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ntete médecine.png
간암
다른 이름Liver cancer, Hepatic cancer, primary hepatic malignancy, primary liver cancer
CT cholangioca.jpg
담관암 문제가 있는 CT 스캔
진료과종양학
증상흉곽 아래 오른쪽 혹 또는 통증, 복수, 황달, 쉽게 멍이 듦, 체중 감소, 무기력함[1]
통상적 발병 시기55~65세[2]
병인B형 간염, C형 간염, 알코올로 인한 간경변, 아플라톡신, 비알코올성지방간, 간흡충류[3][4]
진단 방식혈액 검사, 의학촬영, 생검[1]
예방B형 간염 예방 주사, B형/C형 간염 치료[3]
치료수술, 표적 치료, 방사선 치료[1]
예후5년 생존률 ~18% (US)[2]
빈도618,700 (2015년 특정 시기)[5]
사망782,000 (2018)[6]

간암(肝癌, 영어: liver cancer)은 에 생기는 이다. 간암환자의 80-90%는 만성B형간염보유자 또는 만성C형간염보유자이다.

치료는 간이식, 간절제술, 경동맥 화학 색전술, 고주파 열치료법, 알코올 주입술 등이 있다. 세계적으로 간암 발생률이 높은 지역은 아프리카, 대만, 중국, 한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이 있다. 간암이 낮은 지역은 아메리카지역과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중동 지역 등이 있다.

대한민국은 간암 발생률이 중장년기(40~60세) 10만명을 조사한 결과 여자는 15.6명 남자는 74.8명으로 약 5배나 남자가 높다. 암 사망자의 수가 두 번째로 높은 것이 간암이다. 1년에 10만명당 사망률이 24.1명으로 알려져있다.

대한민국에서 간암은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고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다. 특히 40대 사망률 1위 질환이다.

2009년 6월 국립암센터는 사회적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암으로 간암을 지적했다.

하지만 간암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 무조건 절망에 빠지면 안된다. 일단 간에 악성 혹이 생기면, 간의 기능이 떨어진다. 간 기능이 몸에 매우 중요하다. 간이 알코올을 분해하고, 몸의 독소를 없애는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맏았기 때문에 간암에 걸려 죽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일단 간이 좋지 않으면 황달이 나타난다. 황달에 이어 식도정맥류 까지도 발생하는데, 식도정맥류는 피를 토하는 것이 특징이다.

간암의 예방[편집]

간암은 비교적 원인이 분명히 밝혀져 있다.

간암의 대표적인 원인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은 모든 신생아 등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게 중요하고 가족이나 어머니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보유자일 경우에는 면역글로블린(HBIG)과 백신을 생후 12시간 이내에 접종해서 예방할 수 있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아직 예방백신이 없다. 혈액으로 감염될 수 있으므로 불법적인 의료 시술이나 위생적이지 못한 피어싱, 문신을 피해야 한다.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도 간암에 걸릴 수 있으므로 과도한 음주(소주, 맥주)는 피해야 한다.

또한 간암은 아세트알데히드 효소가 부족한 사람(조금만 술을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보고 알 수가 있음)에게는 과도한 음주시 걸릴 확률이 높다.

B형간염>알코올성>C형간염 순으로 발병률이 높다

같이 읽기[편집]

각주[편집]

  1. “Adult Primary Liver Cancer Treatment (PDQ®)–Patient Version”. 《NCI》. 2016년 7월 6일. 2016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9일에 확인함. 
  2. “SEER Stat Fact Sheets: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 Cancer”. 《NCI》.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6쪽. ISBN 978-9283204299. 
  4.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5.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6. 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 (November 2018).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68 (6): 394–424. doi:10.3322/caac.21492. PMID 3020759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