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염
심근염 | |
---|---|
다른 이름 | 심근염증 |
급성 심부전증 환자의 부검 중 현미경으로 본 심근염 | |
진료과 | 심장학 |
증상 | 호흡곤란, 흉통, 운동능력 저하, 불규칙한 심장 박동[1] |
합병증 |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인한 심부전, 심정지[1] |
기간 | 몇 시간에서 몇 달[1] |
병인 | 보통 바이러스 감염, 또한, 박테리아 감염, 특정 약물, 독소, 자가 면역 질환[1][2] |
진단 방식 | 심전도, 혈액 트로포닌, 심장 MRI, 심장 생검[1][2] |
치료 | 약물, 삽입형 제세동기, 심장 이식[1][2] |
투약 |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이뇨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글로불린요법[1][2] |
예후 | 다양함[3] |
빈도 | 심근증으로 2,500,000명 (2015)[4] |
사망 | 심근증으로 354,000명 (2015)[5] |
심근염(영어: myocarditis, inflammatory cardiomyopathy) 또는 심근염증은 장바이러스 중 특히 콕사키바이러스 B형에 의해 생기는 심근의 염증을 말한다.[1]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 운동능력 저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 있다.[1] 증상의 지속시간은 몇 시간에서 몇 달 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에는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인한 심부전이나 심정지가 포함된다.[1]
심근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기인히며[1], 다른 원인으로는 박테리아 감염, 특정 약물, 독소, 자가 면역 질환 등이 있다.[1][2] 심전도 (ECG), 트로포닌 증가, 심장 MRI, 그리고 심장 생검으로 진단한다.[1][2] 심장초음파는 심장판막증과 같은 다른 잠재적인 원인들을 배제하기 위해 중요하다.[2]
치료는 심각성과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1][2]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그리고 이뇨제와 같은 약물이 자주 사용된다.[1][2] 일반적으로, 회복 중에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1][2]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면역글로불린요법 (IVIG)은 특정한 경우에 유용하다.[1][2] 심한 경우에는 삽입형 제세동기 또는 심장 이식이 권장된다.[1][2]
2013년, 약 150만 건의 급성 심근염이 발생했다.[6] 모든 연령대가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젊은 층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다.[7] 여성보다 남성에게 약간 더 흔하다.[1] 또, 대부분의 경우 심하지 않다.[2] 2015년에는 심근염을 포함한 심근증으로 354,000명이 사망하였다.(1990년 294,000명)[8][9] 질환에 대한 설명이 시작된 것은 1800년대 중반부터이다.[10]
임상 양상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치료 및 예방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Cooper LT, Jr (2009년 4월 9일). “Myocardit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0 (15): 1526–38. doi:10.1056/nejmra0800028. PMC 5814110. PMID 19357408.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Kindermann, I; Barth, C; Mahfoud, F; Ukena, C; Lenski, M; Yilmaz, A; Klingel, K; Kandolf, R; Sechtem, U; Cooper, LT; Böhm, M (2012년 2월 28일). “Update on myocarditi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9 (9): 779–92. doi:10.1016/j.jacc.2011.09.074. PMID 22361396.
- ↑ Stouffer, George; Runge, Marschall S.; Patterson, Cam (2010). 《Netter's Cardiology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181쪽. ISBN 9781437736502.
- ↑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 ↑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Collaborators (2015년 8월 22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6 (9995): 743–800. doi:10.1016/s0140-6736(15)60692-4. PMC 4561509. PMID 26063472.
- ↑ Willis, Monte; Homeister, Jonathon W.; Stone, James R. (2013). 《Cellular and Molecular Pathobiology of Cardiovascular Disease》. Academic Press. 135쪽. ISBN 9780124055254. 2017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 ↑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Cunha, Burke A. (2009). 《Infectious Diseases in Critical Care Medicine》. CRC Press. 263쪽. ISBN 9781420019605. 2017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