 영어: measure space)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측도와 측도 공간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를 측도론(測度論, 영어: measure theory)이라고 한다.

정의

측도

불 대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라면 두 원소가 서로소(-素, 영어: disjoint)라고 한다.

임의의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들의 (비가산일 수 있는) 집합 의 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2]:129, (10.10)

임의의 기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완비 불 대수 위의 함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가법 측도(-加法測度, 영어: -additive measure)라고 한다.

  • 증가 함수이다. 즉, 만약 라면, 이다.
  • 임의의 서로소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 (특히, 일 때, 일 경우 이다.)

여기서 는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전순서 집합이며, 상한을 뜻하며, 은 시그마 대수의 최소 원소이다.

만약 일 경우, 유한 가법 측도(有限加法測度, 영어: finitely additive measure)라고 한다. 만약 인 경우, -완비 불 대수시그마 대수라고 하며, 가산 가법 측도(加算加法測度, 영어: countably additive measure) 또는 시그마 가법 측도(σ加法測度, 영어: sigma-additive measure) 또는 단순히 측도라고 한다.

불 대수 위의 함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유한 가법 측도이다.
  • 다음 세 조건이 성립한다.
    • (증가성) 만약 라면,
    • (모듈러성) 임의의 에 대하여,

유한 측도

-완비 불 대수 위의 -가법 측도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유한 측도(영어: finite measure)라고 한다. 만약 이라면 확률 측도라고 한다.

시그마 대수 위의 가산 가법 측도 에 대하여, 만약

를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가 존재한다면, 시그마 유한 측도(영어: sigma-finite measure)라고 한다.

불 대수 위의 유한 가법 측도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준유한 측도(영어: semifinite measure)라고 한다.[3]:97, Exercise 1.12.132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가 존재한다.

완비 불 대수 위의 준유한 가산 가법 측도를 마하람 측도(영어: Maharam measure) 또는 국소화 가능 측도(영어: localizable measure)라고 한다.[3]:97, Exercise 1.12.134

영집합의 순서 아이디얼

-완비 불 대수 위의 측도 가 주어졌을 때, 그 영원소(零元素, 영어: null element)는 측도가 0인 원소이다. 그 집합을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이는 -완비 순서 아이디얼을 이루며, 따라서 몫 대수 를 정의할 수 있고, 는 그 위에 잘 정의된다. 이 경우, 추가로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즉, 이 경우 자명하지 않은 영원소들을 없앨 수 있다.

측도 공간

측도 대수(測度代數, 영어: measure algebra)는 시그마 대수 와 그 위의 측도 순서쌍 이다.[4]:277, §9.3

가측 공간 에서, 가측 집합들의 집합족 시그마 대수를 이룬다. 측도 공간 가측 공간 위의 측도 순서쌍이다. 만약 가 확률 측도라면, 확률 공간이라고 한다.

국소화 가능 측도 공간

측도 대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국소화 가능 측도 공간이라고 한다.

성질

임의의 측도 공간 에서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단조성) 부분 순서 집합 에서 음이 아닌 확장 실수선의 전순서 집합 으로 가는 함수 단조함수이다. 즉, 이며 라면 이다.
  • 만약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 셈측도는 집합의 원소 갯수를 의미하는 측도이다. 이는 유한 집합 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측도이다.
  • 유클리드 공간 위에는 통상적으로 르베그 측도가 사용된다.
  • 디랙 측도(영어: Dirac measure)는 집합에 특정 원소가 포함되는지에만 값이 결정된다. 어떠한 원소 에 대해, 디랙 측도 가 포함되면 1, 그렇지 않으면 0의 값을 가진다. 즉, 지시 함수 로 표현할 수 있다. 디랙 측도는 디랙 델타 함수를 측도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의의 거리 공간 위에는 하우스도르프 측도라는 측도가 존재한다. 위상군 위에는 하르 측도라는 측도가 존재한다.

집합론에서는 측정 측도가 존재할 수 있는 기수가측 기수라고 한다.

참고 문헌

  1. Tao, Terry. 《An introduction to measure theory》 (PDF).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26.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6919-2. Zbl 1231.28001. 
  2. Jech, Thomas (2003). 《Set theory》.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3판. Springer-Verlag. doi:10.1007/3-540-44761-X. ISBN 978-3-540-44085-7. ISSN 1439-7382. Zbl 1007.03002. 
  3. Bogachev, Vladimir I. (2007). 《Measure theory. Volume 1》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3-540-34514-5. ISBN 978-3-540-34513-8. 
  4. Bogachev, Vladimir I. (2007). 《Measure theory. Volume 2》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3-540-34514-5. ISBN 978-3-540-34513-8.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