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검
보이기
생검 | |
---|---|
![]() 흡인 생검 | |
진료과 | 외과 |
ICD-10-PCS | 0○D○○○X (without force), 0○B○○○X (with force) |
MeSH | D001706 |
OPS-301 코드 | 1-40...1-49 (절개 미 포함) 1-50...1-58 (절개 포함) |
메드라인플러스 | 003416 |
생검(生檢, 영어: biopsy)은 생체검사(生體檢査)의 줄임말로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 경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콩팥이나 간 따위의 세포조직을 약간 잘라 내어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일등을 가리킨다. 여러 가지 진단의 보조적 방법으로, 특히 악성 종양의 조기 진단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생검은 특정 생체 조직 일부를 분리 및 확보후 절차적 병리검사를 함으로써 질병의 존재나 확산 양상을 파악하는 검사이며, 이렇게 추출된 조직은 보통 병리학자가 현미경으로 분석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의사에게 그 양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생검은 암 검진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한 검사를 위해 많이 활용된다. 생검은 보통 임상적으로 외과의사나 관련 의료진 또는 중재적으로 방사선사등이 시술하는 검사 절차이다.
종류
[편집]종양 또는 그 의증이 되는 부분 전체를 제거하는 경우를 절제 생검이라고 한다. 진단을 위한 조직 채취만을 목적으로 하는 생검은 절개 생검이라고 한다.[1]주사기에 달린 바늘로 조직을 찔러서 내용을 빨아들여 묻어 나온 조직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법을 흡인 생검이라고 한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