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지진)
진도(震度)는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진도는 각 나라마다 사정에 맞게 서로 다른 기준을 정하여 쓰고 있으나, 미국을 비롯한 다수의 국가에서 쓰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쓰는 것이 보편적이다[출처 필요]. 지진의 규모를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느냐에 따라서 지진의 규모 표현이 달라지는데, 지진의 강도를 기준으로 하는 리히터 규모와 사람이 지진을 느끼는 정도와 땅 위의 피해를 기준으로 하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진도의 종류다.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역시 수정메르칼리 진도 계급과 같이 느끼는 정도와 땅 위의 피해를 기준으로 일본 자체에서 만든 지진의 척도이다. 다른 종류의 지진의 척도로는 릭터 규모와 같은 지진 규모가 있다.
진도 분포[편집]

진도 분포(震度分布)는 1회 지진의 각 관측 지점의 진도를지도 상에 나타낸 것이다. 진도는 일반적으로 진원에 가까운 지점수록 커지고 먼 지점 정도 작아진다. 그러나 심발지진 등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이상진역).
세계 주요 진도 계급[편집]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편집]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기준이다. 19세기 후반 귀세피 메르칼리 신부가 개발하고 1921년 해리 O.우드와 프랭크 노이만이 수정한 진도 계급을 말한다.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01년 1월 1일부터 사용하고 있다.[1]
- 미세한 진동. 특수한 조건에서 극히 소수 느낌.
- 실내에서 극히 소수 느낌.
- 실내에서 소수 느낌. 매달린 물체가 약하게 움직임.
- 실내에서 다수 느낌. 실외에서는 감지하지 못함.
- 건물 전체가 흔들림. 물체의 파손, 뒤집힘, 추락. 가벼운 물체의 위치 이동.
- 똑바로 걷기 어려움. 약한 건물의 회벽이 떨어지거나 금이 감. 무거운 물체의 이동 또는 뒤집힘.
- 서 있기 곤란함. 운전 중에도 지진을 느낌. 회벽이 무너지고 느슨한 적재물과 담장이 무너짐.
- 차량운전 곤란. 일부 건물 붕괴. 사면이나 지표의 균열. 탑·굴뚝 등의 구조물 붕괴.
- 견고한 건물의 피해가 심하거나 붕괴. 지표의 균열이 발생하고 지하 파이프관 등의 지하 시설물 파손.
- 대다수 견고한 건물과 구조물 파괴. 지표균열, 대규모 사태, 아스팔트 균열.
- 철로가 심하게 휨. 구조물 거의 파괴. 지하 파이프관 작동 불가능.
- 지면이 파도 형태로 움직임. 물체가 공중으로 튀어오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편집]
일본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진도 계급으로서, 2000년까지 대한민국에서도 쓰던 진도 계급이다.[2]
- 0.무감: 느낄 수 없는 정도
- 1.미진: 민감한 사람만 느낄 수 있는 정도
- 2.경진: 보통 사람이 느끼고, 문이 약간 흔들림
- 3.약진: 가옥이 흔들리고, 물건이 떨어지고, 그릇에 담긴 물이 진동함
- 4.중진: 가옥이 심하게 흔들리고, 물이 담긴 그릇이 넘쳐 흐름
- 5.강진: 벽에 금이 가고, 건물이 다소 무너짐
- 6.열진: 가옥 파괴 30% 이하 예상,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음
- 7.격진: 가옥 파괴 30% 이상 예상, 산사태가 일어나고 단층이 생김
- 1996년 이후 지진계의 흔들림의 크기를 통해 진도를 결정하게 되었다. 또한 5과 6이 각각 약, 강 2단계로 나뉘여 총 10단계가 되었다.
실제 등급은 0-1-2-3-4-5약-5강-6약-6강-7이다.
중화민국 중앙기상국 진도 계급[편집]
중화민국 중앙기상국 진도 계급 은 타이완의 중화민국 중앙기상국에서 사용하는 지진의 진도 단위이다. 지표의 가속도를 갈(gal, 1gal = 1cm/s²) 단위로 측정하여 0급부터 7급까지 8개 단위로 분류한다.[3]
메드베데프-스폰하우어-카르니크 계급[편집]
메드베데프-스폰하우어-카르니크 (MSK 계급) 은 1964년에 성립 된 진도 계급이다.[4] 독립국가연합, 동유럽, 이스라엘, 인도 등에서 사용되고있다. 이 진도 계급은 I에서 XII까지의 12단계이다.[4]
중국 진도 계급[편집]
중국 진도 계급 (CSIS 계급) 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진도 계급이다. 이 진도 계급은 I에서 XII까지의 12단계이다.[5]
유럽 광대역 진도 계급[편집]
유럽 광대역 진도 계급 (EMS-98 계급) 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진도 계급이다.[6] 이 진도 계급은 I에서 XII까지의 12단계이다.
각주[편집]
- ↑ “지진 진도등급 내년부터 12단계로”. 《KBS 뉴스》 (KBS 뉴스). 2000년 12월 26일. 2022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2001 지진연보” (PDF) (보도 자료). 대한민국 기상청. 2002년 3월. 43쪽. 2018년 9월 7일에 확인함.
- ↑ “35. 何謂震度?” (중국어). 중화민국 중앙기상국. 201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震度の歴史と求め方”. 2010년 1월 17일.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地震学講座 - 平原和朗
- ↑ “震度について (1)|雑感|ケミカルグラウト株式会社”. 《www.chemicalgrout.co.jp》. 2021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재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