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두암
보이기
구인두암 | |
---|---|
진료과 | 종양학 |
구인두암(Oropharyngeal cancer)[1][2][3]은 구인두 편평 세포 암종 및 편도선암[1]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국소적으로 성장하여 신체의 다른 부위로 퍼질 가능성이 있는 비정상 세포가 구강, 구강 일부의 조직에서 발견되는 질병이다. 혀의 기저부, 편도선, 연구개, 인두벽을 포함하는 인후(구인두)의 일부에서 발견된다.[1][2][3][4]
구인두암의 두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구인암은 인후에서 관찰된 비정상 조직의 생검을 통해 진단된다. 구인두암은 발견된 비정상 세포의 크기 및 정도와 함께 생검에서 비정상 세포의 출현에 따라 병기 결정된다. 치료는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또는 이러한 치료법의 일부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Anjum F, Zohaib J (2020년 12월 4일).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Definitions》. 《StatPearls》 Updat판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doi:10.32388/G6TG1L. PMID 33085415. S2CID 229252540. Bookshelf ID: NBK563268. 2021년 2월 7일에 확인함 – NCBI 경유.
- ↑ 가 나 다 Kreimer AR (June 2014). “Prospects for prevention of HPV-driven oropharynx cancer” (PDF). 《Oral Oncology》 50 (6): 555–9. doi:10.1016/j.oraloncology.2013.06.007. PMC 4058827. PMID 23876626. S2CID 13768854.
- ↑ 가 나 다 Takes RP, Wierzbicka M, D'Souza G, Jackowska J, Silver CE, Rodrigo JP, 외. (December 2015). “HPV vaccination to prevent oropharyngeal carcinoma: What can be learned from anogenital vaccination programs?”. 《Oral Oncology》 51 (12): 1057–60. doi:10.1016/j.oraloncology.2015.10.011. PMID 26520047. S2CID 23356354.
- ↑ “Oropharyngeal Cancer Overview”. Cleveland Clinic. 2007년 9월 7일. 2011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Parkin DM (June 2006). “The global health burden of infection-associated cancers in the year 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18 (12): 3030–44. doi:10.1002/ijc.21731. PMID 16404738. S2CID 10042384.
- ↑ Nordqvist, Christian (2011년 10월 4일). “HPV Linked Oropharyngeal Cancer Rates Rise Dramatically”. Medical News Today.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