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 | |
---|---|
다른 이름 | Moschcowitz syndrome[1] |
![]() | |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은 상염색체 열성 방식에 상속된다[2][3] | |
진료과 | 혈액학 ![]() |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血栓性血小板減少性紫斑症,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 Moschcowitz syndrome[1] )은 체내 소혈관에서 광범위한 미세 응고를 일으키는 혈액 응고계의 희귀 질환이다.[4][5]
증상[편집]
다음의 5가지 기능이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을 나타낸다.[6] 대부분의 경우 이들 중 일부는 존재하지 않는다.[5]
두통, 실어증, 혼수상태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환자 중 최대 65%에서 존재한다. 이것은 국소 혈액 공급을 일시적으로 방해하는 혈액 응고의 결과로 인한 것이다.[7]
병인[편집]
- 원인 불명: 특발성이거나 유전적 활성 이상으로 인해 발병한다.
- 이차성: 암, 조혈줄기세포이식, 임신, 약물(퀴닌, 옥시몰폰 등) 이용, HIV-1 감염에 의한 활성 이상으로 인해 발병한다.
치료[편집]
1990년대 초 이후로 혈장 교환 요법(plasmapheresis)이 TTP의 치료 방법으로 자리잡혔다.[9][10] 이것은 분리반출법을 통해 환자의 혈장의 제거하고 기증자 혈장(신선냉동혈장)으로 교환하는 교환 수혈이다.
역사[편집]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은 1925년 뉴욕 시 베스 이스라엘 병원에서 Eli Moschcowitz 박사가 처음 기술하였다.
각주[편집]
- ↑ 가 나 James, William D.; Berger, Timothy G. (2006).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ISBN 0-7216-2921-0.
- ↑ “OMIM Entry - # 274150 -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CONGENITAL; TTP”. 《www.omim.org》 (미국 영어). 2017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RESERVED, INSERM US14 -- ALL RIGHTS. “Orphanet: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www.orpha.net》 (영어). 2018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Philadelphia, PA: Saunders. 2007. 2019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Moake JL (2002). “Thrombotic microangiopathies”. 《N. Engl. J. Med.》 347 (8): 589–600. doi:10.1056/NEJMra020528. PMID 12192020.
- ↑ Amorosi EL, Ultmann JE (1966). “Thrombocytopic purpura: report of 16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Baltimore)》 45: 139–159. doi:10.1097/00005792-196603000-00003.
- ↑ Allford SL, Hunt BJ, Rose P, Machin SJ (February 2003).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thrombotic microangiopathic haemolytic anaemias”. 《Br. J. Haematol.》 120 (4): 556–73. doi:10.1046/j.1365-2141.2003.04049.x. PMID 12588343.
- ↑ Allford S, Machin S (2005).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NetDoctor.co.uk》. 2015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1일에 확인함.
- ↑ Michael, M; Elliott, EJ; Ridley, GF; Hodson, EM; Craig, JC (2009년 1월 21일). “Interventions for haemolytic uraemic syndrome and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3595. doi:10.1002/14651858.CD003595.pub2. PMID 19160220.
- ↑ Lim W, Vesely SK, George JN (2015년 3월 5일). “The role of rituximab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quired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Blood》 125 (10): 1526–31. doi:10.1182/blood-2014-10-559211. PMID 25573992.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