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
![]() | |
---|---|
다른 이름 | Head and neck cancer |
![]() | |
주위에 편평태선이 있는 설암 | |
진료과 | 종양학, 구강악안면외과학 |
증상 | 치료되지 않은 응어리. 사라지지 않는 인두염. 삼키기 어려움. 목소리 변화.[1] |
위험 인자 | 알코올, 담배, 인유두종 바이러스, 방사선 노출, 특정 작업공간 노출, 엠스타인바 바이러스[1][2] |
진단 방식 | 조직 생검[1] |
예방 | 금연, 금주[2] |
치료 |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표적 치료[1] |
빈도 | 5,500,000명 (2015년 발병환자 수)[3] |
사망 | 379,000명 (2015년)[4] |
두경부암(頭頸部癌)은 입, 코, 목, 후두, 코곁굴, 침샘에서 시작되는 암이다. 머리와 목암에 대한 증상은 치유되지 않는 혹이나 통증, 사라지지 않는 목의 통증, 삼키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목소리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출혈, 안면 붓기,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5]
두경부암의 약 75%는 무연담배를 포함한 담배나 술의 흡입으로 인해 발생한다.[5]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베틀후추, 특정 유형의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조사선량, 특정 직장 피폭,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등이 있다.[5] 두경부암의 약 90%는 편평한 세포암이다. 그 진단은 조직 생검을 통해 확인된다.[5] 확산 정도는 의학촬영 및 혈액 검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5]
징후 및 증상[편집]
두경부암은 대개 목 바깥쪽에 확대된 림프절, 목 통증, 목의 통증, 목이 아프거나 목이 쉰 목소리처럼 충분히 해롭지 않아 보이는 증상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두경부암의 경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어 만성화될 수 있다. 목이나 목에 혹이나 통증이 있어 치유되지 않거나 없어질 수 있다. 삼키기가 어렵거나 고통스러울 수 있다. 말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또한 지속적인 귀앓이도 있을 수 있다.[6]
그 밖의 증상으로는 입술, 입 또는 잇몸의 혹, 치유되지 않는 궤양이나 구강염, 입에서 피가 나거나 저린 것, 입안에 계속 남아 있는 변색된 부분, 혀가 아프거나 삐걱거리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충혈, 체중 감소, 그리고 얼굴 근육의 마비나 마비 등이 있을 수 있다.
연구[편집]
두경부암에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사용한 면역치료가 조사되고 있다.[7]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Oropharyngeal Cancer Treatment (Adult) (PDQ®)–Patient Version”. 《National Cancer Institute》 (영어). 2019년 11월 22일. 201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8쪽. ISBN 978-9283204299.
- ↑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 ↑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가 나 다 라 마 “Head and Neck Cancers”. 《NCI》. 2017년 3월 29일. 2017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Head and neck cancer : emerging perspectives》. Ensley, John F. Amsterdam: Academic Press. 2003. ISBN 978-0-08-053384-1. OCLC 180905431.
- ↑ Syn NL, Teng MW, Mok TS, Soo RA (December 2017). “De-novo and acquired resistance to immune checkpoint targeting”. 《The Lancet. Oncology》 18 (12): e731–e741. doi:10.1016/s1470-2045(17)30607-1. PMID 29208439.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