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티코스테로이드
ATC 코드 | |
---|---|
D 피부과 | |
D01 피부과용 향진균제 | |
D02 보습제 및 피부보호제 | |
D03 부상 및 궤양 치료용 의약품 | |
D04 항히스타민제, 마취제 등과 같은 가려움 진정제 | |
D05 건선치료제 | |
D06 피부과용 항생물질 및 화학요법제 | |
D07 피부과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
D08 방부제 및 소독제 | |
D09 의학용 드레싱제 | |
D10 여드름 치료제 | |
D11 기타 피부과적 치료제 | |
ATCvet에만 존재하는 코드 | |
QD51 동물의 발톱 및 발굽용 치료 의약품 | |
|
ATC 코드 | |
---|---|
H 성 호르몬과 인슐린을 제외한 전싱성 호르몬제제 | |
H01 뇌하수체 및 시상하부의 호르몬 및 그 유사체 | |
H02 전진작용에 사용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
H03 갑상샘 치료제 | |
H04 이자 작용 호르몬 | |
H05 칼슘 향상성 | |
|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는 척추동물의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의 한 계열이다.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흔한 호르몬 중에는 코티코스테론(C21H30O4), 코르티손(C21H28O5, 17-하이드록시-11-디하이드로코티코스테론), 알도스테론이 있다.
역사[편집]
현재 알려진 최초의 이용은 194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 1950년에 에드워드 캘빈 켄들, 필립 쇼월터 헨치와 함께 타데우스 리히슈타인은 코르티손의 분리를 이끌어낸, 부신피질의 호르몬에 대한 그들의 공적으로 생리학, 의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았다.[2]
코르티스테로이드는 가끔 약물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Webster. “First therapeutic use of Corticosteroid”. 2012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http://nobelprize.org/nobel_prizes/medicine/laureates/1950/kendall-lecture.pdf
외부 링크[편집]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과학용어사전
|
약리학: 주요약물군 | |
---|---|
위장관계/ 대사 (A) | |
혈액 및 조혈 기관 (B) | |
심혈관계 (C) | |
피부 (D) | |
비뇨생식기계 (G) | |
내분비계통 (H) | |
항감염제 (J, P, QI) | |
악성 질환 (L01-L02) | |
면역계 질환 (L03-L04) | |
근육, 뼈, 관절 (M) | |
뇌와 신경계통 (N) | |
호흡기계 (R) | |
감각 (S) | |
기타 ATC (V) |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