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폐렴 | |
---|---|
다른 이름 | Pneumonia, Pneumonitis |
인플루엔자와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를 일으킨 폐렴의 흉부 X레이 사진 (주로 오른쪽) | |
발음 | |
진료과 | 기도학, 감염병 |
증상 | 기침, 호흡 곤란, 과호흡, 발열[1] |
기간 | 수주[2] |
병인 | 병균, 바이러스, 흡인성 폐렴[3][4] |
위험 인자 | 낭포성 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당뇨병, 심부전, 흡연 이력[5] |
진단 방식 | 증상에 따라 흉부 X레이 수행[6] |
유사 질병 |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폐부종, 폐색전증[7] |
예방 | 백신, 손 씻기, 금연[8] |
투약 | 항생물질, 항바이러스제, 산소 흡입[9][10] |
빈도 | 매해 450,000,000명(7%)[10][11] |
사망 | 매해 300~400만 명[10][11] |
폐렴(肺炎[12], 문화어: 페염, 의학: pneumonia 뉴모니아[*])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폐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중증의 호흡기 감염병이다. 세균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으며, 바이러스, 균류, 또는 기타 미생물도 원인이 될 수가 있다. 독감이 심하게 진행되어 폐렴이나 기관지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드물게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적인 화학 물질을 흡입해 발생하기도 한다. 노인이나 어린아이, 혹은 전체적으로 상태가 안 좋은 환자들이나 기침 반사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흡인성 폐렴이 발생한다 세균이 원인인 경우는 항생제로 치료를 할 수 있다. 항생제가 생기기 전에는 50~90%가 사망할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망하지 않는다. 1940년대에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폐렴 환자의 1/3 정도가 사망하였다. 오늘날에는 적절한 의학적 치료로 폐렴 환자의 95% 이상이 회복된다. 그러나 일부 저개발국(개발 도상국)에서는 폐렴이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분류
[편집]폐렴은 다음과 같이 몇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 원인에 따른 분류
- 발병 위치에 따른 분류
- 발생 시기에 따른 분류
- 병변의 형태에 따른 분류
- 기계적 폐렴
- 기식 폐렴 (aspiration pneumonia)
- 폐쇄성 폐렴
- 흡입 폐렴
- 약으로 인한 폐렴
- 인터페론
- 항암제
- 약초
- 증상 폐렴
- 교원병 폐렴 ( 관절염에서 류마티스 폐가 대표)
병변의 형태에 따른 분류
[편집]- 폐포성 폐렴
- 대엽성 폐렴
- 기관지 폐렴
- 간질성 폐렴
병태생리
[편집]폐렴은 폐포에서 병원체의 증식과 이에 대한 인체반응으로 발생하며 미생물은 여러 방식으로 하기도에 도달하며,입인두로부터의 흡인이 가장 흔하다. 소량의 흡인은 수면 중에 자주 발생하며 의식이 저하된 환자에서 잘 발생한다.
코털들과 코선반, 나뭇가지 양식의 기관지 갈라짐, 구역반사와 기침기전은 흡인을 막는 중요한 방어기전이다. 입인두 점막세포에 있는 정상 상재균은 병독성이 더 강한 병원체가 여기에 부착 되는 것을 방해하여 폐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미생물이 폐포까지 흡입되면, 폐포대식세포가 이들 병원체를 청소 혹은 사멸시킨다. 하지만 폐포대식세포가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초과되면 임상적 폐렴이 발생한다.[13]
증상
[편집]폐렴에 걸렸을 때는 발열, 기침, 가래와 같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과 호흡 곤란, 전신 권태감, 가슴의 통증 등을 수반한다.
치료
[편집]지역사회폐렴
[편집]중증 폐렴으로 인한 사망과 같은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들을 활용하면, 불필요한 입원횟수를 줄일 수 있다. 지표들로는 폐렴중등도지표(pneumonia severity index; PSI)와 폐렴의 중증도를 점수화한 CURB-65가 있다.
CURB-65 지표에는 다음 5가지 변수가 포함된다. 의식혼탁 (confusion; C), 요소(urea > 7 mmol!L; U), 호흡수(분당 ≥ 30 회; R), 혈압(수축기 ≤ 90 mmHg 또는 이완기 ≤ 60 mmHg; B), 나이( ≤ 65세; 65).[14]
그림
[편집]-
보통 AP CXR
-
보통 측면 CXR
-
AP CXR, 왼쪽에 폐렴이 있다.
-
AP CXR, 오른쪽에 폐렴이 있다.
-
측면 CXR, 오른쪽에 폐렴이 있다.
-
AP CXR, 왼쪽 폐에 폐렴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체외막산소공급(ECMO, ECLS)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패혈증(셉시스, sepsis)
- 다발성 장기 부전(MODS)
- 의료호흡기
- 호흡기 질환
- 간질성 폐질환(ILD)
- 호흡 부전
- 흉수
각주
[편집]- ↑ Ashby B, Turkington C (2007). 《The encyclopedia of infectious diseases》 3판. New York: Facts on File. 242쪽. ISBN 978-0-8160-6397-0. 21 April 2011에 확인함.
- ↑ Behera, D. (2010). 《Textbook of pulmonary medicine》 2판. New Delhi: Jaypee Brothers Medical Pub. 296–97쪽. ISBN 978-81-8448-749-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McLuckie, A., 편집. (2009). 《Respiratory disease and its management》. New York: Springer. 51쪽. ISBN 978-1-84882-094-4.
- ↑ Jeffrey C. Pommerville (2010). 《Alcamo's Fundamentals of Microbiology》 9판. Sudbury MA: Jones & Bartlett. 323쪽. ISBN 978-0-7637-6258-2.
- ↑ “Who Is at Risk for Pneumonia?”. 《NHLBI》. 1 March 2011. 7 March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March 2016에 확인함.
- ↑ “How Is Pneumonia Diagnosed?”. 《NHLBI》. 1 March 2011. 7 March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March 2016에 확인함.
- ↑ Hoare Z, Lim WS (May 2006). “Pneumonia: updat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PDF). 《BMJ》 332 (7549): 1077–79. doi:10.1136/bmj.332.7549.1077. PMC 1458569. PMID 16675815.
- ↑ “How Can Pneumonia Be Prevented?”. 《NHLBI》. 1 March 2011. 7 March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March 2016에 확인함.
- ↑ “How Is Pneumonia Treated?”. 《NHLBI》. 1 March 2011. 6 March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March 2016에 확인함.
- ↑ 가 나 다 Ruuskanen O, Lahti E, Jennings LC, Murdoch DR (April 2011). “Viral pneumonia”. 《Lancet》 377 (9773): 1264–75. doi:10.1016/S0140-6736(10)61459-6. PMID 21435708.
- ↑ 가 나 Lodha R, Kabra SK, Pandey RM (June 2013). “Antibiotics for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childr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6 (6): CD004874. doi:10.1002/14651858.CD004874.pub4. PMID 23733365.
- ↑ 한자 그대로 쓰면 '폐염'이지만, 활음조 현상으로 '폐렴'으로 읽고 쓴다
- ↑ Kasper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al Medicine (2015)
- ↑ Kasper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al Medicine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