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지반 속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대 지반 움직임에서 넘어옴)

최대 지반 속도(Peak Ground Velocity)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반이 움직인 최대 속도를 말한다. 단위는 cm/s이다. 줄여서 PGV로도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지반 가속도(PGA)와 최대 지반 속도(PGV)는 진도와 관련이 있다. 최대 지반 가속도와 최대 지반 속도는 통상적으로 진앙에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약해지며,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강해진다.

진도와의 관계[편집]

수정 메르칼리 진도[편집]

대한민국 기상청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지진계에서 산출되는 정량적인 값인 최대 지반 가속도(PGA)와 최대 지반 속도(PGV)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데, PGV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사이 관계식은 아래와 같다.[1]

최대 지반 속도와 진도의 관계 (PGV= cm/s)
  • MMI = 2.1939 log(PGV) + 5.0918 (진도 V 이하)
  • MMI = 2.4686 log(PGV) + 5.0996 (진도 V 이상)

위 공식에 따른 관계 분포는 아래와 같다.

진도에 따른 최대 지반 속도와 가속도
(대한민국 기상청 기준)
진도 최대 지반 가속도
(단위: %g=9.81cm/sec2)
최대 지반 속도
(단위: cm/sec)
I %g<0.07 V<0.03
II 0.07≤%g<0.23 0.03≤V<0.07
III 0.23≤%g<0.76 0.07≤V<0.19
IV 0.76≤%g<2.56 0.19≤V<0.54
V 2.56≤%g<6.86 0.54≤V<1.46
VI 6.86≤%g<14.73 1.46≤V<3.7
VII 14.73≤%g<31.66 3.7≤V<9.39
VIII 31.66≤%g<68.01 9.39≤V<23.85
IX 68.01≤%g<146.14 23.85≤V<60.61
X 146.14≤%g<314 60.61≤V<154
XI 이상 314≤%g 154≤V

일본 기상청 진도[편집]

일본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원칙적으로 '계측진도'를 가지고 측정하지만 이를 비교할 때 PGV와의 관계가 더 높다는 연구도 존재한다.[2] 예를 들어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지진조사위원회의 보고서인 "전국 개관 지진동 예측 지도"에서는 미도리카와(翠川, 1999) 등 최대 지반 속도에서 진도의 환산식을 표층지반증폭률의 분포 등과 종합하여 추정 진도를 계산하였다.[3]

주요 지진의 PGV[편집]

PGV
(최대)
규모 진원 깊이 사망자 지진
318 cm/s[4] 7.7 33 km 2,415 1999년 921 대지진
183 cm/s[5] 6.7 18.2 km 57 1994년 노스리지 지진
170 cm/s[4] 6.9 17.6 km 6,434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152 cm/s[4] 6.6 10 km 11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147 cm/s[4] 7.3 1.09 km 3 1992년 랜더스 지진
145 cm/s[4] 6.6 13 km 68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138 cm/s[4] 7.2 10.5 km 356명 부상 1992년 케이프 멘도치노 지진
117.41 cm/s 9.1[6] 29 km 19,747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108 cm/s[7] 7.8 8.2 km 8,857 2015년 4월 네팔 지진
38 cm/s[8] 5.5 15.5 km 0 2008년 치노힐즈 지진
20 cm/s (추정)[9] 6.4 10 km 115-120 1933년 롱비치 지진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기상청 온라인 지진 과학관. “진도”. 대한민국 기상청. 202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2. 高木聖, 1972, 震度は加速度ではない(震度の人体実験), 気象庁気象研究所報告, Vol.23, No.3, p.215-223, doi 10.2467/mripapers1950.23.3_215
  3. 松崎伸一、久田嘉章、福島美光「断層近傍まで適用可能な震度の距離減衰式の開発」日本建築学会『日本建築学会構造系論文集』、604号、201-208頁、2006年6月
  4. “How Fast Can the Ground Really Move?” (PDF).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202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3일에 확인함. 
  5. “ShakeMap Scientific Background”. 2011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3일에 확인함. 
  6. “M9.1 - Tohoku, Japan”. 미국 지질조사국. 2021년 11월 3일에 확인함. 
  7. Takai, Nobuo; Shigefuji, Michiko; Rajaure, Sudhir; Bijukchhen, Subeg; Ichiyanagi, Masayoshi; Dhital, Megh Raj; Sasatani, Tsutomu (2016년 1월 26일). “Strong ground motion in the Kathmandu Valley during the 2015 Gorkha, Nepal, earthquake. Earth Planets Space 68, 10 (2016).”. 《Earth, Planets and Space》 (Takai, N., Shigefuji, M., Rajaure, S. et al.) 68 (1): 10. doi:10.1186/s40623-016-0383-7. S2CID 41484836. 2021년 11월 3일에 확인함. 
  8. “M5.5 - Greater Los Angeles area, California”. USGS. 2021년 11월 6일에 확인함. 
  9. Hough, S. E.; Graves, R. W. (2020년 6월 22일). “Nature:The 1933 Long Beach Earthquake (California, USA) Ground Motions and Rupture Scenario”. 《Scientific Reports》 10 (1): 10017. doi:10.1038/s41598-020-66299-w. PMID 32572047. S2CID 219959257.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