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기관지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세기관지염
다른 이름Bronchiolitis
RSV에 걸린 아이의 엑스레이 사진
진료과응급의학, 소아청소년과
증상발열, 기침, 콧물, 천명, 호흡 문제[1]
합병증호흡곤란, 탈수[1]
통상적 발병 시기2세 미만[2]
병인바이러스성 질병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2]
진단 방식증상에 의거[1]
유사 질병천식, 폐렴, 심부전, 알레르기, 낭포성 섬유증[1]
치료지지적 치료 (산소, 수유 지원, 정맥 주사 )[3]
빈도~20% (2세 미만 어린이)[2][1]
사망1% (입원자 중)[4]

모세기관지염 (毛細氣管支炎, bronchiolitis) 또는 세기관지염은 허파의 가장 작은 공기 통로인 세기관지 (bronchiole)의 염증이다. 2년 미만의 어린이에게 보통 발생하며 3~6개월 된 나이대가 다수를 차지한다.[5]

증상[편집]

일반적으로 2세 미만의 유아는 하루 이틀 동안 기침, 천명, 숨가쁨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일부 증상은 다음을 포함한다:[6]

  • 수유 곤란(poor feeding)
  • 기면
  • 무호흡(stopping breathing)력
  • 70/분의 호흡수
  • 코벌렁임 및 그렁거림
  • 심각한 흉곽 후퇴
  • 청색증

병인[편집]

이 용어는 유아의 공통 질환인 일반적으로 급성 바이러스성 모세기관지염을 가리킨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에 의해 흔히 발병한다.[7]

진단[편집]

진단은 일반적으로 임상 시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흉부 엑스레이를 통해 박테리아 폐렴을 제외시키기에는 가끔 유용하지만, 일상적인 경우에는 식별되지 않는다.[8]

예방[편집]

모세기관지염의 예방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확산을 줄이는 수단에 대부분 의존한다.

관리[편집]

모세기관지염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감염 그 자체 보다 증상에 초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감염은 자연스럽게 끝이 나지만 합병증은 일반적으로 증상 그 자체로부터 기원하기 때문이다.[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Friedman JN, Rieder MJ, Walton JM, ((Canadian Paediatric Society, Acute Care C, Drug Therapy and Hazardous Substances)) (November 2014). “Bronchiolitis: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children one to 24 months of age.”. 《Paediatrics & Child Health》 19 (9): 485–98. doi:10.1093/pch/19.9.485. PMC 4235450. PMID 25414585.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2. Schroeder, AR; Mansbach, JM (June 2014). “Recent evidence on the management of bronchiolitis.”.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26 (3): 328–33. doi:10.1097/MOP.0000000000000090. PMC 4552182. PMID 24739493. 
  3. Hancock, DG; Charles-Britton, B; Dixon, DL; Forsyth, KD (September 2017). “The heterogeneity of viral bronchiolitis: A lack of universal consensus definitions.”. 《Pediatric Pulmonology》 52 (9): 1234–1240. doi:10.1002/ppul.23750. PMID 28672069. 
  4. Kendig, Edwin L.; Wilmott, Robert W.; Boat, Thomas F.; Bush, Andrew; Chernick, Victor (2012). 《Kendig and Chernick's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Tract in Children》. Elsevier Health Sciences. 450쪽. ISBN 978-1437719840. 
  5. Paediatric Society of New Zealand (2005). “Best Practice Evidence Based Guideline: Wheeze and Chest Infection in Infants Under 1 Year” (PDF). 《The Society》. 2015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6일에 확인함. 
  6. 《BRONCHIOLITIS IN CHILDREN (Sign Guideline 91)》.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06. ISBN 9781905813018. 2012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6일에 확인함. 
  7. Smyth RL, Openshaw PJ (July 2006). “Bronchiolitis”. 《Lancet368 (9532): 312–22. doi:10.1016/S0140-6736(06)69077-6. PMID 16860701. 
  8. Zorc, JJ; Hall, CB (February 2010). “Bronchiolitis: recent evidenc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Pediatrics》 125 (2): 342–9. doi:10.1542/peds.2009-2092. PMID 20100768. 
  9. Wright, M; Mullett CJ; Piedimonte G; 외. (October 2008).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Veterinary Research》 4 (5): 895–903. PMC 2621418. PMID 1920927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