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수막염
![]() | |
---|---|
다른 이름 | 무균성 수막염 |
![]() | |
진료과 | 신경학 |
바이러스성 수막염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수막염의 일종이다. 수막염이란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뇌척수막에 발생한 염증을 의미한다. 증상으로는 두통, 발열, 눈부심, 목 경직 등이 있다.[1]
바이러스는 무균성 수막염의 가장 큰 원인이다.[2] 대부분의 경우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1][3][4] 그러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볼거리바이러스, 홍역모빌리바이러스, 단순포진바이러스 1형과 2형,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림프구성맥락수막염 바이러스 역시 바이러스성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1][5] 의료적 증상만으로는 세균성 수막염과 구분할 수 없다. 그러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의 경우 뇌척수액에서 세균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요추천자를 통해 CSF를 채취 및 검사함으로써 바이러스성 수막염으로 특정할 수 있다.[6] 대부분의 바이러스성 수막염에 대한 원천적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로 증상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치료가 이루어진다.[7] 그러나 단순포진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는 치료법이 존재한다.
미국에서 발생하는 수막염의 절반 이상이 바이러스성 수막염이다.[8] 이는 세균성 수막염 사례가 감소함에 따라 바이러스성 수막염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9] 10만명 중 0.26명에서 17명이 감염된 것으로 보이며, 가장 흔한 엔테로바이러스성 수막염의 경우 미국에서만 매년 7만 5천명에 달하는 환자가 나타난다.[9] 어린이와 성인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으나 어린이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1]
치료[편집]
증상만으로는 세균성 수막염과 바이러스성 수막염을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입원하여 검사를 받아야한다.[1] 바이러스성 수막염의 경우 일반적으로 지지적 치료를 시행한다. 휴식, 수액주사,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등을 처방할 수도 있다.[10] 그러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인지 세균성 수막염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을 때에는 일단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1]
단순포진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의 경우 각각에 알맞는 항바이러스제가 존재한다. 단순포진의 경우 아시클로버를 투여한다.[12] 수막염이 의심될 경우에도 IV 아시클로버를 투여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11]
두개내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외과적 수술을 통해 염증 발생부위 주변부를 제거할 수 있다.[13]
대부분의 경우 7~10일 안으로 상태가 호전된다.[14]
역학[편집]
1988년에서 1999년까지 매년 3만 6천 명의 사람이 바이러스성 수막염에 걸렸다.[15] 2017년에는 미국에서만 7만 5천명의 사람이 엔테로바이러스성 수막염에 걸렸다.[9] 폐렴 연쇄상구균,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수막구균에 대한 백신이 개발됨에 따라 세균성 수막염의 빈도가 줄어들면서 바이러스성 수막염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게 되었다.[11] 그러나 이런 예방접종이 아직 대중화되지 않은 국가에서는 아직도 세균성 수막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11]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갈 때 피크를 찍으며,[16] 1966년 핀란드,[17] 1996년 키프로스,[18] 1997년 가자,[19] 1998년 중국, 1998년 대만에서 나타났듯이 어린아이에서 더 높은 비중으로 발병한다.[1][20] 그러나 루마니아와 스페인의 집단발병 사례에서는 15세 미만의 감염자가 전체의 33.8%만 차지하는 등 성인에서 그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21]
최근 연구[편집]
바이러스성 수막염이 척추에 있는 동맥 벽에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2]
수막염연구재단(The Meningitis Research Foundation)은 영국에서 새로운 유전체 기술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수막염 진단의 속도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검출한 미생물의 유전체들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23] 기존에 알려진 DNA 서열과 비교할 필요가 없는 HTS(high-throughput sequencing)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성 수막염을 검출하고자 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24]
세균성 수막염이 인지능력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으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은 인지능력을 감소시킨다는 증거가 없다.[25]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Logan SA, MacMahon E (January 2008). “Viral meningitis”. 《BMJ》 336 (7634): 36–40. doi:10.1136/bmj.39409.673657.ae. PMC 2174764. PMID 18174598.
- ↑ “Aseptic Meningitis”. 《Healthline》 (영어). 2012년 8월 7일. 2017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Epidemiology”. 《Alaska Department of Health and Social Services》.
- ↑ Ratzan KR (March 1985). “Viral meningitis”.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69 (2): 399–413. doi:10.1016/s0025-7125(16)31051-3. PMID 3990441.
- ↑ “Meningitis, Viral” (PDF). 《lacounty.gov》. Acute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Manual. County of Los Angeles Dept. of Public Health. March 2015. 2019년 1월 2일에 확인함.
- ↑ “Meningitis | Viral | CDC”. 《www.cdc.gov》 (미국 영어). 2017년 3월 2일에 확인함.
- ↑ “Viral Meningitis - Meningitis Research Foundation”. 《www.meningitis.org》. 2017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일에 확인함.
- ↑ Bartt R (December 2012). “Acute bacterial and viral meningitis”. 《Continuum》 18 (6 Infectious Disease): 1255–70. doi:10.1212/01.CON.0000423846.40147.4f. PMID 23221840.
- ↑ 가 나 다 McGill F, Griffiths MJ, Solomon T (April 2017). “Viral meningitis: current issu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Current Opinion in Infectious Diseases》 30 (2): 248–256. doi:10.1097/QCO.0000000000000355. PMID 28118219.
- ↑ “Viral Meningitis Treatment & Management: Approach Considerations, Pharmacologic Treatment and Medical Procedures, Patient Activity”. 2017년 11월 29일.
- ↑ 가 나 다 라 Cantu RM, Das JM (2019). 〈Viral Meningitis〉. 《StatPearls Publishing》. 《StatPearls》. PMID 31424801. 2020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Tyler KL (June 2004).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ncephalitis and meningitis, including Mollaret's”. 《Herpes》. 11 Suppl 2 (Suppl 2): 57A–64A. PMID 15319091.
- ↑ “Meningitis | McMaster Pathophysiology Review”. 《www.pathophys.org》 (미국 영어).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Meningitis | Viral | CDC”. 《www.cdc.gov》 (미국 영어). 2017년 12월 4일. 201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Khetsuriani N, Quiroz ES, Holman RC, Anderson LJ (Nov–Dec 2003). “Viral meningitis-associated hospital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1988-1999”. 《Neuroepidemiology》 22 (6): 345–52. doi:10.1159/000072924. PMID 14557685.
- ↑ Logan SA, MacMahon E (January 2008). “Viral meningitis”. 《BMJ》 336 (7634): 36–40. doi:10.1136/bmj.39409.673657.AE. PMC 2174764. PMID 18174598.
- ↑ Rantakallio P, Leskinen M, von Wendt L (1986). “Incidence and prognosis of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 in a birth cohort of 12,000 children”.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8 (4): 287–94. doi:10.3109/00365548609032339. PMID 3764348.
- ↑ “1996—Viral meningitis in Cyprus”. 《WHO》.
- ↑ “1997—Viral meningitis in Gaza”. 《WHO》.
- ↑ “1998—Enterovirus Outbreak in Taiwan, China—update no. 2”. 《WHO》.
- ↑ Jiménez Caballero PE, Muñoz Escudero F, Murcia Carretero S, Verdú Pérez A (October 2011). “Descriptive analysis of viral meningitis in a general hospital: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Neurologia》 26 (8): 468–73. doi:10.1016/j.nrleng.2010.12.004. PMID 21349608.
- ↑ Pan, Xudong (2012). “Vertebral artery dissection associated with viral meningitis”. 《BMC Neurology》 12: 79. doi:10.1186/1471-2377-12-79. PMC 3466159. PMID 22909191.
- ↑ “Using new genomic techniques to identify the causes of meningitis in UK children | Meningitis Research Foundation”. 《www.meningitis.org》.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Zanella MC, Lenggenhager L, Schrenzel J, Cordey S, Kaiser L (April 2019). “High-throughput sequencing for the aetiologic identification of viral encephalitis, meningoencephalitis, and meningitis. A narrative review and clinical appraisal”.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영어) 25 (4): 422–430. doi:10.1016/j.cmi.2018.12.022. PMID 30641229.
- ↑ Christie D, Rashid H, El-Bashir H, Sweeney F, Shore T, Booy R, Viner RM (2017). “Impact of meningitis on intelligence and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12 (8): e0175024. Bibcode:2017PLoSO..1275024C. doi:10.1371/journal.pone.0175024. PMC 5570486. PMID 28837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