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해일

지진해일(地震海溢)은 지진에 의해서 생기는 해일이다. 쓰나미(일본어: 津波, つなみ 쓰나미[*], 영어: Tsunami, 문화어: 쯔나미)로도 불린다.
지진해일이 해안에 도착하면 바닷물이 빠르게 빠져나가면서 다음 해일이 밀려오는 일이 되풀이된다. 규모 6.3 이상으로 진원깊이 80km 이하의 얕은 곳에서 수직 단층운동에 의한 지진일 경우 지진해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지진발생을 예측하기 어렵지만, 먼 거리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해서는 그 도착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이를테면 지진이 일본 북서 근해(동해 북동부 해역)에서 발생했다면 1시간에서 1시간 30분 후 대한민국 동해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지진발생 후 지진해일이 일어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찾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바다밑에서 일정 규모 이상 얕은 지진이 일어날 경우 주의보나 경보를 발표하는 것이 국제 관례이다.
세계적으로 피해가 가장 컸던 지진해일은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 부근 인도양에서 규모 9.3의 강진에 의해 발생한 남아시아 지진해일로 인도네시아 11만 229명을 비롯 스리랑카·인도·타이 등 주변국 해안지역에서 총 15만 7002여 명이 사망하였다(인도네시아 국가개발청 자료). 대한민국 동해안에서도 1983년과 1993년 일본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
쓰나미[편집]
1946년 태평양 주변에서 일어난 알류샨 열도 지진 해일이 당시로서는 자연재해 사상 최대 규모의 희생자를 내자 세계 주요언론들이 '지진과 해일'을 일컫는 '쓰나미(Tsunami)'라는 일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하와이에서 참사를 목격한 한 일본계 미국인이 이를 '쓰나미'라고 말한 것이 이 단어가 외국에 알려진 계기로 전해진다. 2년 뒤인 1948년 미국 정부는 하와이에 지진해일 경보센터를 건설하면서 이 센터의 명칭에 영자로 표기한 '쓰나미'를 포함시켰다. 쓰나미의 한자 표기인 '진파(津波)'는 사실 '항구의 파도'란 뜻이다. 선착장에 파도가 밀려온다는 의미로 일본의 '쇼와시대(昭和時代)'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완전히 정착, 표기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쓰나미라는 용어는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자주 쓰인다. 해일 피해가 잦은 일본에서는 문학 작품과 그림 등에서 종종 표현될 정도로 일반화되어있다. 현재 쓰나미는 여러 나라에서 강력한 시대 흐름 등을 일컬을 때에도 자주 사용돼 대표적인 일본식 영어로 자리잡았다.[2]
한국의 지진해일[편집]
한국에서도 1983년과 1993년 일본 북서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해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에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3]
1983년[편집]
1983년 5월 26일 오전 11시 59분 55초[4]에 발생한 규모 7.7의 동해 중부 지진으로, 88분 후 울릉도에 126cm, 95분 후 묵호에 200cm 이상의 지진해일이 도달했다. 이로 인해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 2명이 실종되는 피해가 있었다.
1983년 5월 26일 13시 43분 동해시 속초 앞바다. 갑자기 동해안 바다수면이 최고 3m 폭으로 높아졌다 낮아지는 승강현상을 보인다. 밀물과 썰물의 차이도 최고 6m에 이른다. 곧이어 이 근방 항구들에서‘쾅!’하는 폭음이 들려온다. 수심 5m 정도의 항구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한꺼번에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들려온 굉음이다. 10분 뒤, 갑자기‘쏵’하는 소리와 함께 이번엔 바닷물이 밀려왔다. 이날 동해안 지역은 갑작스러운 해일의 습격을 받은 것이다. 피해도 심각했다. 인명피해는 사망1명, 실종 2명, 부상 2명에 이재민 405명이 발생했다. 항구주변 선박 81척이 부숴지거나 물에 잠겼고 건물과 시설물 100여 곳이 피해를 입으면서 3억 7000만원의 재산피해를 낳았다.
— [지진해일_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분석]"한반도 지진해일, 동해안 북부가 가장 위험"[5]
1993년[편집]
1993년 7월 12일 22시 17분에 발생한 규모 7.8의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으로, 90분 후 울릉도에 119cm, 자정에 속초시에 276cm의 지진해일이 도달했다. 이로 인해 약 4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 이때 기상청은 해일이 발생한 뒤 23분만인 22시40분에 지진해일특보를 알리며 신속하게 대피 작업을 벌였다. 이 때문에 1983년때와 달리 인명피해는 한 명도 없었다.[6]
역사 지진[편집]
역사지진 기록에는 1643년 7월 25일(인조 21년)에 발생한 1643년 울산 지진으로 인한 울산 지역의 지진해일 피해와 1681년 6월 21일(숙종 7년)에 발생한 1681년 양양 지진으로 인한 강릉, 양양, 삼척지역의 지진해일 피해가 기록되어 있다.[7]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출처
- ↑ 홍석재. “지진으로 인한 해일, 왜 '쓰나미(tsunami)'라 부르나?”. 노컷뉴스.
- ↑ 김용범. “'쓰나미' 현상이란?”. 머니투데이.
- ↑ “과거 지진해일 사례”. 대한민국 기상청.
- ↑ 일본은 한국과 같은 UTC+09:00 시간대를 사용한다.
- ↑ 이태준 (2005년 2월). “[지진해일_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분석]"한반도 지진해일, 동해안 북부가 가장 위험"”.
- ↑ 이태준 (2005년 2월). “[지진해일_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분석]"한반도 지진해일, 동해안 북부가 가장 위험"”.
- ↑ “동해 연안 지역 지진 재해 가능성”. 대한지질학회. 2019년 10월.
- 참고 문헌
- Boris Levin, Mikhail Nosov: Physics of tsunamis. Springer, Dordrecht 2009, ISBN 978-1-4020-8855-1.
- Kontar, Y. A. et al.: Tsunami Events and Lessons Learned: Environmental and Societal Significance. Springer, 2014. ISBN 978-94-007-7268-7 (print); ISBN 978-94-007-7269-4 (eBook)
- Kristy F. Tiampo: Earthquakes: simulations, sources and tsunamis. Birkhäuser, Basel 2008, ISBN 978-3-7643-8756-3.
- Linda Maria Koldau: Tsunamis. Entstehung, Geschichte, Prävention, (Tsunami development, history and prevention) C.H. Beck, Munich 2013 (C.H. Beck Reihe Wissen 2770), ISBN 978-3-406-64656-0 (in German).
- Walter C. Dudley, Min Lee: Tsunami!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 1998, Tsunami!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ISBN 0-8248-1125-9, ISBN 978-0-8248-1969-9.
- Charles L. Mader: Numerical Modeling of Water Waves CRC Press, 2004, ISBN 0-8493-23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