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모빌리바이러스
홍역모빌리바이러스(Measles morbillivirus), 또는 과거의 명칭이지만 홍역바이러스(measles virus, MeV)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의 모빌리바이러스에 속하며 외피가 있는 단일가닥, 음극성, 비분절성 RNA 바이러스다. 홍역을 일으키며, 인간 외에 다른 동물 숙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질병[편집]
호흡계통이 주로 이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홍역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콧물, 눈 충혈이 있으며 반구진 발진과 홍반성 발진이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사람이나 분비물과의 접촉, 즉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굉장히 잘 전염된다.
복제 주기[편집]
침입[편집]

홍역바이러스는 헤마글루티닌(H)과 막 융합 단백질(F) 두 종류의 외피 당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이 단백질들은 숙주세포에 달라붙어 침입하는 기능을 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헤마글루티닌 수용체로는 CD46 보체조절단백질, SLAM, 세포부착단백질의 일종인 넥틴-4가 알려져있다.[1]
유전체 복제와 바이러스 조립[편집]
홍역바이러스의 음성 ssRNA는 직접 양성 복사본을 생성하거나, 새로운 음성 복사본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로써 다량의 ssRNA가 생성되는데, 이 ssRNA들은 곧 숙주의 리보솜을 통해 번역되어 대량의 바이러스 단백질이 합성되고 바이러스가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바이러스들은 곧 세포를 뚫고 나와 새로운 복제 주기를 시작한다.[2]
진화[편집]
홍역바이러스는 현재에는 사라졌지만 과거에는 널리 퍼져있었던 바이러스인 우역바이러스에서 진화되었다.[3] 일반적으로 우역바이러스와 홍역바이러스는 11-12세기에 분리된 것으로 여겨지며, 분자계통학적 방법인 염기서열 분석에 의하면 95%의 신뢰 구간 내에서 5세기에 분리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도 가능하다.[3]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분석방법은 음성선택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이를 고려할 때 실제 분리 시기는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4] 실제로 7세기의 문헌에도 홍역과 유사한 증상이 발견된다.[5][6] 다만 현대에 유행하는 바이러스주(strain)는 20세기 초반에, 구체적으로는 1908년에서 1943년 사이에 진화하였다.[7]
유전자형[편집]
홍역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전형적으로 15,894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있으며, 총 8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8]
WHO는 현재 8개의 계통군을 인지하고 있으며, 각각 A에서 H까지의 알파벳으로 구분하고 아류형의 경우 뒤에 숫자를 붙여 구분한다. 현재 총 23종의 아류가 발견되었다. 홍역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C 터미널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서열부터 최소 450개의 뉴클레오티드가 필요하다. 유전자형 구분을 위한 작업은 1998년 제안되어 2002년과 2003년에 구체화되었다.
홍역바이러스에는 23종의 아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항원형은 단 한 가지만 존재한다. 따라서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만으로 다른 모든 아류형을 방어할 수 있다.[9]
주 유전자형은 각 국가와 주 전달경로에 따라 다르다.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2000년에, 기타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2002년에 해당 바이러스가 해당 지역에서는 더이상 풍토병이 아니라고 발표했다.[10]
각주[편집]
- ↑ Lu G, Gao GF, Yan J (2013). “The receptors and entry of measles virus: a review”. 《Sheng Wu Gong Cheng Xue Bao》 (중국어) 29 (1): 1–9. PMID 23631113.
- ↑ Jiang, Yanliang; Qin, Yali; Chen, Mingzhou (2016년 11월 16일). “Host–Pathogen Interactions in Measles Virus Replication and Anti-Viral Immunity”. 《Viruses》 8 (11): 308. doi:10.3390/v8110308. ISSN 1999-4915. PMC 5127022. PMID 27854326.
- ↑ 가 나 Furuse Y, Suzuki A, Oshitani H (2010). “Origin of measles virus: divergence from rinderpest virus betwee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Virol. J.》 7: 52. doi:10.1186/1743-422X-7-52. PMC 2838858. PMID 20202190.
- ↑ Wertheim, J. O.; Kosakovsky Pond, S. L. (2011). “Purifying Selection Can Obscure the Ancient Age of Viral Lineag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8 (12): 3355–65. doi:10.1093/molbev/msr170. PMC 3247791. PMID 21705379.
- ↑ Griffin DE (2007). 〈Measles Virus〉. Martin, Malcolm A.; Knipe, David M.; Fields, Bernard N.; Howley, Peter M.; Griffin, Diane; Lamb, Robert. 《Fields' virology》 5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7817-6060-7.
- ↑ McNeil, W. (1976). 《Plagues and Peoples》. New York: Anchor Press/Doubleday. ISBN 978-0-385-11256-7.
- ↑ Pomeroy LW, Bjørnstad ON, Holmes EC (February 2008). “The evolutionary and epidemiological dynamics of the paramyxoviridae”. 《J. Mol. Evol.》 66 (2): 98–106. Bibcode:2008JMolE..66...98P. doi:10.1007/s00239-007-9040-x. PMC 3334863. PMID 18217182.
- ↑ Phan, MVT; Schapendonk, CME; Oude Munnink, BB; Koopmans, MPG; de Swart, RL; Cotten, M (2018년 3월 29일). “Complete Genome Sequences of Six Measles Virus Strains.”. 《Genome Announcements》 6 (13). doi:10.1128/genomeA.00184-18. PMC 5876482. PMID 29599155.
- ↑ “Measles”. 《Biologicals — Vaccine Standard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년 3월 11일.
- ↑ “No endemic transmission of measles in the Americas since 2002”.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2017년 2월 14일. 2017년 9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Measles virus”.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