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 | |
![]() | |
태국 끄라비 주 아오낭에 밀어닥친 지진해일. | |
본진 | |
발생일 | 2004년 12월 26일 00:58:53 (UTC)[1] |
---|---|
진앙 | 북위 3° 18′ 58″ 동경 95° 51′ 14″ / 북위 3.316° 동경 95.854° [1] |
진원 깊이 | 30[1]km |
규모 | M 9.1 - 9.3[1] |
최대 진도 | 진도 IX : 인도네시아 |
해일 | 평균 15-30m, 최대 51m |
지진의 종류 | 해구형 지진 |
여진 | |
횟수 | M6.0 이상 40회 |
최대여진 | 2004년 12월 26일 11시 21분 M7.1 여진 |
피해 | |
인명피해 | 약 230,210 ~ 280,000명 사망[2][3] |
피해지역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 인도, 방글라데시, 몰디브, 소말리아, 케냐, 탄자니아, 예멘, 세이셸,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오만, 싱가포르, 레위니옹 |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tsunami)은 2004년 12월 26일 모멘트 규모 9.1-9.3의 해저 지진으로 발생한 지진 해일을 말한다. 이로 인해 지구의 자전 주기가 2.68마이크로초 짧아졌다. 이때의 지진으로 발생한 표면파는 지구를 15회 돌았다고 한다. 이 지진 해일로 스리랑카, 몰디브,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아프리카의 소말리아까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전 세계에서 28만명 이상 사망했다.
순위 | 일자 | 장소 | 이름 | 사망자 | 규모 |
---|---|---|---|---|---|
1 | 1556년 1월 23일 | 중국 산시 | 산시 대지진 | 830,000 | 8.0 |
2 | 1976년 7월 28일 | 중국 탕산 | 탕산지진 | 255,000 (공식) | 7.5 |
3 | 2010년 1월 12일 | 아이티 | 2010년 아이티 지진 | 230,000 이상 | 7.0 |
4 | 2004년 12월 26일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 230,210 | 9.1-9.3 |
5 | 1138년 10월 11일 | 시리아 알레포 | 1138년 알레포 지진 | 230,000 | 8.5 |
6 | 1920년 12월 16일 | 중국 닝샤 - 간쑤 | 1920년 하이위안 지진 | 200,000 - 240,000 | 7.8 또는 8.5 |
7 | 893년 3월 23일 | 이란 아르다빌 | 893년 아르다빌 지진 | 150,000 | |
8 | 1923년 9월 1일 | 일본 간토 | 간토 대지진 | 143,000 | 7.9 |
9 | 1948년 10월 6일 |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 1948년 아시가바트 지진 | 110,000 | 7.3 |
원인[편집]
1,200킬로미터 길이의 단층대가 인도 지각판과 버마 지각판 사이의 침강대에서 단숨에 20미터나 움직이면서 지진이 발생했으며 그 여파는 시속 800킬로미터의 속도로 퍼져나가 해일로 육지를 덮쳤다. 지진 이후 해일이 육지를 덮치는데 걸린 시간은 진원지와의 거리에 따라 15분에서 7시간까지 차이가 났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다 라 “Magnitude 9.1 – OFF THE WEST COAST OF NORTHERN SUMATRA”. U.S. Geological Survey. 2012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버마에서의 사망자가 61~90명이라는 추측과 달리 일부에서 주장하는 400~600명일 경우, 순수하게 쓰나미로만 사망한 사람은 230,000명이 된다.
- ↑ “Earthquakes with 50,000 or More Deaths”. 2013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재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