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명사 (역사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십사사
이름 저자 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배인 100
후한서 유송·범엽·배송지 120
삼국지 서진·진수·배잠 65
진서(晉書) ·방현령·배행검 등 130
송서 ·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陳書)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50
수서 당·위징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200
신당서 ·구양수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토크토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송렴 210
명사 ·장정옥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536
v  d  e  h

명사》(중국어 정체자: 明史, 병음: Míngshǐ)은 중국 청나라 때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다. 본기 24권, 열전 220권, 표 13권, 지 75권, 목록 4권으로 총 33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전체 정사이다. 명나라의 성립에서 멸망까지를 기술하고 있다. 편찬 시작은 순치 년간이며, 완성은 1739년(건륭 4년)이지만, 대부분은 강희 연간에 편찬되었다.

편찬 과정

[편집]

순치제 시기

[편집]

1645년(순치 2년) 5월 빙전을 총재(책임자)로 임명하여 명사를 편찬하기 위해 ‘명사관’이 설치되었다. 빙전 등은 자료 수집에 착수했지만 천계 연간의 실록 일부와 숭정 연간의 실록이 소실되어 있었기 때문에, 1648년 (순치 5년) 9월 각 관공서에 대한 동시대의 공문을 예부에 보내도록 명령했다. 하지만 여전히 사료가 부족했기 때문에, 1651년 (순치 8년) 윤 2월 민간의 저보(명대의 관보와 같은 것)를 고가로 매입하여 사료로 수집했다. 그러나 그것도 실록에 사용할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에, 1655년 (순치 12년) 2월 학문 담당 관리들에게 저보나 민간에서 기록한 역사서를 구입하고 그 수집 성적을 근무 평가에 반영시켰다. 그러나 각 관공서도 자료 수집에 주력하지 않고 편년체 초안이 완성된 것으로만 명사 편찬 업무는 중단되었다.

강희제 시기

[편집]

그 이후, 1665년 (강희 4년) 10월에 명사관 업무가 재개됐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다시 중단되었다. 1679년 (강희 18년), 본격적으로 명사 편찬 사업의 재개가를 결정하고 자금성의 동화문 밖에 명사관을 설치하여, 감수에 내각대학사인 서원문, 총재에 한림원 장원학사인 엽방알과 우서자 장옥서를 임명하였고, 편찬 위원에는 전년에 실시된 임시 과거에 합격한 50명을 배당했다. 편찬 과정에서 강희제 스스로도 초고를 열람하고 정확공정을 꾀한 다음 후세에 전할 수 있는 내용으로 할 것을 명했다. 강희제는 명나라 역사의 완성을 중시하고 있었지만, 사료 부족이나 내용의 정확성을 중시했기 때문에 편찬 사업은 속도가 나지 않았지만, 그래도 1717년 (강희 56년) 8월 4일 “아직 기록되지 않은 것이 많다. 공식적인 기록이 없기 때문에 오류가 매우 많다. 따라서 대신들은 편찬을 서두르고 있지만 무리하게 서둘러 편찬할 필요는 없다”라고 64세가 되어 자신이 살아있을 동안 명사를 완성하기 어려운 것을 깨닫고 있었다. 그러나 강희제는 편찬의 정확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옹정제 이후 시기

[편집]

강희 황제 승하 5년 후 명사 전권이 완성된 것은 1735년 (옹정 13년) 12월이고, 전권이 인쇄된 것은 1739년 (건륭 4년) 7월이었다. 명사관이 처음 설치된 이후 90년이 흘렀고, 강희 황제가 위와 같은 말은 한 지도 20년 이상의 세월이 흐른 뒤였다.

평가

[편집]

명사의 자료적 가치는 강희제가 바랐던 대로 현재에도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청대의 조익(趙翼)은 “요사는 간략하고, 송사는 엉성하고 양이 많으며, 원사는 조략하고, 금사는 우아함이나 간결함이 약간 봐 줄 만하지만, 명사에는 미치지 못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 조익의 친구인 전대흔(錢大昕)도 “공평하고, 잘 고찰되어 있고, 중요한 점은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어서, 아직 이 정도의 정사는 없었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구성

[편집]
  • 본기(本紀) 24권, 지(志) 75권, 표(表) 13권, 열전(列傳) 220권으로 총합 33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本紀)

[편집]
### 제목 군주 시기(음력) 비고
권1 본기1 태조(太祖) 1 태조(太祖)
홍무제(洪武帝)
1352년 2월 ~ 1367년 12월
( 지정(至正) 12년 ~ 원 지정(至正) 27년)
권2 본기2 태조(太祖) 2 1368년 1월 ~ 1381년 12월
(홍무(洪武) 원년 ~ 홍무(洪武) 14년)
권3 본기3 태조(太祖) 3 1382년 1월 ~ 1398년 윤 5월
(홍무(洪武) 15년 ~ 홍무(洪武) 31년)
권4 본기4 공민제(恭閔帝) 건문제(建文帝) 1398년 윤 5월 ~ 1402년 6월
(홍무(洪武) 31년 ~ 건문(建文) 4년)
권5 본기5 성조(成祖) 1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
1399년 6월 ~ 1402년 12월
(건문(建文) 원년 ~ 홍무(洪武) 35년)
권6 본기6 성조(成祖) 2 1403년 1월 ~ 1413년 12월
(영락(永樂) 원년 ~ 영락(永樂) 11년)
권7 본기7 성조(成祖) 3 1414년 1월 ~ 1424년 7월
(영락(永樂) 12년 ~ 영락(永樂) 22년)
권8 본기8 인종(仁宗) 인종(仁宗)
홍희제(洪熙帝)
1424년 7월 ~ 1425년 5월
(영락(永樂) 22년 ~ 홍희(洪熙) 원년)
권9 본기9 선종(宣宗) 선종(宣宗)
선덕제(宣德帝)
1425년 4월 ~ 1435년 1월
(홍희(洪熙) 원년 ~ 선덕(宣德) 10년)
권10 본기10 영종(英宗) 전기 영종(英宗)
정통제(正統帝)
1435년 1월 ~ 1449년 9월
(선덕(宣德) 10년 ~ 정통(正統) 14년)
권11 본기11 경제(景帝) 경태제(景泰帝) 1449년 8월 ~ 1457년 2월
(정통(正統) 14년 ~ 천순(天順) 원년)
권12 본기12 영종(英宗) 후기 영종(英宗)
천순제(天順帝)
1457년 1월 ~ 1464년 1월
(천순(天順) 원년 ~ 천순(天順) 8년)
권13 본기13 헌종(憲宗) 1 헌종(憲宗)
성화제(成化帝)
1464년 1월 ~ 1475년 12월
(천순(天順) 8년 ~ 성화(成化) 11년)
권14 본기14 헌종(憲宗) 2 1476년 1월 ~ 1487년 8월
(성화(成化) 12년 ~ 성화(成化) 23년)
권15 본기15 효종(憲宗) 효종(憲宗)
홍치제(弘治帝)
1487년 8월 ~ 1505년 5월
(성화(成化) 23년 ~ 홍치(弘治) 18년)
권16 본기16 무종(武宗) 무종(武宗)
정덕제(正德帝)
1505년 5월 ~ 1521년 3월
(홍치(弘治) 18년 ~ 정덕(正德) 16년)
권17 본기17 세종(世宗) 1 세종(世宗)
가정제(嘉靖帝)
1521년 3월 ~ 1542년 12월
(정덕(正德) 16년 ~ 가정(嘉靖) 21년)
권18 본기18 세종(世宗) 2 1543년 1월 ~ 1566년 12월
(가정(嘉靖) 22년 ~ 가정(嘉靖) 45년)
권19 본기19 목종(穆宗) 목종(穆宗)
융경제(隆慶帝)
1566년 12월 ~ 1572년 5월
(가정(嘉靖) 45년 ~ 융경(隆慶) 6년)
권20 본기20 신종(神宗) 1 신종(神宗)
만력제(萬曆帝)
1572년 5월 ~ 1596년 12월
(융경(隆慶) 6년 ~ 만력(萬曆) 24년)
권21 본기21 신종(神宗) 2 1597년 1월 ~ 1620년 9월
(만력(萬曆) 25년 ~ 태창(泰昌) 원년)
광종(光宗) 광종(光宗)
태창제(泰昌帝)
권22 본기22 희종(熹宗) 희종(熹宗)
천계제(天啓帝)
1620년 9월 ~ 1627년 8월
(태창(泰昌) 원년 ~ 천계(天啓) 7년)
권23 본기23 장렬제(莊烈帝) 1 숭정제(崇禎帝) 1627년 8월 ~ 1637년 12월
(천계(天啓) 7년 ~ 숭정(崇禎) 10년)
권24 본기24 장렬제(莊烈帝) 2 1638년 1월 ~ 1644년 3월
(숭정(崇禎) 11년 ~ 숭정(崇禎) 17년)

지(志)

[편집]
### 제목 목록 비고
권25 지1 천문(天文) 1 양의(兩儀), 칠정(七政), 항성(恆星), 황적숙도(黃赤宿度), 황적궁계(黃赤宮界), 의상(儀象), 극도귀영(極度晷影), 동서편도(東西偏度), 중성(中星), 분야(分野)
권26 지2 천문(天文) 2 월엄범오위(月掩犯五緯), 오위엄범(五緯掩犯), 오위합취(五緯合聚), 오위엄범항성(五緯掩犯恒星)
권27 지3 천문(天文) 3 성주견(星晝見), 객성(客星), 혜패(彗孛), 천변(天變), 일변월변(日變月變), 훈괄(暈适), 성변(星變), 성류성운(星流星隕), 운기(雲氣)
권28 지4 오행(五行) 1 《수(水)》
항한(恆寒), 항음(恆陰), 우설운상(雨雪隕霜), 빙박(冰雹), 뇌진(雷震), 어얼(魚孽), 황남(蝗蝻), 시화(豕禍), 용사지얼(龍蛇之孽), 마이(馬異), 인아(人痾), 질역(疾疫), 고요(鼓妖), 운석(隕石), 수료(水潦), 수변(水變), 흑생흑상(黑眚黑祥)
권29 지5 오행(五行) 2 《화(火)》
항욱(恆燠), 초이(草異), 우충지얼(羽蟲之孽), 양화(羊禍), 화재(火災), 화이(火異), 적생적상(赤眚赤祥),
《목(木)》
항우(恆雨), 광인(狂人), 복요(服妖), 계화(雞禍), 서요(鼠妖), 목빙(木冰), 목요(木妖), 청생청상(青眚青祥)
권30 지6 오행(五行) 3 《금(金)》
항양(恆暘), 시요(詩妖), 모충지얼(毛蟲之孽), 견화(犬禍), 금이(金異), 백생백상(白眚白祥)
《토(土)》
항풍(恆風), 풍매회명(風霾晦冥), 화얼(花孽), 충얼(蟲孽), 우화(牛禍), 지진(地震), 산퇴(山頹), 우모(雨毛)/지생모(地生毛), 연기(年飢), 황생황상(黃眚黃祥)
권31 지7 역(曆) 1 역법연혁(曆法沿革)
권32 지8 역(曆) 2 《대통역법(大統曆法) 1 - 상(一上) 법원(法原)》
구고측망(句股測望), 호시할원(弧矢割圓), 황적도차(黃赤道差), 황적도상구호시제솔입성(黃赤道相求弧矢諸率立成), 할원호시도(割圓弧矢圖), 황적도내외도(黃赤道內外度), 황도매도거적도내외급거북극입성(黃道每度去赤道內外及去北極立成), 백도교주(白道交周)
권33 지9 역(曆) 3 《대통역법(大統曆法) 1 - 하(一下) 법원(法原)》
영축초차도설(盈縮招差圖說), 태음지질평립삼차지원(太陰遲疾平立三差之原), 토성영력입차가 평차감(土星盈歷立差加 平差減), 토성축력입차가 평차감(土星縮歷立差加 平差減), 수성입차가 평차감(水星立差加 平差減), 이차각루(裏差刻漏)
권34 지10 역(曆) 4 《대통역법(大統曆法) 2(二) 입성(立成)》
권35 지11 역(曆) 5 《대통역법(大統曆法) 3 - 상(三上) 추보(推步)》
보기삭발염부(步氣朔發斂附), 보일전(步日躔), 보월리(步月離), 황도적도검(黃道積度鈐), 적도적도검(赤道積度鈐), 활상한례(活象限例), 지질전정도검(遲疾轉定度鈐), 전정적도검(轉定積度鈐), 적도십이궁계숙차(赤道十二宮界宿次), 보중성(步中星)
권26 지12 역(曆) 6 《대통역법(大統曆法) 3 - 하(三下) 추보(推步)》
보교식(步交食), 음식한시정망입교(陰食限視定望入交), 추월식용수(推月食用數), 세전동지가시황도숙차(歲前冬至加時黃道宿次), 보오성(步五星), 자기숙차일분입성입기초도(紫氣宿次日分立成入箕初度)
권37 지13 역(曆) 7 《회회역법(回回曆法) 1(一)》
태양행도(太陽行度), 태음행도(太陰行度), 태음위도(太陰緯度), 오성경도(五星經度), 태음오성능범(太陰五星凌犯)
권38 지14 역(曆) 8 《회회역법(回回曆法) 2(二)》
오성자행도입성조법(五星自行度立成造法), 일오성최고행도입성조법일오성동용(日五星最高行度立成造法日五星同用), 태음경도입성조법(太陰經度立成造法), 총령년궁월일칠요입성조법(總零年宮月日七曜立成造法)
권39 지15 역(曆) 9 《회회역법(回回曆法) 3(三)》
권40 지16 지리(地理) 1 《경사(京師)/북경(北京)/북직례(北直隷)》
순천부(順天府), 보정부(保定府), 하간부(河間府), 진정부(真定府), 순덕부(順德府), 광평부(廣平府), 대명부(大名府), 영평부(永平府), 연경주(延慶州), 보안주(保安州)
《남경(南京)/남직례(南直隷)》
응천부(應天府), 봉양부(鳳陽府), 회안부(淮安府), 양주부(揚州府), 소주부(蘇州府), 송강부(松江府), 상주부(常州府), 진강부(鎮江府), 여주부(廬州府), 안경부(安慶府), 태평부(太平府), 지주부(池州府), 영국부(寧國府), 휘주부(徽州府), 서주(徐州), 저주(滁州), 화주(和州), 광덕주(廣德州)
권41 지17 지리(地理) 2 《산동포정사사(山東布政使司)》
제남부(濟南府), 연주부(兗州府), 동창부(東昌府), 청주부(青州府), 내주부(萊州府), 등주부(登州府), 요동도(遼東都)
《산서포정사사(山西布政使司)》
태원부(太原府), 평양부(平陽府), 분주부(汾州府), 노안부(潞安府), 대동부(大同府), 택주(澤州), 심주(沁州), 요주(遼州), 산서행도(山西行都)
권42 지18 지리(地理) 3 《하남포정사사(河南布政使司)》
개봉부(開封府), 하남부(河南府), 귀덕부(歸德府), 여녕부(汝寧府), 남양부(南陽府), 회경부(懷慶府), 위휘부(衛輝府), 창덕부(彰德府), 여주(汝州)
《섬서포정사사(陝西布政使司)》
서안부(西安府), 봉상부(鳳翔府), 한중부(漢中府), 연안부(延安府), 경양부(慶陽府), 평량부(平涼府), 공창부(鞏昌府), 임도부(臨洮府), 하주(河州), 영주(靈州), 흥안주(興安州)
권43 지19 지리(地理) 4 《사천포정사사(四川布政使司)》
성도부(成都府), 보녕부(保寧府), 순경부(順慶府), 기주부(夔州府), 중경부(重慶府), 서주부(敘州府), 용안부(龍安府), 마호부(馬湖府), 진웅부(鎮雄府), 동천주(潼川州), 미주(眉州), 공주(邛州), 가정주(嘉定州), 노주(瀘州), 아주(雅州), 송반위(松潘衛), 사천행도(四川行都)
《강서포정사司(江西布政使司)》
남창부(南昌府), 서주부(瑞州府), 구강부(九江府), 남당부(南唐府), 요주부(饒州府), 광신부(廣信府), 건창부(建昌府), 무주부(撫州府), 길안부(吉安府), 임강부(臨江府), 원주부(袁州府), 공주부(贛州府), 남안부(南安府)
권44 지20 지리(地理) 5 《호광포정사사(湖廣布政使司)》
무창부(武昌府), 한양부(漢陽府), 황주부(黃州府), 승천부(承天府), 덕안부(德安府), 악주부(岳州府), 형주부(荊州府), 양양부(襄陽府), 운양부(鄖陽府), 장사부(長沙府), 상덕부(常德府), 형주부(衡州府), 영주부(永州府), 보경부(寶慶府), 진주부(辰州府), 침주(郴州), 정주(靖州), 시주위(施州衛)
《절강포정사사(浙江布政使司)》
항주부(杭州府), 엄주부(嚴州府), 가흥부(嘉興府), 호주부(湖州府), 소흥부(紹興府), 영파부(寧波府), 태주부(台州府), 금화부(金華府), 구주부(衢州府), 처주부(處州府), 온주부(溫州府)
권45 지21 지리(地理) 6 《복건포정사사(福建布政使司)》
복주부(福州府), 흥화부(興化府), 건녕부(建寧府), 연평부(延平府), 정주부(汀州府), 소무부(邵武府), 천주부(泉州府), 장주부(漳州府), 복녕주(福寧州)
《광동포정사사(廣東布政使司)》
광주부(廣州府), 조경부(肇慶府), 소주부(韶州府), 남웅부(南雄府), 혜주부(惠州府), 조주부(潮州府), 고주부(高州府), 뇌주부(雷州府), 염주부(廉州府), 경주부(瓊州府), 나정주(羅定州)
《광서포정사사(廣西布政使司)》
계림부(桂林府), 평락부(平樂府), 오주부(梧州府), 심주부(潯州府), 류주부(柳州府), 경원부(慶遠府), 남녕부(南寧府), 사은군민부(思恩軍民府), 태평부(太平府), 사명부(思明府), 진안부(鎮安府), 전주(田州), 귀순주(歸順州), 사성주(泗城州), 향무주(向武州), 도강주(都康州), 용주(龍州), 강주(江州), 사릉주(思陵州), 빙상주(憑祥州)
권46 지22 지리(地理) 7 《운남포정사사(雲南布政使司)》
운남부(雲南府), 곡정부(曲靖府), 심전부(尋甸府), 임안부(臨安府), 징강부(澂江府), 광서부(廣西府), 광남부(廣南府), 원강군민부(元江軍民府), 초웅부(楚雄府), 요안군민부(姚安軍民府), 무정부(武定府), 경동부(景東府), 진원부(鎮沅府), 대리부(大理府), 학경군민부(鶴慶軍民府), 여강군민부(麗江軍民府), 영녕부(永寧府), 북승주(北勝州), 영창군민부(永昌軍民府), 몽화부(蒙化府), 순녕부(順寧府), 운주(雲州), 맹정어이부(孟定御夷府), 맹간어이부(孟艮御夷府), 위원어이주(威遠御夷州), 만전어이주(灣甸御夷州), 진강어이주(鎮康御夷州), 광읍주(廣邑州)
《귀주포정사사(貴州布政使司)》
귀양군민부(貴陽軍民府), 안순군민부(安順軍民府), 도균부(都勻府), 평월군민부(平越軍民府), 여평부(黎平府), 사남부(思南府), 사주부(思州府), 진원부(鎮遠府), 동인부(銅仁府), 석천부(石阡府)
권47 지23 예(禮) 1 《길례(吉禮) 1》
분헌배사(分獻陪祀), 단유지제(壇壝之制), 신위제기옥백생뢰축책지수(神位祭器玉帛牲牢祝冊之數), 옥백생뢰(玉帛牲牢), 축책(祝冊), 변두지실(籩豆之實), 제사잡의제의(祭祀雜議諸儀), 제사일기(祭祀日期), 습의(習儀), 재계(齋戒), 견관제사(遣官祭祀), 분헌배사(分獻陪祀)
권48 지24 예(禮) 2 《길례(吉禮) 2》
교사지제(郊祀之制), 교사배위(郊祀配位), 교사의주(郊祀儀注), 기곡(祈穀), 대우(大雩), 대향례(大饗禮), 영절배천(令節拜天)
권49 지25 예(禮) 3 《길례(吉禮) 3》
사직(社稷), 조일석월(朝日夕月), 선농(先農), 선잠(先蠶), 고매(高禖), 제고(祭告), 기보(祈報), 신기단(神祇壇), 성진단(星辰壇), 영성제신(靈星諸神), 태세월장풍운뇌우지사(太歲月將風雲雷雨之祀), 악진해독산천지사(嶽鎮海瀆山川之祀), 성황(城隍)
권50 지26 예(禮) 4 《길례(吉禮) 4》
역대제왕능묘(歷代帝王陵廟), 삼황(三皇), 성사(聖師), 지성선사공자묘사(至聖先師孔子廟祀), 기독(旗纛), 오사(五祀), 마신(馬神), 남경신묘(南京神廟), 공신묘(功臣廟), 경사구묘(京師九廟), 제신사(諸神祠), 여단(厲壇)
권51 지27 예(禮) 5 《길례(吉禮) 5》
종묘지제(宗廟之制), 체패(禘佩), 시향(時享), 천신(薦新), 가상시호(加上諡號), 묘휘(廟諱)
권52 지28 예(禮) 6 《길례(吉禮) 6》
봉선전(奉先殿), 봉자전(奉慈殿), 헌황제묘(獻皇帝廟), 신왕종향(新王從饗), 공신배향(功臣配饗), 왕국종묘(王國宗廟), 군신가묘(羣臣家廟)
권53 지29 예(禮) 7 《가례(嘉禮) 1》
등극의(登極儀), 대조의(大朝儀), 상조의(常朝儀), 황태자친왕조의(皇太子親王朝儀), 제왕내조의(諸王來朝儀), 제사조근의(諸司朝覲儀), 중궁수조의(中宮受朝儀), 조하동궁의(朝賀東宮儀), 대연의(大宴儀), 상존호휘호의(上尊號徽號儀)
권54 지30 예(禮) 8 《가례(嘉禮) 2》
책황후의(冊皇后儀), 책비빈의(冊妃嬪儀), 책황태자급황태자비의(冊皇太子及皇太子妃儀), 책친왕급왕비의(冊親王及王妃儀), 책공주의(冊公主儀), 황제가원복의(皇帝加元服儀), 책황태자황자관례(冊皇太子皇子冠禮), 품관관례(品官冠禮), 서인관례(庶人冠禮)
권55 지31 예(禮) 9 《가례(嘉禮) 3》
천자납후의(天子納后儀), 황태자납비의(皇太子納妃儀), 친왕혼례(親王婚禮), 공주혼례(公主婚禮), 품관혼례(品官婚禮), 서인혼례(庶人婚禮), 황제시학의(皇帝視學儀), 경연(經筵), 일강(日講), 동궁출각강학의(東宮出閣講學儀), 제왕독서의(諸王讀書儀)
권56 지32 예(禮) 10 《빈례(賓禮)》
순수지제(巡狩之制), 동궁감국(東宮監國), 황태손감국(皇長孫監國), 반조의(頒詔儀), 영접조사의(迎接詔赦儀), 진서의(進書儀), 진표전의(進表箋儀), 향음주례(鄉飲酒禮), 번왕조공례(蕃王朝貢禮), 견사지번국의(遣使之蕃國儀), 번국견사진표의(蕃國遣使進表儀), 품관상견례(品官相見禮), 서인상견례(庶人相見禮)
권57 지33 예(禮) 11 《군례(軍禮)》
친정(親征), 견장(遣將), 마제(禡祭), 수강(受降), 주개헌부(奏凱獻俘), 논공행상(論功行賞), 대열(大閱), 대사(大射), 구일벌고(救日伐鼓)
권58 지34 예(禮) 12 《흉례(凶禮) 1》
산릉(山陵)
권59 지35 예(禮) 13 《흉례(凶禮) 2》
황후능침(皇后陵寢), 흥종제후능침(興宗帝后陵寢), 예종제후능침(睿宗帝后陵寢), 황비등상장(皇妃等喪葬), 황태자급비상장(皇太子及妃喪葬), 제왕급비공주상장(諸王及妃公主喪葬)
권60 지36 예(禮) 14 《흉례(凶禮) 3》
알제능묘(謁祭陵廟), 기진(忌辰), 승여수번국왕부주의(乘輿受蕃國王訃奏儀), 승여위왕공대신거애의(乘輿爲王公大臣舉哀儀), 승여임왕공대신사의(乘輿臨王公大臣喪儀), 중궁위부조상의(中宮爲父祖喪儀), 견사임조의(遣使臨吊儀), 견사책증왕공대신의(遣使冊贈王公大臣儀), 사제장(賜祭葬), 상장지제(喪葬之制), 비갈(碑碣), 사시(賜諡), 품관상례(品官喪禮), 사서인상례(士庶人喪禮), 복기(服紀)
권61 지37 악(樂) 1
권62 지38 악(樂) 2 악장(樂章) 1
권63 지39 악(樂) 3 악장(樂章) 2
권64 지40 의위(儀衞) 황제의장(皇帝儀仗), 황후의장(皇后儀仗), 황태자의장(皇太子儀仗), 친왕의장(親王儀仗), 군왕의장(郡王儀仗), 황비의장(皇妃儀仗), 동궁비의장(東宮妃儀仗), 친왕비의장(親王妃儀仗), 군왕비의장(郡王妃儀仗), 군주의장(郡主儀仗)
권65 지41 여복(輿服) 1 천자차로(天子車輅), 황후로(皇后輅), 태황태후황태후로(太皇太后皇太后輅), 황비차(皇妃車), 황태자금로(皇太子金輅), 동궁비차(東宮妃車), 친왕상로(親王象輅), 친왕비차(親王妃車), 공주차(公主車), 군왕비급군주구용적교(郡王妃及郡主俱用翟轎), 백관승차(百官乘車), 산개(傘蓋), 안비(鞍轡)
권66 지42 여복(輿服) 2 황제관복(皇帝冠服), 황후관복(皇后冠服), 황비황빈급내명부관복(皇妃皇嬪及內命婦冠服), 황태자관복(皇太子冠服), 황태자비관복(皇太子妃冠服), 친왕관복(親王冠服), 친왕비관복(親王妃冠服), 공주관복(公主冠服), 친왕세자관복(親王世子冠服), 친왕세자비관복(親王世子妃冠服), 군왕관복(郡王冠服), 군왕비관복(郡王妃冠服), 군왕장자조복(郡王長子朝服), 군주관복(郡主冠服), 군왕장자부인관복(郡王長子夫人冠服), 현주관복(縣主冠服)
권67 지43 여복(輿服) 3 군신관복(羣臣冠服), 문무관관복(文武官冠服), 명부관복(命婦冠服), 내외관친속관복(內外官親屬冠服), 내사관복(內使冠服), 시의이하관복(侍儀以下冠服), 사서관복(士庶冠服), 악공관복(樂工冠服), 군례관복(軍隸冠服), 외번관복(外蕃冠服), 승도복(僧道服)
권68 지44 여복(輿服) 4 황제보세(皇帝寶璽), 황후보세(皇后冊寶), 황비이하책인(皇妃以下冊印), 황태자책보(皇太子冊寶), 황태자비책보(皇太子妃冊寶), 친왕이하책보책인(親王以下冊寶冊印), 철권인신(鐵券印信), 부절궁실제도(符節宮室制度), 신서실옥제도(臣庶室屋制度), 기용(器用)
권69 지45 선거(選擧) 1
권70 지46 선거(選擧) 2
권71 지47 선거(選擧) 3
권72 지48 직관(職官) 1 종인부(宗人府), 삼공(三公)/삼소(三少), 태자삼사(太子三師)/태자삼소(太子三少), 내각(內閣), 이부(吏部), 호부(戶部), 예부(禮部), 병부(兵部), 형부(刑部), 공부(工部)
권73 지49 직관(職官) 2 도찰원(都察院), 통정사사(通政使司), 대리시(大理寺), 첨사부(詹事府), 한림원(翰林院), 국자감(國子監), 연성공(衍聖公)
권74 지50 직관(職官) 3 태상시(太常寺), 광록시(光祿寺), 태복시(太僕寺), 홍려시(鴻臚寺), 상보사(尚寶司), 육과(六科), 중서과(中書科), 행인사(行人司), 흠천감(欽天監), 태사감(太史監), 태의원(太醫院), 상림원감(上林苑監), 병마지휘사(兵馬指揮司), 순천부(順天府), 무학(武學), 승녹사(僧錄司)/도녹사(道錄司), 교방사(教坊司), 환관(宦官), 여관(女官)
권75 지51 직관(職官) 4 남경종인부(南京宗人府), 이부(吏部), 호부(戶部), 예부(禮部), 병부(兵部), 형부(刑部), 공부(工部), 도찰원(都察院), 통정사사(通政使司), 대리시(大理寺), 첨사부(詹事府), 한림원(翰林院), 국자감(國子監), 태상시(太常寺), 광록시(光祿寺), 태복시(太僕寺), 홍려시(鴻臚寺), 상보사(尚寶司), 육과(六科), 행인사(行人司), 흠천감(欽天監), 오성병마사(五城兵馬司), 응천부(應天府)
왕부장사사(王府長史司), 포정사(布政司), 안찰사사(按察使司), 각도안찰사(各道按察司), 행태복시(行太僕寺), 원마사(苑馬寺), 도전운염사사(都轉運鹽使司), 염과제거사(鹽課提舉司), 시박제거사(市舶提舉司), 차마사(茶馬司), 부(府), 주(州), 현(縣), 유학(儒學), 순검사(巡檢司), 역(驛), 세과사(稅課司), 창고(倉庫), 직염잡조국(織染雜造局), 하박소(河泊所), 비험소(批驗所), 체운소(遞運所), 철야소(鐵冶所), 의학(醫學), 음양학(陰陽學), 승강사(僧綱司), 도기사(道紀司)
권76 지52 직관(職官) 5 공후백(公侯伯), 부마도위(駙馬都尉), 오군도독부(五軍都督府), 경영(京營), 경위(京衞), 금의위(錦衣衞), 남경수비(南京守備), 남경오군도독부(南京五軍都督府), 남경위(南京衞), 왕부호위(王府護衞), 총병관(總兵官), 유수사(留守司), 도사(都司), 각위(各衞), 각소(各所), 선위사(宣慰司), 선무사(宣撫司), 안무사(安撫司), 초토사(招討司), 장관사(長官司), 군민부(軍民府)
권77 지53 식화(食貨) 1 호구전제(戶口田制), 명토전(明土田), 둔전(屯田)
권78 지54 식화(食貨) 2 부역(賦役), 진미(振米), 진죽(振粥), 보재(報災)
권79 지55 식화(食貨) 3 조운(漕運), 창고(倉庫)
권80 지56 식화(食貨) 4 염법(鹽法), 차법(茶法)
권81 지57 식화(食貨) 5 전초(錢鈔) 갱야(坑冶), 상세(商稅), 시박(市舶), 마시(馬市)
권82 지58 식화(食貨) 6 채조(採造), 채목(採木), 소조(燒造)
권83 지59 하거(河渠) 1 황하(黃河) 상
권84 지60 하거(河渠) 2 황하(黃河) 하
권85 지61 하거(河渠) 3 운하(運河) 상
권86 지62 하거(河渠) 4 운하(運河) 하, 해운(海運)
권87 지63 하거(河渠) 5 회하(淮河), 가하(泇河), 위하(衛河), 장하(漳河), 심하(沁河), 호타하(滹沱河), 상건하(桑乾河), 교래하(膠萊河)
권88 지64 하거(河渠) 6 수리(水利)
권89 지65 병(兵) 1 경군삼대영(京軍三大營), 시위상직군(侍衛上直軍), 황성수위(皇城守衛), 경성순포(京城巡捕), 사위영(四衛營)
권90 지66 병(兵) 2 위소(衛所), 반군(班軍)
권91 지67 병(兵) 3 변방(邊防), 민장(民壯), 사병(士兵), 향병(鄉兵)
권92 지68 병(兵) 4 청리(清理), 군오(軍伍), 훈련(訓練), 상공(賞功), 화기(火器), 마정(馬政)
권93 지69 형법(刑法) 1
권94 지70 형법(刑法) 2
권95 지71 형법(刑法) 3
권96 지72 예문(藝文) 1 《경(經)》
(易), (書), (詩), (禮), 악(樂), 춘추(春秋), 효경(孝經), 제경(諸經), 사서(四書), 소학(小學)
권97 지73 예문(藝文) 2 《사(史)》
정사(正史), 잡사(雜史), 사초(史鈔), 고사(故事), 직관(職官), 의주(儀注), 형법(刑法), 전기(傳記), 지리(地理), 보첩(譜牒)
권98 지74 예문(藝文) 3 《자(子)》
유가(儒家), 잡가(雜家), 농가(農家), 소설(小說), 병서(兵書), 천문(天文), 역수(歷數), 오행(五行), 예술(藝術), 유서(類書), 도가(道家), 석가(釋家)
권99 지75 예문(藝文) 4 《집(集)》
별집(別集), 총집(總集), 문사(文史)

표(表)

[편집]
### 부제 목록 비고
권100 표1 제왕세표
(諸王世表)
1
태조 차자 ~ 태조 5자 후손
권101 표2 제왕세표
(諸王世表)
2
태조 6자 ~ 태조 15자 후손
권102 표3 제왕세표
(諸王世表)
3
태조 16자 ~ 태조 25자 후손
권103 표4 제왕세표
(諸王世表)
4
건문제 후손, 성조 후손, 인종 후손
권104 표5 제왕세표
(諸王世表)
5
영종 후손, 헌종 후손, 세종 후손, 목종 후손, 신종 후손, 장렬제 후손
권105 표6 공신세표
(功臣世表)
1
태조 홍무제 공신, 건문제 공신
권106 표7 공신세표
(功臣世表)
2
성조 영락제 공신
권103 표8 공신세표
(功臣世表)
3
인종 홍희제 이후 공신
권108 표9 외척은택후표
(外戚恩澤侯表)
권109 표10 재보년표
(宰輔年表)
1
홍무제 시기 승상, 영락제 ~ 정덕제 시기 내각대학사
권110 표11 재보년표
(宰輔年表)
2
가정제 ~ 숭정제 시기 내각대학사
권111 표12 칠경년표
(七卿年表)
1
홍무제 ~ 정덕제 시기 육부상서 및 도어사
권112 표13 칠경년표
(七卿年表)
2
가정제 ~ 숭정제 시기 육부상서 및 도어사

열전(列傳)

[편집]
열전
### 부제 목록 비고
권113 열전1 후비
(后妃)
1
태조효자고황후(太祖孝慈高皇后), 태조성목손귀비(太祖成穆孫貴妃), 태조이숙비(太祖李淑妃), 태조곽영비(太祖郭寧妃), 혜제마황후(惠帝馬皇后), 성조인효문황후(成祖仁孝文皇后), 성조소헌왕귀비(成祖昭獻王貴妃), 성조공헌권현비(成祖恭獻權賢妃), 인종성효소황후(仁宗誠孝昭皇后), 선종공양호황후(宣宗恭讓胡皇后), 선종효공장황후(宣宗孝恭章皇后), 선종선묘현비(宣宗宣廟賢妃), 선종곽빈(宣宗郭嬪), 영종효장예황후(英宗孝莊睿皇后), 영종효숙주태후(英宗孝肅周太后), 경제왕폐후(景帝汪廢后), 헌종오폐후(憲宗吳廢后), 헌종효정순황후(憲宗孝貞純皇后), 헌종효목기태후(憲宗孝穆紀太后), 헌종효혜소태후(憲宗孝惠邵太后), 헌종공숙만귀비(憲宗恭肅萬貴妃)
권114 열전2 후비
(后妃)
2
효종효강경황후(孝宗孝康敬皇后), 무종효정의황후(武宗孝靜毅皇后), 세종효결숙황후(世宗孝潔肅皇后), 세종장폐후(世宗張廢后), 세종효열방황후(世宗孝烈方皇后), 세종효각두태후(世宗孝恪杜太后), 목종효의장황후(穆宗孝懿莊皇后), 목종효안진황후(穆宗孝安陳皇后), 목종효정이태후(穆宗孝定李太后), 신종효단현황후(神宗孝端顯皇后), 신종효정왕태후(神宗孝靖王太后), 신종공각정귀비(神宗恭恪鄭貴妃), 광종효원정황후(孝元貞皇后), 광종효화왕태후(光宗孝和王太后), 광종효순유태후(光宗孝純劉太后), 광종이강비(光宗李康妃), 희종의안장황후(熹宗懿安張皇后), 희종장유비(熹宗張裕妃), 장렬제민황후(莊烈帝愍皇后), 장렬제공숙전귀비(莊烈帝恭淑田貴妃)
권115 열전3 흥종 효강황제(興宗 孝康皇帝), 효강황후 상씨(孝康皇后 常氏), 황태후 여씨(皇太后 呂氏)
예종 흥헌황제(睿宗 興獻皇帝), 자효헌황후 장씨(慈孝獻皇后 蔣氏)
권116 열전4 제왕
(諸王)
1
《태조 제자(太祖諸子) 1》
진민왕 상(秦愍王 樉), 진공왕 강(晉恭王 棡), 주정왕 숙(周定王 橚), 초소왕 정(楚昭王 楨), 제왕 부(齊王 榑), 담왕 재(潭王 梓), 조왕 기(趙王 杞), 노황왕 단(魯荒王 檀)
권117 열전5 제왕
(諸王)
2
《태조 제자(太祖諸子) 2》
촉헌왕 춘(蜀獻王 椿), 상헌왕 백(湘獻王 柏), 대간왕(代簡王 桂), 숙장왕 영(肅莊王 楧), 요간왕 식(遼簡王 植), 경정왕 전(慶靖王 㮵), 영헌왕 권(寧獻王 權)
권118 열전6 제왕
(諸王)
3
《태조 제자(太祖諸子) 3》
민장왕 편(岷莊王 楩), 곡왕 혜(谷王 橞), 한헌왕 송(韓憲王 松), 심간왕(瀋簡王 模), 안혜왕 영(安惠王 楹), 당정왕 경(唐定王 桱), 영정왕 동(郢靖王 棟), 이역왕 이(伊厲王 㰘), 황자 남(皇子 楠)
《흥종 제자(興宗諸子)》
우회왕 웅영(虞懷王 雄英), 오왕 윤통(吳王 允熥), 형왕 윤견(衡王 允熞), 서왕 윤희(徐王 允𤐤)
《혜제 제자(惠帝諸子)》 / 《성조 제자(成祖諸子)》
태자 문규(太子 文奎), 소자 문규(少子 文圭) / 한왕 고후(漢王 高煦), 조간왕 고수(趙簡王 高燧)
권119 열전7 제왕
(諸王)
4
《인종 제자(仁宗諸子)》
정정왕 첨점(鄭靖王 瞻颭), 월정왕 첨용(越靖王 瞻墉), 기헌왕 첨은(蘄獻王 瞻垠), 양헌왕 첨선(襄憲王 瞻墡), 형헌왕 담강(荊憲王 瞻堈), 회정왕 첨오(淮靖王 瞻墺), 등회왕 첨개(滕懷王 瞻塏), 양장왕 첨게(梁莊王 瞻垍), 위공왕 첨연(衛恭王 瞻埏)
《영종 제자(英宗諸子)》 / 《경제 제자(景帝諸子)》
덕장왕 견린(德莊王 見潾), 주견식(朱見湜), 허도왕 견순(許悼王 見淳), 수회왕 견주(秀懷王 見澍), 숭간왕 견택(崇簡王 見澤), 길간왕 견준(吉簡王 見浚), 흔목왕 견치(忻穆王 見治), 휘장왕 견패(徽莊王 見沛) / 회헌태자 견제(懷獻太子 見濟)
《헌종 제자(憲宗諸子)》 / 《효종 제자(孝宗諸子)》
도공태자 우극(悼恭太子 祐極), 기혜왕 우륜(岐惠王 祐棆), 익단왕 우빈(益端王 祐檳), 형공왕 우휘(衡恭王 祐楎), 옹정왕 우운(雍靖王 祐枟), 수정왕 우지(壽定王 祐榰), 여안왕 우팽(汝安王 祐梈), 경간왕 우순(涇簡王 祐橓), 영장왕 우추(榮莊王 祐樞), 신의왕 우해(申懿王 祐楷) / 울도왕 후위(蔚悼王 厚煒)
권120 열전8 제왕
(諸王)
5
《세종 제자(世宗諸子)》
애충태자 재기(哀沖太子 載基), 장경태자 제예(莊敬太子 載壡), 경공왕 재수(景恭王 載圳), 영상왕 재로(潁殤王 載𪉖), 척회왕 재려(戚懷王 載沴), 계애왕 재궤(薊哀王 載㙺), 균사왕 재숙(均思王 載夙)
《목종 제자(穆宗諸子)》
헌회태자 주익익(憲懷太子 翊釴), 정도왕 익령(靖悼王 翊鈴), 노간왕 익류(潞簡王 翊鏐)
《신종 제자(神宗諸子)》
분애왕 상서(邠哀王 常漵), 복공왕 상순(福恭王 常洵), 원회왕 상치(沅懷王 常治), 서왕 상호(瑞王 常浩), 혜왕 상윤(惠王 常潤), 계단왕 상영(桂端王 常瀛), 영사왕 상부(永思王 常溥)
《광종 제자(光宗諸子)》
간회왕 유학(簡懷王 由㰒), 제사왕 유즙(齊思王 由楫), 회혜왕 유모(懷惠王 由模), 상회왕 유허(湘懷王 由栩), 혜소왕 유전(惠昭王 由橏)
《희종 제자(熹宗諸子)》
회충태자 자연(懷沖太子 慈燃), 도회태자 자육(悼懷太子 慈焴), 헌회태자 자경(獻懷太子 慈炅)
《장렬제 제자(莊烈帝諸子)》
태자 자랑(太子 慈烺), 회은왕 자훤(懷隱王 慈烜), 정왕 자형(定王 慈炯), 영왕 자소(永王 慈炤), 도려왕 자환(悼靈王 慈煥), 도회왕(悼懷王)
권121 열전9 공주
(公主)
인조 2녀(仁祖二女), 태조 16녀(太祖十六女), 흥종 4녀(興宗四女), 성조 5녀(成祖五女), 인종 7녀(仁宗七女), 선종 2녀(宣宗二女), 영종 8녀(英宗八女), 경제 1녀(景帝一女), 헌종 5녀(憲宗五女), 효종 3녀(孝宗三女), 예종 2녀(睿宗二女), 세종 5녀(世宗五女), 목종 6녀(穆宗六女), 신종 10녀(神宗十女), 광종 9녀(光宗九女), 희종 2녀(熹宗二女), 장렬제 6녀(莊烈帝六女)
권122 열전10 곽자흥(郭子興), 한림아(韓林兒)
권123 열전11 진우량(陳友諒), 장사성(張士誠), 방국진(方國珍), 명옥진(明玉珍)
권124 열전12 왕확곽첩목아(王擴廓帖木兒), 진우정(陳友定), 패아지근 파잡랄와이밀(孛兒只斤 把匝剌瓦爾密)
권125 열전13 서달(徐達), 상우춘(常遇春)
권126 열전14 이문충(李文忠), 등유(鄧愈), 탕화(湯和), 목영(沐英)
권127 열전15 이선장(李善長), 왕광양(汪廣洋)
권128 열전16 유기(劉基), 송렴(宋濂), 엽침(葉琛), 장일(章溢)
권129 열전17 풍승(馮勝), 부우덕(傅友德), 요영충(廖永忠), 양경(楊璟), 호미(胡美)
권130 열전18 오량(吳良), 강무재(康茂才), 정덕흥(丁德興), 경병문(耿炳文), 곽영(郭英), 화운룡(華雲龍), 한정(韓政), 구성(仇成), 장룡(張龍), 오복(吳復), 호해(胡海), 장혁(張赫), 화고(華高), 장전(張銓), 하진(何眞)
권131 열전19 고시(顧時), 오정(吳楨), 설현(薛顯), 곽흥(郭興), 진덕(陳德), 왕지(王志), 매사조(梅思祖), 김조흥(金朝興), 당승종(唐勝宗), 육중형(陸仲亨), 비취(費聚), 육취(陸聚), 정우춘(鄭遇春), 황빈(黃彬), 엽승(葉昇)
권132 열전20 주양조(朱亮祖), 주덕흥(周德興), 왕필(王弼), 남옥(藍玉), 사성(謝成), 이신(李新)
권133 열전21 요영안(廖永安), 유통해(兪通海), 호대해(胡大海), 경재성(耿再成), 장덕승(張德勝), 조덕승(趙德勝), 상세걸(桑世傑), 모성(茅成), 호심(胡深), 손흥조(孫興祖), 조양신(曹良臣), 복영(濮英)
권134 열전22 하문휘(何文輝), 엽왕(葉旺), 마운(馬雲), 무대형(繆大亨), 채천(蔡遷), 왕명(王銘), 영정(寧正), 김흥왕(金興旺), 화무(花茂), 정옥(丁玉), 곽운(郭雲)
권135 열전23 진우(陳遇), 엽태(葉兌), 범상(范常), 송사안(宋思顔), 곽경상(郭景祥), 양원고(楊元杲), 완홍도(阮弘道), 공극인(孔克仁)
권136 열전24 도안(陶安), 첨동(詹同), 주승(朱升), 최량(崔亮), 도개(陶凱), 증로(曾魯), 임앙(任昻), 이원명(李原名), 악소봉(樂韶鳳)
권137 열전25 유삼오(劉三吾), 안연(安然), 오백종(吳伯宗), 오침(吳沉), 계언량(桂彦良), 송눌(宋訥), 조숙(趙俶), 이숙정(李叔正), 유숭(劉崧), 나복인(羅復仁), 손여경(孫汝敬)
권138 열전26 진수(陳修), 양사의(楊思義), 주정(周禎), 양정(楊靖), 단안인(單安仁), 설상(薛祥), 당탁(唐鐸), 개제(開濟)
권139 열전27 전당(錢唐), 한의가(韓宜可), 소기(蕭岐), 풍견(馮堅), 여태소(茹太素), 이사로(李仕魯), 엽백거(葉伯巨), 정사리(鄭士利), 주경심(周敬心), 왕박(王朴), 장형(張衡)
권140 열전28 위관(魏觀), 도후중(陶垕仲), 유사훤(劉仕貆), 왕종현(王宗顯), 여문수(呂文燧), 왕관(王觀), 도동(道同), 노희(盧熙), 청문승(靑文勝)
권141 열전29 제태(齊泰), 황자징(黃子澄), 방효유(方孝孺), 연자녕(練子寧), 모대방(茅大芳), 탁경(卓敬), 진적(陳迪), 경청(景淸), 연영(連楹), 호윤(胡閏), 왕도(王度)
권142 열전30 철현(鐵鉉), 폭소(暴昭), 진성선(陳性善), 장병(張昺), 사귀(謝貴), 팽이(彭二), 송충(宋忠), 마선(馬宣), 구능(瞿能), 장륜(張倫), 언백위(顔伯瑋), 왕성(王省), 요선(姚善), 진언회(陳彦回)
권143 열전31 왕간(王艮), 요승(廖昇), 주시수(周是修), 정본립(程本立), 황관(黃觀), 왕숙영(王叔英), 황월(黃鉞), 왕량(王良), 진사현(陳思賢), 정통(程通), 황희범(黃希范), 고외(高巍), 고현녕(高賢寧), 왕진(王璡), 주진(周縉), 우경선(牛景先)
권144 열전32 성용(盛庸), 평안(平安), 하복(何福), 고성(顧成)
권145 열전33 요광효(姚廣孝), 장옥(張玉), 주능(朱能), 구복(丘福), 담연(譚淵), 왕진(王眞), 진형(陳亨)
권146 열전34 장무(張武), 진규(陳珪), 맹선(孟善), 정형(鄭亨), 서충(徐忠), 곽량(郭亮), 조이(趙彝), 장신(張信), 서상(徐祥), 이준(李濬), 손암(孫巖), 진욱(陳旭), 진현(陳賢), 장흥(張興), 진지(陳志), 왕우(王友)
권147 열전35 해진(解縉), 황회(黃淮), 호광(胡廣), 김유자(金幼孜), 호엄(胡儼)
권148 열전36 양사기(楊士奇), 양영(楊榮), 양부(楊溥)
권149 열전37 건의(蹇義), 하원길(夏原吉)
권150 열전38 욱신(郁新), 조공(趙羾), 김충(金忠), 이경(李慶), 사규(師逵), 고박(古朴), 진수(陳壽), 유계호(劉季箎), 유진(劉辰), 양지(楊砥), 우겸(虞謙), 여승(呂升), 탕종(湯宗)
권151 열전39 여상(茹瑺), 엄진직(嚴震直), 장담(張紞), 왕둔(王鈍), 정사(鄭賜), 곽자(郭資), 여진(呂震), 이지강(李至剛), 방빈(方賓), 오중(吳中), 유관(劉觀)
권152 열전40 동륜(董倫), 의지(儀智), 추제(鄒濟), 주술(周述), 진제(陳濟), 왕영(王英), 전습례(錢習禮), 주서(周敍), 가잠(柯潛), 공공순(孔公恂)
권153 열전41 송례(宋禮), 진선(陳瑄), 주침(周忱)
권154 열전42 장보(張輔), 황복(黃福), 유준(劉儁), 여의(呂毅), 진흡(陳洽), 이빈(李彬), 류승(柳升), 양명(梁銘), 왕통(王通)
권155 열전43 송성(宋晟), 설록(薛祿), 유영(劉榮), 주영(朱榮), 비환(費瓛), 담광(譚廣), 진회(陳懷), 장귀(蔣貴), (任禮), (趙安), (趙輔), (劉聚)
권156 열전44 오윤성(吳允誠), 설빈(薛斌), 오성(吳成), 김충(金忠), 이영(李英), 모승(毛勝), 초례(焦禮), 모충(毛忠), 화용(和勇), 나병충(羅秉忠)
권157 열전45 김순(金純), 장본(張本), 곽돈(郭敦), 곽진(郭璡), 정진(鄭辰), 시차(柴車), 유중부(劉中敷), 장봉(張鳳), 주선(周瑄), 양정(楊鼎), 황호(黃鎬), 호공진(胡拱辰), 진준(陳俊), 임악(林鶚), 반영(潘榮), 하시정(夏時正)
권158 열전46 황종재(黃宗載), 고좌(顧佐), 단민(段民), 장창(章敞), 오눌(吳訥), 위기(魏驥), 노목(魯穆), 경구주(耿九疇), 헌예(軒輗), 황공소(黃孔昭)
권159 열전47 웅개(熊槪), 진일(陳鎰), 이의(李儀), 진태(陳泰), 이당(李棠), 가전(賈銓), 왕우(王宇), 최공(崔恭), 유자(劉孜), 이간(李侃), 원걸(原傑), 팽의(彭誼), 모봉(牟俸), 하훈(夏壎), 고명(高明), 양계종(楊繼宗)
권160 열전48 왕창(王彰), 위원(魏源), 김렴(金濂), 석박(石璞), 나통(羅通), 나기(羅綺), 장선(張瑄), 장붕(張鵬), 이유(李裕)
권161 열전49 주신(周新), 이장기(李昌祺), 진사계(陳士啓), 응이평(應履平), 임석(林碩), 황종(況鍾), 진본심(陳本深), 팽욱(彭勖), 하시(夏時), 황윤옥(黃潤玉), 양찬(楊瓚), 유실(劉實), 진선(陳選), 하인(夏寅), 진장(陳壯), 장병(張昺), 송단의(宋端儀)
권162 열전50 윤창륭(尹昌隆), 경통(耿通), 대륜(戴綸), 진조(陳祚), 유구(劉球), 진감(陳鑑), 종동(鍾同), 장륜(章綸), 요장(廖莊), 예경(倪敬), 양선(楊瑄)
권163 열전51 이시면(李時勉), 진경종(陳敬宗), 유현(劉鉉), 형양(邢讓), 임한(林瀚), 사탁(謝鐸), 노탁(魯鐸)
권164 열전52 추집(鄒緝), 익겸(弋謙), 황택(黃澤), 범제(范濟), 요양(聊讓), 좌정(左鼎), 조개(曹凱), 유위(劉煒), 단우(單宇), 장소(張昭), 고요(高瑤)
권165 열전53 도성(陶成), 진민(陳敏), 정선(丁瑄), 왕득인(王得仁), 엽정(葉禎), 오기(伍驥), 모길(毛吉), 임금(林錦), 곽서(郭緖), 강앙(姜昻)
권166 열전54 한관(韓觀), 산운(山雲), 소수(蕭授), 방영(方瑛), 이진(李震), 왕신(王信), 팽륜(彭倫), 구반(歐磐), 장우(張祐)
권167 열전55 조내(曹鼐), 광야(鄺埜), 왕좌(王佐), 손상(孫祥), 원빈(袁彬)
권168 열전56 진순(陳循), 왕문(王文), 강연(江淵), 허빈(許彬), 진문(陳文), 만안(萬安), 유후(劉珝), 유길(劉吉), 윤직(尹直)
권169 열전57 고곡(高穀), 호영(胡濙), 왕직(王直)
권170 열전58 우겸(于謙)
권171 열전59 왕기(王驥), 서유정(徐有貞), 양선(楊善), 왕월(王越)
권172 열전60 나형신(羅亨信), 후진(侯璡), 양녕(楊寧), 왕래(王來), 손원정(孫原貞), 주감(朱鑑), 양신민(楊信民), 장기(張驥), 마근(馬謹), 정신(程信), 백규(白圭), 장찬(張瓚), 공용(孔鏞), 등정찬(鄧廷瓚), 왕식(王軾), 유병(劉丙)
권173 열전61 양홍(楊洪), 석형(石亨), 곽등(郭登), 주겸(朱謙), 손당(孫鏜), 범광(范廣)
권174 열전62 사소(史昭), 무개(巫凱), 허귀(許貴), 주현(周賢), 구신(歐信), 왕새(王璽), 노감(魯鑑), 유녕(劉寧), 팽청(彭淸), 강한(姜漢), 안국(安國), 항웅(杭雄)
권175 열전63 위청(衞靑), 동흥(董興), 하홍(何洪), 유옥(劉玉), 구월(仇鉞), 신영(神英), 조웅(曹雄), 풍정(馮禎), 장준(張俊), 양예(楊銳)
권176 열전64 이현(李賢), 여원(呂原), 악정(岳正), 팽시(彭時), 상로(商輅), 유정지(劉定之)
권177 열전65 왕고(王翱), 연부(年富), 왕횡(王竑), 이병(李秉), 요기(姚夔), 왕복(王復), 임총(林聰), 엽성(葉盛)
권178 열전66 항충(項忠), 한옹(韓雍), 여자준(余子俊), 주영(朱英), 진굉(秦紘)
권179 열전67 나륜(羅倫), 장무(章懋), 황충소(黃仲昭), 장창(莊昶), 추지(鄒智), 서분(舒芬)
권180 열전68 장녕(張寧), 왕휘(王徽), 모홍(毛弘), 구홍(丘弘), 이삼(李森), 위원(魏元), 강진(强珍), 왕서(王瑞), 이준(李俊), 왕규(汪奎), 탕내(湯鼐), 강관(姜綰), 강홍(姜洪), 조린(曹璘), 팽정(彭程), 방반(龐泮), 여헌(呂獻), 엽신(葉紳), 호헌(胡獻), 장홍지(張弘至), 굴신(屈伸), 왕헌신(王獻臣)
권181 열전69 서부(徐溥), 구준(丘濬), 유건(劉健), 사천(謝遷), 이동양(李東陽), 왕오(王鏊), 유충(劉忠)
권182 열전70 왕서(王恕), 마문승(馬文升), 유대하(劉大夏)
권183 열전71 하교신(何喬新), 팽소(彭韶), 주경(周經), 경유(耿裕), 예악(倪岳), 민규(閔珪), 대산(戴珊)
권184 열전72 주홍모(周洪謨), 양수진(楊守陳), 장원정(張元禎), 부한(傅瀚), 장승(張昇), 오관(吳寬), 부규(傅珪), 유춘(劉春), 오엄(吳儼), 고청(顧淸), 유서(劉瑞)
권185 열전73 이민(李敏), 가준(賈俊), 황불(黃紱), 장열(張悅), 사종(似鍾), 증감(曾鑑), 양경(梁璟), 서각(徐恪), 이개(李介), 황가(黃珂), 왕홍유(王鴻儒), 총란(叢蘭), 오세충(吳世忠)
권186 열전74 한문(韓文), 장부화(張敷華), 양수수(楊守隨), 허진(許進), 옹태(雍泰), 진수(陳壽), 번형(樊瑩), 웅수(熊繡), 반번(潘蕃), 호부(胡富), 장태(張泰), 장내(張鼐), 왕경(王璟), 주흠(朱欽)
권187 열전75 하감(何鑑), 마중석(馬中錫), 육완(陸完), 홍종(洪鍾), 진금(陳金), 유간(兪諫), 주남(周南), 마호(馬昊)
권188 열전76 유천(劉蒨), 여충(呂翀), 조우(趙佑), 대선(戴銑), 육곤(陸崑), 장흠(蔣欽), 주새(周璽), 탕예경(湯禮敬), 허천석(許天錫), 서문부(徐文溥), 장사륭(張士隆), 장문명(張文明), 범로(范輅), 장흠(張欽), 주광(周廣), 석천주(石天柱)
권189 열전77 이문상(李文祥), 손반(孫磐), 호관(胡爟), 나교(羅僑), 엽쇠(葉釗), 대관(戴冠), 황공(黃鞏), 육진(陸震), 하양승(夏良勝), 하준(何遵)
권190 열전78 양정화(楊廷和), 양저(梁儲), 장면(蔣冕), 모기(毛紀), 석구보(石九珤)
권191 열전79 모징(毛澄), 왕준(汪俊), 오일붕(吳一鵬), 주희주(朱希周), 하맹춘(何孟春), 풍희(豊熙), 서문화(徐文華), 설혜(薛蕙)
권192 열전80 양신(楊愼), 왕사(王思), 장충(張翀), 유제(劉濟), 안반(安磐), 장한경(張漢卿), 장원(張原), 모옥(毛玉), 왕시가(王時柯), 정본공(鄭本公), 장일도(張曰韜), 양회(楊淮), 장찬(張澯), 곽남(郭楠)
권193 열전81 비굉(費宏), 적란(翟鑾), 이시(李時), 고정신(顧鼎臣), 엄눌(嚴訥), 이춘방(李春芳), 진이근(陳以勤), 조정길(趙貞吉), 고의(高儀)
권194 열전82 교우(喬宇), 손교(孫交), 임준(林俊), 김헌민(金獻民), 진금(秦金), 조황(趙璜), 추문성(鄒文盛), 양재(梁材), 유린(劉麟), 장요(蔣瑤), 왕정상(王廷相)
권195 열전83 왕수인(王守仁)
권196 열전84 장총(張璁), 계악(桂萼), 방헌부(方獻夫), 하신(夏言)
권197 열전85 석서(席書), 곽도(霍韜), 웅협(熊浹), 황종명(黃宗明), 황관(黃綰)
권198 열전86 양일청(楊一淸), 왕경(王瓊), 팽택(彭澤), 모백온(毛伯溫), 옹만달(翁萬達)
권199 열전87 이월(李鉞), 왕헌(王憲), 호세녕(胡世寧), 이승훈(李承勛), 왕이기(王以旂), 범총(范鏓), 왕방서(王邦瑞), 정효(鄭曉)
권200 열전88 요막(姚鏌), 장정(張嵿), 오문정(伍文定), 채천우(蔡天祐), 첨영(詹榮), 유천화(劉天和), 양수례(楊守禮), 장악(張岳), 곽종고(郭宗皐), 조시춘(趙時春)
권201 열전89 도염(陶琰), 왕진(王縝), 이충사(李充嗣), 오정거(吳廷擧), 방양영(方良永), 왕광(王爌), 왕월(王軏), 서문(徐問), 장방기(張邦奇), 한방기(韓邦奇), 주금(周金), 오악(吳嶽)
권202 열전90 요기(廖紀), 왕시중(王時中), 주기옹(周期雍), 당룡(唐龍), 왕고(王杲), 주용(周用), 문연(聞淵), 유인(劉訒), 손응규(孫應奎), 섭표(聶豹), 이묵(李默), 주연(周延), 가응춘(賈應春), 장영명(張永明), 호송(胡松), 조병연(趙炳然)
권203 열전91 정악(鄭岳), 유옥(劉玉), 왕원석(汪元錫), 구천서(寇天敍), 당주(唐冑), 반진(潘珍), 이중(李中), 구양탁(歐陽鐸), 도해(陶諧), 반훈(潘塤), 여경(呂經), 구양중(歐陽重), 주상(朱裳), 진찰(陳察), 손무(孫懋), 왕의(王儀), 증균(曾鈞)
권204 열전92 진구주(陳九疇), 적붕(翟鵬), 손계로(孫繼魯), 증선(曾銑), 정여기(丁汝夔), 양수겸(楊守謙), 상대절(商大節), 왕여(王忬), 양선(楊選)
권205 열전93 주환(朱紈), 장경(張經), 호종헌(胡宗憲), 조방보(曹邦輔), 이수(李遂), 당순지(唐順之)
권206 열전94 마록(馬錄), 정계충(程啓充), 장규(張逵), 정일붕(鄭一鵬), 당추(唐樞), 두란(杜鸞), 엽응총(葉應驄), 해일귀(解一貴), 육찬(陸粲), 소경방(邵經邦), 유세양(劉世揚), 위양필(魏良弼)
권207 열전95 등계증(鄧繼曾), 주제(朱淛), 양언(楊言), 유안(劉安), 설간(薛侃), 양명(楊名), 곽홍화(郭弘化), 유세룡(劉世龍), 장선(張選), 포절(包節), 사정천(謝廷蒨), 왕여령(王與齡), 양사충(楊思忠)
권208 열전96 장근(張芹), 왕응진(汪應軫), 소명봉(蕭鳴鳳), 제지란(齊之鸞), 원종유(袁宗儒), 허상경(許相卿), 고제(顧濟), 장교(章僑), 여산(余珊), 위상신(韋商臣), 여관(黎貫), 팽여실(彭汝實), 정자벽(鄭自璧), 척현(戚賢), 유회(劉繪), 저님(錢薇), 홍훤(洪垣), 주사겸(周思兼), 안경(顔鯨)
권209 열전97 양최(楊最), 풍은(馮恩), 양작(楊爵), 주이(周怡), 유괴(劉魁), 심속(沈束), 심련(沈鍊), 양계성(楊繼盛), 양윤승(楊允繩)
권210 열전98 상교(桑喬), 사유(謝瑜), 하유백(何維柏), 서학시(徐學詩), 여여진(厲汝進), 왕종무(王宗茂), 주면(周冕), 조금(趙錦), 오시래(吳時來), 장충(張翀), 동전책(董傳策), 추응룡(鄒應龍), 임윤(林潤)
권211 열전99 마영(馬永), 양진(梁震), 왕효(王效), 주상문(周尙文), 마방(馬芳), 하경(何卿), 심희의(沈希儀), 석방헌(石邦憲)
권212 열전100 유대유(兪大猷), 척계광(戚繼光), 유현(劉顯), 이석(李錫), 장원훈(張元勳)
권213 열전101 서계(徐階), 고공(高拱), 장거정(張居正)
권214 열전102 양박(楊博), 마삼(馬森), 유체건(劉體乾), 왕정(王廷), 갈수례(葛守禮), 근학안(靳學顔)
권215 열전103 왕치(王治), 구양일경(歐陽一敬), 주홍조(周弘祖), 첨앙비(詹仰庇), 낙문례(駱問禮), 정이순(鄭履淳), 진오덕(陳吾德), 왕문휘(汪文輝), 유분용(劉奮庸)
권216 열전104 오산(吳山), 육수성(陸樹聲), 구경순(瞿景淳), 전일준(田一儁), 황봉상(黃鳳翔), 여계등(余繼登), 풍기(馮琦), 왕도(王圖), 옹정춘(翁正春), 유응추(劉應秋), 당문헌(唐文獻), 이등방(李騰芳), 채의중(蔡毅中), 공내(公鼐), 나유의(羅喩義), 요희맹(姚希孟), 허사유(許士柔), 고석주(顧錫疇)
권217 열전105 왕가병(王家屛), 진우폐(陳于陛), 심리(沈鯉), 우신행(于愼行), 이정기(李廷機), 오도남(吳道南)
권218 열전106 신시행(申時行), 왕석작(王錫爵), 심일관(沈一貫), 방종철(方從哲), 심각(沈㴶)
권219 열전107 장사유(張四維), 마자강(馬自强), 허국(許國), 조지고(趙志皐), 장위(張位), 주갱(朱賡)
권220 열전108 만사화(萬士和), 왕지고(王之誥), 오백붕(吳百朋), 유응절(劉應節), 왕린(王遴), 필장(畢鏘), 서화(舒化), 이세달(李世達), 증동형(曾同亨), 신자수(辛自修), 온순(溫純), 조세경(趙世卿), 이여화(李汝華)
권221 열전109 원홍유(袁洪愈), 왕정첨(王廷瞻), 곽응빙(郭應聘), 경정향(耿定向), 왕초(王樵), 위시량(魏時亮), 학걸(郝杰), 조참로(趙參魯), 장맹남(張孟男), 이정(李禎), 정빈(丁賓)
권222 열전110 담륜(譚綸), 왕숭고(王崇古), 방봉시(方逢時), 오태(吳兌), 정락(鄭洛), 장학안(張學顔), 장가윤(張佳胤), 은정무(殷正茂), 능운익(凌雲翼)
권223 열전111 성응기(盛應期), 주형(朱衡), 반계순(潘季馴), 만공(萬恭), 오계방(吳桂芳), 왕종목(王宗沐), 유동성(劉東星), 서정명(徐貞明)
권224 열전112 엄청(嚴淸), 송훈(宋纁), 육광조(陸光祖), 손롱(孫鑨), 진유년(陳有年), 손비양(孫丕揚), 채국진(蔡國珍), 양시교(楊時喬)
권225 열전113 장한(張瀚), 왕국광(王國光), 양몽룡(梁夢龍), 양외(楊巍), 이대(李戴), 조환(趙煥), 정계지(鄭繼之)
권226 열전114 해서(海瑞), 구순(丘橓), 여곤(呂坤), 곽정역(郭正域)
권227 열전115 방상붕(龐尙鵬), 송의망(宋儀望), 장악(張岳), 이재(李材), 육수덕(陸樹德), 소름(蕭廩), 가삼근(賈三近), 이이(李頤), 주홍모(朱鴻謨), 소언(蕭彦), 손유성(孫維城), 사걸(謝杰), 곽유현(郭惟賢), 만상춘(萬象春), 종화민(鍾化民), 오달가(吳達可)
권228 열전116 위학증(魏學曾), 이화룡(李化龍)
권229 열전117 유대(劉臺), 부응정(傅應禎), 왕용급(王用汲), 오중행(吳中行), 조용현(趙用賢), 애목(艾穆), 심사효(沈思孝)
권230 열전118 채시정(蔡時鼎), 만국흠(萬國欽), 요신(饒伸), 탕현조(湯顯祖), 녹중립(逯中立), 양순(楊恂), 강사창(姜士昌), 마맹정(馬孟禎), 왕약림(汪若霖)
권231 열전119 고헌성(顧憲成), 고윤성(顧允成), 전일본(錢一本), 우공겸(于孔兼), 사맹린(史孟麟), 설부교(薛敷敎), 안희범(安希范), 유원진(劉元珍), 엽무재(葉茂才)
권232 열전120 위윤정(魏允貞), 왕국(王國), 여무형(余懋衡), 이삼재(李三才)
권233 열전121 강응린(姜應麟), 진등운(陳登雲), 나대굉(羅大紘), 이헌가(李獻可), 맹양호(孟養浩), 주유경(朱維京), 왕여견(王如堅), 왕학증(王學曾), 장정관(張貞觀), 번옥형(樊玉衡), 사정찬(謝廷讚), 양천민(楊天民), 하선(何選)
권234 열전122 노홍춘(盧洪春), 이무회(李懋檜), 이기(李沂), 낙우인(雒于仁), 마경륜(馬經綸), 유강(劉綱), 대사형(戴士衡), 조학정(曹學程), 옹헌상(翁憲祥), 서대상(徐大相)
권235 열전123 왕여훈(王汝訓), 여무학(余懋學), 장양몽(張養蒙), 맹일맥(孟一脈), 하사진(何士晉), 왕덕완(王德完), 장윤의(蔣允儀), 추유련(鄒維璉)
권236 열전124 이식(李植), 강동지(江東之), 탕조경(湯兆京), 김사형(金士衡), 왕원한(王元翰), 손진기(孫振基), 정원천(丁元薦), 이박(李朴), 하가우(夏嘉遇)
권237 열전125 부호례(傅好禮), 강지례(姜志禮), 포견첩(包見捷), 전대익(田大益), 풍응경(馮應京), 오종요(吳宗堯), 오보수(吳寶秀), 화옥(華鈺)
권238 열전126 이성량(李成梁), 마귀(麻貴)
권239 열전127 장신(張臣), 동일원(董一元), 두동(杜桐), 소여훈(蕭如薰), 달운(達雲), 관병충(官秉忠), 시국주(柴國柱), 이회신(李懷信)
권240 열전128 섭향고(葉向高), 유일경(劉一燝), 한광(韓爌), 주국조(朱國祚), 하종언(何宗彦), 손여유(孫如游)
권241 열전129 주가모(周嘉謨), 장문달(張問達), 왕응교(汪應蛟), 왕기(王紀), 손위(孫瑋), 종우정(鍾羽正), 진도형(陳道亨)
권242 열전130 진방첨(陳邦瞻), 필무강(畢懋康), 소근고(蕭近高), 백유(白瑜), 정소(程紹), 적봉충(翟鳳翀), 홍문형(洪文衡), 진백우(陳伯友), 동응거(董應擧), 임재(林材), 주오필(朱吾弼), 장광전(張光前)
권243 열전131 조남성(趙南星), 추원표(鄒元標), 손신행(孫愼行), 고반룡(高攀龍), 풍종오(馮從吾)
권244 열전132 양련(楊漣), 좌광두(左光斗), 위대중(魏大中), 주조서(周朝瑞), 원화중(袁化中), 고대장(顧大章), 왕지채(王之寀)
권245 열전133 주기원(周起元), 무창기(繆昌期), 주순창(周順昌), 주종건(周宗建), 황존소(黃尊素), 이응승(李應昇), 만경(萬燝)
권246 열전134 만조천(滿朝薦), 강병겸(江秉謙), 후진양(侯震暘), 왕윤성(王允成)
권247 열전135 유정(劉綎), 이응상(李應祥), 진린(陳璘), 등자룡(鄧子龍), 마공영(馬孔英)
권248 열전136 매지환(梅之煥), 유책(劉策), 이약성(李若星), 경여기(耿如杞), 안계조(顔繼祖), 이계정(李繼貞), 방진유(方震孺), 서종치(徐從治)
권249 열전137 주섭원(朱燮元), 이운(李橒), 왕삼선(王三善), 채복일(蔡復一)
권250 열전138 손승종(孫承宗)
권251 열전139 이표(李標), 유홍훈(劉鴻訓), 전용석(錢龍錫), 성기명(成基命), 하여총(何如寵), 서광계(徐光啓), 문진맹(文震孟), 장덕경(蔣德璟), 방악공(方岳貢)
권252 열전140 양사창(楊嗣昌), 오신(吳甡)
권253 열전141 왕응웅(王應熊), 장지발(張至發), 설국관(薛國觀), 정국상(程國祥), 진연(陳演), 위조덕(魏藻德)
권254 열전142 교윤승(喬允升), 조우판(曹于汴), 손거상(孫居相), 조광(曹珖), 진우정(陳于庭), 정삼준(鄭三俊), 이일선(李日宣), 장위(張瑋)
권255 열전143 유종주(劉宗周), 황도주(黃道周)
권256 열전144 최경영(崔景榮), 황극찬(黃克纘), 필자엄(畢自嚴), 이장경(李長庚), 유지봉(劉之鳳)
권257 열전145 장학명(張鶴鳴), 동한유(董漢儒), 조언(趙彦), 왕흡(王洽), 양정동(梁廷棟), 웅명우(熊明遇), 장봉익(張鳳翼), 진신갑(陳新甲), 풍원표(馮元飇)
권258 열전146 허예경(許譽卿), 화윤성(華允誠), 위정윤(魏呈潤), 모우건(毛羽健), 오집어(吳執御), 장정신(章正宸), 황소걸(黃紹杰), 부조우(傅朝佑), 강채(姜埰), 웅개원(熊開元), 첨이선(詹爾選), 탕개원(湯開遠), 성용(成勇), 진용정(陳龍正)
권259 열전147 양호(楊鎬), 원응태(袁應泰), 웅정필(熊廷弼), 원숭환(袁崇煥), 조광변(趙光抃)
권260 열전148 양학(楊鶴), 진기유(陳奇瑜), 웅문찬(熊文燦), 연국사(練國事), 정계예(丁啓睿), 정숭검(鄭崇儉), 소첩춘(邵捷春), 여응계(余應桂), 고두추(高斗樞), 장임학(張任學)
권261 열전149 노상승(盧象昇), 유지륜(劉之綸), 구민앙(丘民仰)
권262 열전150 부종룡(傅宗龍), 왕교년(汪喬年), 양문악(楊文岳), 손전정(孫傳庭)
권263 열전151 송일학(宋一鶴), 풍사공(馮師孔), 임일서(林日瑞), 채무덕(蔡懋德), 위경원(衛景瑗), 주지풍(朱之馮), 진사기(陳士奇), 용문광(龍文光), 유가인(劉佳引), 유지발(劉之勃)
권264 열전152 하봉성(賀逢聖), 남거익(南居益), 주사박(周士樸), 여유기(呂維祺), 왕가정(王家禎), 초원부(焦源溥), 이몽진(李夢辰), 송사양(宋師襄), 마희(麻僖), 왕도순(王道純), 전시진(田時震)
권265 열전153 범경문(范景文), 예원로(倪元璐), 이방화(李邦華), 왕가언(王家彦), 맹조상(孟兆祥), 시방요(施邦曜), 능의거(凌義渠)
권266 열전154 마세기(馬世奇), 오인징(吳麟徵), 주봉상(周鳳翔), 유이순(劉理順), 왕위(汪偉), 오감래(吳甘來), 왕장(王章), 진양모(陳良謨), 진순덕(陳純德), 신가윤(申佳胤), 성덕(成德), 허직(許直), 김현(金鉉)
권267 열전155 마종빙(馬從聘), 장백경(張伯鯨), 소앰(宋玫), 범숙태(范淑泰), 고명형(高名衡), 서견(徐汧), 녹선계(鹿善繼)
권268 열전156 조문소(曹文詔), 주우길(周遇吉), 황득공(黃得功)
권269 열전157 애만년(艾萬年), 이비(李卑), 탕구주(湯九州), 진우왕(陳于王), 후양주(侯良柱), 장령(張令), 맹여호(猛如虎), 호대위(虎大威), 손응원(孫應元), 강명무(姜名武), 우세위(尤世威), 후세록(侯世祿), 유국능(劉國能)
권270 열전158 마세룡(馬世龍), 하호신(賀虎臣), 심유용(沈有容), 장가대(張可大), 노흠(魯欽), 진양옥(秦良玉), 용재전(龍在田)
권271 열전159 하세현(賀世賢), 동중규(童仲揆), 나일관(羅一貫), 만계(滿桂), 조솔교(趙率敎), 관유현(官惟賢), 하가강(何可綱), 황룡(黃龍), 김일관(金日觀)
권272 열전160 김국봉(金國鳳), 조변교(曹變蛟), 유조기(劉肇基)
권273 열전161 좌양옥(左良玉), 고걸(高傑), 조관(祖寬)
권274 열전162 사가법(史可法), 고홍도(高弘圖), 강일광(姜曰廣)
권275 열전163 장신언(張愼言), 서석기(徐石麒), 해학룡(解學龍), 고탁(高倬), 좌무제(左懋第), 기표가(祁彪佳)
권276 열전164 주대전(朱大典), 장국유(張國維), 장긍당(張肯堂), 증앵(曾櫻), 주계조(朱繼祚), 여황(余煌), 왕서전(王瑞栴), 노진비(路振飛), 하해(何楷), 웅여림(熊汝霖), 전숙락(錢肅樂), 심신전(沈宸荃)
권277 열전165 원계함(袁繼咸), 김성(金聲), 구조덕(丘祖德), 심유룡(沈猶龍), 진자룡(陳子龍), 후동증(侯峒曾), 양문총(楊文驄), 진잠부(陳潛夫), 심정양(沈廷揚), 임여저(林汝翥), 정위홍(鄭爲虹)
권278 열전166 양정린(楊廷麟), 만원길(萬元吉), 곽유경(郭維經), 첨조항(詹兆恒), 진태래(陳泰來), 왕양정(王養正), 증형응(曾亨應), 게중희(揭重熙), 진자장(陳子壯), 장가옥(張家玉), 진방언(陳邦彦), 소관생(蘇觀生)
권279 열전167 여대기(呂大器), 안문지(文安之), 번일형(樊一蘅), 오병(吳炳), 왕석곤(王錫袞), 도윤석(堵胤錫), 엄기항(嚴起恒), 주천린(朱天麟), 양외지(楊畏知), 오정육(吳貞毓)
권280 열전168 하등교(何騰蛟), 구식사(瞿式耜)
권281 열전169 순리
(循吏)
진관(陳灌), 방극근(方克勤), 오리(吳履), 요흠(廖欽), 주주(周舟), 고두남(高鬥南), 언성(彦誠), 언민(彦民), 사성조(史誠祖), 오상(吳祥), 사자양(謝子襄), 황신중(黃信中), 하승(夏升), 패병이(貝秉彝), 만관(萬觀), 엽종인(葉宗人), 왕원(王源), 적부복(翟溥福), 이신규(李信圭), 손호(孫浩), 장종련(張宗璉), 이기(李驥), 이상(李湘), 조예(趙豫), 조등(趙登), 증천(曾泉), 범충(范衷), 주제(周濟), 범희정(範希正), 유강(劉綱), 단견(段堅), 진강(陳鋼), 정적(丁積), 전탁(田鐸), 당간(唐侃), 탕소은(湯紹恩), 서구사(徐九思), 방숭(龐嵩), 장순(張淳), 진유학(陳幼學)
권282 열전170 유림
(儒林)
1
범조간(範祖幹), 엽의(葉儀), 사응방(謝應芳), 왕극관(汪克寬), 양인(梁寅), 조방(趙汸), 진모(陳謨), 설선(薛瑄), 호거인(胡居仁), 채청(蔡淸), 나흠순(羅欽順), 조단(曹端), 오여필(吳與弼), 진진성(陳眞晟), 여남(呂柟), 소보(邵寶), 왕문(王問), 양렴(楊廉), 유관(劉觀), 마리(馬理), 위교(魏校), 왕응전(王應電), 왕경신(王敬臣), 주영(周瑛), 반부(潘府), 최선(崔銑), 하당(何瑭), 당백원(唐伯元), 황순요(黃淳耀)
권283 열전171 유림
(儒林)
2
진헌장(陳獻章), 이승기(李承箕), 장후(張詡), 누경(婁諒), 하상박(夏尙樸), 하흠(賀欽), 진무열(陳茂烈), 담약수(湛若水), 장신(蔣信), 추수익(鄒守益), 전덕홍(錢德洪), 서애(徐愛), 왕기(王畿), 왕간(王艮), 구양덕(歐陽德), 족인유(族人瑜), 나홍선(羅洪先), 정문덕(程文德), 오제(吳悌), 하정인(何廷仁), 왕시괴(王時槐), 허부원(許孚遠), 우시희(尤時熙), 장후각(張後覺), 등이찬(鄧以贊), 장원변(張元忭), 맹화리(孟化鯉), 맹추(孟秋), 내지덕(來知德), 등원석(鄧元錫)
권284 열전172 유림
(儒林)
3
공희학(孔希學), 공언승(孔彦繩), 안희혜(顔希惠), 증질수(曾質粹), 공문례(孔聞禮), 맹희문(孟希文), 중어폐(仲於陛), 주면(周冕), 정접도(程接道), 정극인(程克仁), 장문운(張文運), 소계조(邵繼祖), 주천(朱梴), 주서(朱墅)
권285 열전173 문원
(文苑)
1
양유정(楊維楨), 호한(胡翰), 소백형(蘇伯衡), 왕면(王冕), 대량(戴良), 위소(危素), 장이녕(張以寧), 조훈(趙壎), 서일기(徐一夔), 조총겸(趙摠謙), 도종의(陶宗儀), 원개(袁凱), 고계(高啓), 왕행(王行), 손분(孫蕡), 왕몽(王蒙)
권286 열전174 문원
(文苑)
2
임홍(林鴻), 왕불(王紱), 심도(沈度), 섭대년(聶大年), 유부(劉溥), 장필(張弼), 장태(張泰), 정민정(程敏政), 나기(羅玘), 저권(儲巏), 이몽양(李夢陽), 하경명(何景明), 서정경(徐禎卿), 변공(邊貢), 고린(顧璘), 정선부(鄭善夫), 육심(陸深), 왕정진(王廷陳), 이렴(李濂)
권287 열전175 문원
(文苑)
3
문징명(文徵明), 황좌(黃佐), 가유기(柯維騏), 왕신중(王愼中), 고숙사(高叔嗣), 진속(陳束), 전여성(田汝成), 황보효(皇甫涍), 모곤(茅坤), 사진(謝榛), 이반룡(李攀龍), 왕세정(王世貞), 귀유광(歸有光)
권288 열전176 문원
(文苑)
4
이유정(李維楨), 서위(徐渭), 도륭(屠隆), 왕치등(王穉登), 구구사(瞿九思), 당시승(唐時升), 초횡(焦竑), 황휘(黃輝), 진인석(陳仁錫), 동기창(董其昌), 원굉도(袁宏道), 왕유검(王惟儉), 조학전(曹學佺), 왕지견(王志堅), 애남영(艾南英), 장부(張溥)
권289 열전177 충의
(忠義)
1
화운(花雲), 왕개(王愷), 손염(孫炎), 모로(牟魯), 왕강(王綱), 왕의(王禕), 웅정(熊鼎), 역소종(易紹宗), 금팽(琴彭), 황보빈(皇甫斌), 장영(張瑛), 왕정(王禎), 만침(萬琛), 주헌(周憲), 양충(楊忠), 오경(吳景), 곽은(霍恩), 손수(孫燧), 허규(許逵), 황굉(黃宏), 송이방(宋以方)
권290 열전178 충의
(忠義)
2
왕면(王冕), 진문시(陳聞詩), 왕부(王鈇), 전순(錢錞), 주부(朱裒), 손당(孫鏜), 두괴(杜槐), 황천(黃釧), 왕덕(王德), 왕일중(汪一中), 소몽양(蘇夢陽), 장진덕(張振德), 동진륜(董盡倫), 공만록(龔萬祿), 관양상(管良相), 서조강(徐朝綱), 희문윤(姬文胤), 주만년(朱萬年), 장요(張瑤), 하천구(何天衢)
권291 열전179 충의
(忠義)
3
반종안(潘宗顔), 장전(張銓), 하정괴(何廷魁), 고방좌(高邦佐), 최유수(崔儒秀), 정국창(鄭國昌), 당환순(黨還醇), 이헌명(李獻明), 장춘(張春), 염생두(閻生斗), 왕조곤(王肇坤), 손사미(孫士美), 교약문(喬若雯), 장병문(張秉文), 언윤소(彦胤紹), 길공가(吉孔嘉), 형국새(刑國璽), 장진수(張振秀), 등번석(鄧藩錫), 장혼방(張焜芳)
권292 열전180 충의
(忠義)
4
장윤등(張允登), 장광규(張光奎), 이중정(李中正), 방국유(方國儒), 하승광(何承光), 방유(龐瑜), 윤몽오(尹夢鰲), 노겸(盧謙), 공원상(龔元祥), 왕신(王信), 사기언(史記言), 양지인(梁誌仁), 왕국훈(王國訓), 여홍업(黎弘業), 장소등(張紹登), 왕도(王燾), 장가징(蔣佳徵), 서상경(徐尙卿), 완지전(阮之鈿), 학경춘(郝景春), 장극검(張克儉), 서세순(徐世淳)
권293 열전181 충의
(忠義)
5
무대열(武大烈), 전조징(錢祚徵), 성이항(盛以恒), 안일유(顔日愉), 반홍(潘弘), 진예포(陳豫抱), 유진지(劉振之), 이승운(李乘雲), 관영걸(關永傑), 장유세(張維世), 왕세수(王世琇), 허영희(許永禧), 이정좌(李貞佐), 노세임(魯世任), 유인(劉禋), 하섭(何燮), 조흥기(趙興基)
권294 열전182 충의
(忠義)
6
하통춘(夏統春), 진미(陳美), 심길신(諶吉臣), 노학고(盧學古), 진만책(陳萬策), 허문기(許文岐), 곽이중(郭以重), 최문영(崔文榮), 서학안(徐學顔), 풍운로(馮雲路), 채도헌(蔡道憲), 장붕익(張鵬翼), 유희조(劉熙祚), 왕손란(王孫蘭), 정양주(程良籌), 황세청(黃世淸), 양훤(楊暄), 당시명(唐時明), 단복흥(段復興), 간인서(簡仁瑞), 사오교(司五敎), 도임(都任), 축만령(祝萬齡), 진빈(陳賓), 왕징준(王徵俊), 정태운(丁泰運)
권295 열전183 충의
(忠義)
7
하복(何復), 장나준(張羅俊), 김육동(金毓峒), 탕문경(湯文瓊), 허염(許琰), 왕교동(王喬棟), 장계맹(張繼孟), 유사두(劉士鬥), 왕여정(王勵精), 윤신(尹伸), 고기훈(高其勛), 장요(張耀), 미수도(米壽圖), 경정록(耿廷籙), 석상진(席上珍), 서도흥(徐道興), 유정표(劉廷標)
권296 열전184 효의
(孝義)
1
정렴(鄭濂), 서윤양(徐允讓), 전영(錢瑛), 요비(姚比), 구탁(丘鐸), 최민(崔敏), 주완(周琬), 오홍(伍洪), 주후(朱煦), 유근(劉謹), 이덕성(李德成), 심덕사(沈德四), 사정주(謝定住), 권근(權謹), 조신(趙紳), 국상(麴祥)
권297 열전185 효의
(孝義)
2
왕준(王俊), 석내(石鼐), 사오상(史五常), 주오(周敖), 정영(鄭韺), 부즙(傅檝), 양성장(楊成章), 사용(謝用), 하경(何競), 왕원(王原), 황새(黃璽), 귀월(歸鉞), 하린(何麟), 손청(孫淸), 유헌(劉憲), 용사언(容師偃), 유자(兪孜), 최감(崔鑒), 당엄(唐儼), 구서(丘緖), 장균(張鈞), 왕재복(王在復), 하자효(夏子孝), 아기(阿寄), 조중화(趙重華), 왕세명(王世名), 이문영(李文詠), 공금(孔金), 양통조(楊通照), 장청아(張淸雅)
권298 열전186 은일
(隱逸)
장개복(張介福), 예찬(倪瓚), 서방(徐舫), 양항(楊恆), 진회(陳洄), 양인(楊引), 오해(吳海), 유문(劉閔), 양보(楊黼), 손일원(孫一元), 심주(沈周), 진계유(陳繼儒)
권299 열전187 방기
(方伎)
활수(滑壽), 갈건손(葛乾孫), 여복(呂復), 예유덕(倪維德), 주한경(周漢卿), 왕리(王履), 주전(周顛), 장중(張中), 장삼풍(張三丰), 원공(袁珙), 대사공(戴思恭), 성인(盛寅), 황보중화(皇甫仲和), 동인(仝寅), 오걸(吳傑), 능운(凌雲), 이시진(李時珍), 주술학(周述學), 장정상(張正常)
권300 열전188 외척
(外戚)
진공(陳公), 마공(馬公), 여본(呂本), 마전(馬全), 장기(張麒), 호영(胡榮), 손충(孫忠), 오안(吳安), 전귀(錢貴), 왕천(汪泉), 항욱(杭昱), 주능(周能), 왕진(王鎭), 만귀(萬貴), 소희(邵喜), 장만(張巒), 하유(夏儒), 진만언(陳萬言), 방예(方銳), 진경행(陳景行), 이위(李偉), 왕위(王偉), 정승헌(鄭承憲), 왕승(王昇), 유문병(劉文炳), 장국기(張國紀), 주규(周奎)
권301 열전189 열녀
(列女)
1
월아(月娥), 유효부(劉孝婦), 이대 처 견씨(李大 妻 甄氏), 효녀 제아(孝女 諸娥), 당방 처 정씨(唐方 妻 丁氏), 정심 처 석씨(鄭煁 妻 石氏), 자계 양씨(慈谿 楊氏), 정녀 한씨(貞女 韓氏), 황선총(黃善聰), 요효녀(姚孝女), 채효녀(蔡孝女), 초원 효녀(招遠 孝女), 노가랑(盧佳娘), 팽화 처 시씨(彭禾 妻 施氏), 노청 처 오씨(盧淸 妻 吳氏), 등절 처 필씨(鄧節 妻 畢氏), 석효녀(石孝女), 탕혜신(湯慧信), 비묘총(婢妙聰), 서효녀(徐孝女), 고씨 딸(高氏 女), 손의부(孫義婦), 윤지로 처 양씨(尹之路 妻 梁氏), 여포 처 마씨(余佈 妻 馬氏), 의고 만씨(義姑 萬氏), 진의고(陳義姑), 대전(大田 郭氏), 유계녀(幼谿女), 호상경 처 정씨(胡尙絅 妻 程氏), 왕묘봉(王妙鳳), 당귀매(唐貴梅), 가정 장씨(嘉定 張氏), 양태노(楊泰奴), 주상 처 장씨(周祥 妻 張氏), 진양선(陳楊瑄), 수수 장씨(秀水 張氏), 구양금정(歐陽金貞), 오금동 처 장씨(吳金童 妻 莊氏), 진왕 처 당씨(陳旺 妻 唐氏), 자계 왕씨(慈谿 王氏), 분의 역씨(分宜 易氏), 도용 처 종씨(陶鏞 妻 鐘氏), 장수전 처 선씨(張樹田 妻 宣氏), 김걸 처 서씨(金傑 妻 徐氏), 의첩 장씨(義妾 張氏), 공열부(龔烈婦), 왕가도 처 강씨(王可道 妻 江氏), 범씨 2녀(範氏 二女), 정미음(丁美音), 우보 처 성씨(尤輔 妻 成氏), 흥안 두 여자(興安 二女子), 장은아(章銀兒), 의매 모씨(義妹 茅氏), 초낭맹(招囊猛), 장유 처 능씨(張維 妻 凌氏), 조계 처 두씨(曹桂 妻 杜氏), 의부 양씨(義婦 楊氏), 기현 사씨(杞縣 史氏), 임단랑(林端娘), 왕열부(汪烈婦), 두묘선(竇妙善), 석문개부(石門丐婦), 진유 처 가씨(陳兪 妻 賈氏), 이가 처 호씨(李珂 妻 胡氏), 진종구 처 사씨(陳宗球 妻 史氏), 정해 엽씨(定海 葉氏), 호귀정(胡貴貞), 위정규 처 손씨(衛廷珪 妻 孫氏), 하박 처 강씨(夏璞 妻 江氏), 고명 엄씨(高明 嚴氏)
권302 열전190 열녀
(列女)
2
왕가부 처 구양씨(王佳傅 妻 歐陽氏), 오정 서씨(烏程 徐氏), 유경 처 풍씨(劉慶 妻 馮氏), 원견 처 방씨(袁堅 妻 方氏), 난계 엽씨(蘭谿 葉氏), 해녕 반씨(海寧 潘氏), 오중기 처 양씨(吳仲淇 妻 楊氏), 장열부(張烈婦), 채열부(蔡烈婦), 조임 처 정씨(趙鈓 妻 鄭氏), 왕열부(王烈婦), 허열부(許烈婦), 오길고(吳吉姑), 자계 심씨 육절부(慈谿 沈氏 六節婦), 왕순 처 황씨(王珣 妻 黃氏), 나거 처 장씨(羅擧 妻 張氏), 유전 처 장씨(遊銓 妻 張氏), 강화 처 엽씨(江華 妻 葉氏), 임수 처 범씨(林壽 妻 范氏), 유씨 2녀(劉氏 二女), 손열녀(孫烈女), 채열녀(蔡烈女), 진간 처 이씨(陳諫 妻 李氏), 회계 호씨(會稽 胡氏), 대청(戴淸), 허원침 처 호씨(許元忱 妻 胡氏), 합양 이씨(郃陽 李氏), 오절부(吳節婦), 유수창 처 양씨(劉壽昌 妻 楊氏), 서아장(徐亞長), 장열부(蔣烈婦), 양옥영(楊玉英), 장선운(張蟬雲), 진양 처 예씨(陳襄 妻 倪氏), 안구 팽씨(安丘 彭氏), 영주 유씨(潁州 劉氏), 유씨 두 효녀(劉氏 二孝女), 진백 처 황씨(陳伯 妻 黃氏), 단양 소씨(丹陽 邵氏), 양정부(楊貞婦), 귀안 예씨(歸安 倪氏), 요정 처 양씨(饒鼎 妻 楊氏), 왕서례 처 정씨(王序禮 妻 丁氏), 조일봉 처 유씨(趙一鳳 妻 尤氏), 왕총린 계처 이씨(王寵麟 繼妻 李氏), 구녕 손씨(甌寧 孫氏), 방효녀(方孝女), 해효녀(解孝女), 하선 처 이씨(何璇 妻 李氏), 항정녀(項貞女), 수창 이씨(壽昌 李氏), 옥정현군(玉亭縣君), 마절부(馬節婦), 엽기서 처 왕씨(葉其瑞 妻 王氏), 오진학 처 유씨(吳進學 妻 劉氏), 진성 처 양씨(進性 妻 楊氏), 방존업 처 담씨(方存業 妻 譚氏), 임여기 처 장씨(林與岐 妻 張氏), 이절부(李烈婦), 황열부(黃烈婦), 수열부(須烈婦), 진절부(陳節婦), 유진소 처 마씨(劉晉嘯 妻 馬氏), 사열부(謝烈婦), 이동 처 장씨(李棟 妻 張氏), 고문학 처 왕씨(高文學 妻 王氏), 척가부(戚家婦), 유대준 처 김씨(劉大俊 妻 金氏), 왕방 처 양씨(王芳 妻 楊氏), 심백섭 처 왕씨(沈伯燮 妻 王氏), 이효부(李孝婦), 장숭아 처 홍씨(章崇雅 妻 洪氏), 육오 처 예씨(陸鰲 妻 倪氏), 장능신 처 유씨(張能信 妻 劉氏)
권303 열전191 열녀
(列女)
3
서효녀(徐貞女), 경사 유씨(京師 劉氏), 송몽 첩 여씨(宋蒙 妾 余氏), 우봉랑(虞鳳娘), 임정녀(林貞女), 왕정녀(王貞女), 예미옥(倪美玉), 유열녀(劉烈女), 상해 아무개씨(上海 某氏), 사무 처 곡씨(史茂 妻 谷氏), 혜도창 백씨(惠道昌 妻 白氏), 고열부(高烈婦), 등임 처 어씨(鄧任 妻 於氏), 장운붕 처 대씨(張雲鵬 妻 臺氏), 제성 호씨(諸城 胡氏), 성상 처 왕씨(成象 妻 王氏), 유효녀(劉孝女), 왕석전 처 최씨(王錫田 妻 崔氏), 고릉 이씨(高陵 李氏), 열부 시씨(烈婦 柴氏), 왕영명 처 주씨(王永命 妻 周氏), 포연희 처 왕씨(浦延禧 妻 王氏), 형외(荊媧), 진단여 처 송씨(陳丹余 妻 宋氏), 황일방 첩 이씨(黃日芳 妾 李氏), 기수 이씨(蘄水 李氏), 비아래(婢阿來), 요수중 처 만씨(姚守中 妻 萬氏), 화주 왕씨 오열부(和州 王氏 五烈婦), 명륜당녀(明倫堂女), 왕생 처 진씨(王生 妻 陳氏), 계택 두 이씨(雞澤 二李氏), 송덕성 처 강씨(宋德成 妻 姜氏), 육안녀(六安女), 석씨녀(石氏女), 오창조 처 사씨(吳昌祚 妻 謝氏), 주언경 처 장씨(周彦敬 妻 莊氏), 양응희 처 풍씨(梁凝禧 妻 馮氏), 당열 처 진씨(唐烈 妻 陳氏), 회령 유씨(懷寧 劉氏), 반용약 처 당씨(潘龍躍 妻 唐氏), 황응운 처 안씨(黃應運 妻 顔氏), 왕한 처 노씨(王瀚 妻 盧氏), 장탁 처 어씨(張鐸 妻 於氏), 뇌남숙 처 소씨(賴南叔 妻 蕭氏), 장국굉 첩 양씨(張國紘 妾 楊氏), 중씨녀(仲氏女), 광포의 처 하씨(鄺抱義 妻 何氏), 탕조계 처 조씨(湯祖契 妻 趙氏), 소내봉 처 예씨(蕭來鳳 妻 倪氏), 장일계 처 소씨(張一桂 妻 邵氏), 종윤방 처 강씨(宗胤芳 妻 江氏), 조복빈 처 양씨(曹復彬 妻 楊氏), 양이장 처 장씨(梁以樟 妻 張氏), 정완아 모친 석씨(鄭完我 母 石氏), 정완아 처 왕씨(鄭完我 妻 王氏), 송체도 처 곽씨(宋體道 妻 郭氏), 오도진 처 요씨(吳道震 妻 姚氏), 서필장 처 주씨(徐畢璋 妻 朱氏), 서씨녀(徐氏女), 정주 이씨(定州 李氏), 호경 처 요씨(胡敬 妻 姚氏), 이신신 처 웅씨(李藎臣 妻 熊氏), 유응경 처 구씨(劉應景 妻 丘氏), 효감 건씨(孝感 乾氏), 장정연 처 황씨(張挺然 妻 黃氏), 세마판 아무개씨(洗馬畈 某氏), 황피 상씨(黃陂 向氏), 유장경 첩 뇌씨(劉長庚 妾 雷氏), 상주 소씨(商州 邵氏), 관진간 처 여씨(關陳諫 妻 呂氏), 이순성 처 소씨(李純盛 妻 邵氏), 유응룡 처 왕씨(劉應龍 妻 王氏), 오지서 처 장씨(吳之瑞 妻 張氏), 한정윤 처 유씨(韓鼎允 妻 劉氏), 강도 정씨 육열(江都 程氏 六烈), 사저형 처 장씨(史著馨 妻 張氏), 손도승 계처 난씨(孫道升 繼妻 蘭氏), 장병순 처 유씨(張秉純 妻 劉氏), 손사의 처 도씨(孫士毅 妻 陶氏), 이철장 처 전씨(李鐵匠 妻 田氏), 장여안 처 왕씨(張侶顔 妻 王氏), 전병등 처 방씨(錢秉鐙 妻 方氏), 황응작 처 육씨(黃應爵 妻 陸氏), 형잔 처 어씨(荊潹 妻 於氏), 항숙미(項淑美), 귀동 왕씨(歸同 王氏), 용상 4열부(甬上 四烈婦), 목천파 시녀 하씨(沐天波 侍女 夏氏)
권304 열전192 환관
(宦官)
1
정화(鄭和), 김영(金英), 왕진(王振), 조길상(曹吉祥), 회은(懷恩), 왕직(汪直), 양방(梁芳), 하정(何鼎), 이광(李廣), 장종(蔣琮), 유근(劉瑾), 장영(張永), 곡대용(谷大用)
권305 열전193 환관
(宦官)
2
이방(李芳), 풍보(馮保), 장경(張鯨), 진증(陳增), 진구(陳矩), 왕안(王安), 위충현(魏忠賢), 왕체건(王體乾), 최문승(崔文升), 장이헌(張彛憲), 고기잠(高起潛), 왕승은(王承恩), 방정화(方正化)
권306 열전194 엄당
(閹黨)
초방(焦芳), 장채(張綵), 고병겸(顧秉謙), 최정수(崔呈秀), 유지선(劉志選), 조흠정(曹欽程), 왕소휘(王紹徽), 곽유화(霍維華), 염명태(閻鳴泰), 가계춘(賈繼春), 전이경(田爾耕)
권307 열전195 영행
(佞倖)
기강(紀綱), 문달(門達), 이자성(李孜省), 계효(繼曉), 강빈(江彬), 육병(陸炳), 소원절(邵元節), 도중문(陶仲文), 단조용(段朝用), 공가패(龔可佩), 호대순(胡大順), 전옥(田玉), 왕금(王金), 고가학(顧可學), 성단명(盛端明), 주융희(朱隆禧)
권308 열전196 간신
(姦臣)
호유용(胡惟庸), 진녕(陳寧), 진영(陳瑛), 엄숭(嚴嵩), 주연유(周延儒), 온예인(溫體仁), 마사영(馬士英)
권309 열전197 유적
(流賊)
이자성(李自成), 장헌충(張獻忠)
권310 열전198 호광토사
(湖廣土司)
시주(施州), 영순군민선위사사(永順軍民宣慰使司), 보정주군민선위사사(保靖州軍民宣慰使司)
권311 열전199 사천토사
(四川土司)
1
오몽(烏蒙)/오살(烏撒)/동천(東川)/망부(芒部), 마호(馬湖), 건창위(建昌衛), 무주(茂州), 송반(松潘), 천전육번초토사(天全六番招討司), 여주(黎州)
권312 열전200 사천토사
(四川土司)
2
파주선위사(播州宣慰司), 영녕선무사(永寧宣撫司), 유양선무사(酉陽宣撫司), 석주선무사(石砫宣撫司)
권313 열전201 운남토사
(雲南土司)
1
운남(雲南), 대리(大理), 임안(臨安), 초웅(楚雄), 징강(澄江), 경동(景東), 광남(廣南), 광서(廣西), 진원(鎮沅), 영녕(永寧), 순녕(順寧), 몽화(蒙化), 맹간(孟艮), 맹정(孟定), 곡정(曲靖)
권314 열전202 운남토사
(雲南土司)
2
요안(姚安), 학경(鶴慶), 무정(武定), 심전(尋甸), 여강(麗江), 원강(元江), 영창(永昌), 신화(新化), 위원(威遠), 북승(北勝), 만전(灣甸), 진강(鎮康), 대후(大侯), 난창(瀾滄), 녹천(麓川)/평면(平緬)
권315 열전203 운남토사
(雲南土司)
3
면전(緬甸), 간애(幹崖), 노강(潞江), 남전(南甸), 망시(芒市), 자악전(者樂甸), 다산(茶山), 맹련(孟璉), 이마(裏麻), 뉴올(鈕兀), 동당(東倘), 와전(瓦甸), 촉와(促瓦)/산금(散金), 목방(木邦), 맹양(孟養), 차리(車裏), 노과(老撾), 팔백(八百)
권316 열전204 귀주토사
(貴州土司)
귀양(貴陽), 사남(思南), 진원(鎮遠), 동인(銅仁), 여평(黎平), 안순(安順), 도균(都勻), 평월(平越), 석천(石阡), 신첨(新添)
권317 열전205 광서토사
(廣西土司)
1
계림(桂林), 류주(柳州), 경원(慶遠), 평악(平樂), 오주(梧州), 심주(潯州), 남녕(南寧)
권318 열전206 광서토사
(廣西土司)
2
태평(太平), 사명(思明), 사은(思恩), 진안(鎮安), 전주(田州), 은성(恩城), 상륭(上隆), 도강(都康)
권319 열전207 광서토사
(廣西土司)
3
사성(泗城), 이주(利州), 용주(龍州), 귀순(歸順), 향무(向武), 봉의(奉議), 강주(江州), 사릉(思陵)
권320 열전208 외국
(外國)
1
조선(朝鮮)
권321 열전209 외국
(外國)
2
안남(安南)
권322 열전210 외국
(外國)
3
일본(日本)
권323 열전211 외국
(外國)
4
유구(琉球), 여송(呂宋), 합묘리(合貓裡), 미락거(美洛居), 사요(沙瑤), 계롱(雞籠), 파라(婆羅), 마엽옹(麻葉甕), 고마자랑(古麻刺朗), 풍가시란(馮嘉施蘭), 문랑마신(文郞馬神)
권324 열전212 외국
(外國)
5
점성(占城), 빈동룡(賓童龍), 진랍(眞臘), 섬라(暹羅), 과와(瓜哇), 도파(闍婆), 소길단(蘇吉丹), 설리(碟裡), 일라하치(日羅夏治), 삼불제(三佛齊)
권325 열전213 외국
(外國)
6
발니(浡泥), 만랄가(滿剌加), 소문답랄(蘇門答剌), 수문달나(須文達那), 소록(蘇祿), 서양쇄리(西洋瑣裡), 쇄리(瑣裡), 남방(覽邦), 담파(淡巴), 백화(百花), 팽형(彭亨), 나고아(那孤兒), 여벌(黎伐), 남발리(南渤利), 아로(阿魯), 유불(柔佛), 정기의(丁機宜), 파라서(巴喇西), 불랑기(佛郞機), 화란(和蘭)
권326 열전214 외국
(外國)
7
고리(古里), 가지(柯枝), 소갈란(小葛蘭), 대갈란(大葛蘭), 석란산(錫蘭山), 방갈랄(榜葛剌), 소납박아(沼納朴兒), 조법아(祖法兒), 목골도속(木骨都束), 불랄와(不剌哇), 죽보(竹步), 아단(阿丹), 알살(剌撒), 마림(麻林), 홀로모사(忽魯謨斯), 유산(溜山), 비랄(比剌), 남무리(南巫里), 가리륵(加異勒), 감파리(甘巴里), 급란단(急蘭丹), 사리만니(沙里灣泥), 저리(底里), 천리달(千里達), 실랄비(失剌比), 고리반졸(古里班卒), 알니(剌泥), 하랄비(夏剌比), 기랄니(奇剌泥), 굴찰니(窟察泥), 사랄제(舍剌齊), 팽가나(彭加那), 팔가의(八可意), 오사랄척(烏沙剌踢), 감파(坎巴), 아와(阿哇), 타회(打回), 백갈달(白葛達), 흑갈달(黑葛達), 불림(拂菻), 의대리아(意大里亞)
권327 열전215 외국
(外國)
8
달단(韃靼)
권328 열전216 외국
(外國)
9
와랄(瓦剌), 올량합(兀良哈)
권329 열전217 서역
(西域)
1
합밀(哈密), 류성(柳城), 화주(火州), 토로번(土魯番)
권330 열전218 서역
(西域)
2
서번(西番), 안정위(安定衛), 아단위(阿端衛), 곡선위(曲先衛), 적근몽고위(赤斤蒙古衛), 사주위(沙州衛), 한동위(罕東衛), 한동좌위(罕東左衛), 합매리(哈梅里)
권331 열전219 서역
(西域)
3
대보법왕(大寶法王), 대승법왕(大乘法王), 대자법왕(大慈法王), 천화왕(闡化王), 찬선왕(贊善王), 호교왕(護敎王), 천교왕(闡敎王), 보교왕(輔敎王), 서천아난공덕국(西天阿難功德國), 서천니팔랄국(西天尼八剌國), 타감조사장행도지휘사사(朶甘烏斯藏行都指揮使司), 장하서어통녕원선위사(長河西魚通寧遠宣慰司), 동복한호선위사(董卜韓胡宣慰司)
권332 열전220 서역
(西域)
4
살마아한(撒馬兒罕), 사록해아(沙鹿海牙), 달실간(達失幹), 새람(賽藍), 양이(養夷), 갈석(渴石), 질리미(迭裏迷), 복화아(卜花兒), 별실팔리(別失八里), 합렬(哈烈), 엄도회(俺都淮), 팔답흑상(八答黑商), 우전(于闐), 실자사(失刺思), 엄적간(俺的幹), 합실합아(哈實哈兒), 역사불한(亦思弗罕), 화랄찰(火剌札), 걸력마아(乞力麻兒), 백송호아(白松虎兒), 답아밀(答兒密), 납실자한(納失者罕), 민진성(敏眞城), 일락국(日落國), 미석아(米昔兒), 흑루(黑婁), 토래아(討來思), 아속(阿速), 사합로(沙哈魯), 천방(天方), 고사(故事), 묵덕나(默德那), 곤성(坤城), 노미(魯迷)

부록(附錄)

[편집]

우리말 번역

[편집]

현재 경제 및 재정 부분을 다룬 〈식화지〉만 번역된 상태이다.

  • 박원호·양종국·노기식·김성한·이석헌·권인용 옮김, 《명사 식화지》, 소명출판, 2008년 12월 15일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