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비 제국

대이란국 | |||||||||||||||||||||||||
---|---|---|---|---|---|---|---|---|---|---|---|---|---|---|---|---|---|---|---|---|---|---|---|---|---|
| |||||||||||||||||||||||||
![]() 압바스 1세 치하의 사파비 제국 | |||||||||||||||||||||||||
수도 | 타브리즈 카즈빈 이스파한 | ||||||||||||||||||||||||
정치 | |||||||||||||||||||||||||
정치체제 | 신정 군주제 | ||||||||||||||||||||||||
샤한샤 1501년 ~ 1524년 1587년 ~ 1629년 1732년 ~ 1736년 | 이스마일 1세 압바스 1세 압바스 3세 | ||||||||||||||||||||||||
왕조 | 사파비 왕조 | ||||||||||||||||||||||||
역사 | |||||||||||||||||||||||||
인문 | |||||||||||||||||||||||||
공용어 | 페르시아어, 아제르바이잔어 | ||||||||||||||||||||||||
민족 | 페르시아인, 튀르크인 | ||||||||||||||||||||||||
종교 | |||||||||||||||||||||||||
종교 | 시아파 이슬람교 | ||||||||||||||||||||||||
|
이란의 역사 الگو:تاریخ ایران |
---|
![]() |
대이란(Great Iran)의 역사 | |||||||||||||||||||||||||||||||||||||||||||||||||||||||||||||||||||||||||||||||||||||||||||||
---|---|---|---|---|---|---|---|---|---|---|---|---|---|---|---|---|---|---|---|---|---|---|---|---|---|---|---|---|---|---|---|---|---|---|---|---|---|---|---|---|---|---|---|---|---|---|---|---|---|---|---|---|---|---|---|---|---|---|---|---|---|---|---|---|---|---|---|---|---|---|---|---|---|---|---|---|---|---|---|---|---|---|---|---|---|---|---|---|---|---|---|---|---|
페르시아의 제국 · 페르시아의 군주 | |||||||||||||||||||||||||||||||||||||||||||||||||||||||||||||||||||||||||||||||||||||||||||||
전근대 | |||||||||||||||||||||||||||||||||||||||||||||||||||||||||||||||||||||||||||||||||||||||||||||
| |||||||||||||||||||||||||||||||||||||||||||||||||||||||||||||||||||||||||||||||||||||||||||||
| |||||||||||||||||||||||||||||||||||||||||||||||||||||||||||||||||||||||||||||||||||||||||||||
| |||||||||||||||||||||||||||||||||||||||||||||||||||||||||||||||||||||||||||||||||||||||||||||
대이란국(페르시아어: ملک وسیعالفضای ایران), 또는 사파비 제국(페르시아어: امپراتوری صفوی)은 사파비 왕조의 시조인 이스마일 1세가 건국한 페르시아 제국이다. 12이맘파의 수피 종단인 사피파 종단에서 비롯되었다.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들이 수니파를 믿은 것과는 달리 사파비 제국은 파티마 칼리파국와 함께 대표적인 시아파 이슬람 국가이다.
역사[편집]
이스마일은 시아파 제7대 이맘의 자손으로서 1502년 아제르바이잔의 아크 코윤루(Ak Koyunlu:白羊) 왕조를 꺾고, 타브리즈에서 독립했다. 그 후 메소포타미아에서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통일했다. 그는 아라비아어풍의 술탄 칭호를 배척하고 페르시아어의 존칭 '샤'를 사용하였으며, 또 12이맘파(派)를 국교로 정하는 등 이민족 지배에서 벗어난 이란 민족주의를 강조하였다.
시아파를 지도 정신으로 하는 이 왕조는 무굴 왕조나 우즈베크계의 칸국들과도 원정을 하기도 했었고 또는 수니파(派)의 오스만 제국과 대항하게 되어 투르크의 침입을 받아 천도하였다.[3] 그러나 아바스 대제가 나오자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는 영국인의 지도로 군제(軍制) 개혁을 단행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광대한 실지(失地)를 탈환하였다.[4] 또 내정에도 빛나는 치적(治績)을 올려 수도 이스파한의 장려함은 유럽 세계에까지 소문이 퍼졌다.
하지만 아바스 대제의 사후 사파비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고 다시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받을때마다 영토를 잃게 된다.[5] 또 1722년에는 아프간족에게 수도를 점령당함으로써 사실상 쇠퇴하였으나 왕통(王統)은 11대 1736년까지 존속되었다. 이후 이란 지방은 18세기 말 카자르 왕조에 의해 재통일되었다.
사파비 왕조는 페르시아의 비단을 이용해 당시 팽창하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 서유럽의 여러 나라와 친분 관계를 맺어 공동 전선을 폈다. 또한 인도 동쪽의 식민지와의 연락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국, 프랑스와 우호 관계를 맺었다.
역대 군주[편집]
- 이스마일 1세 (1501년 - 1524년)
- 타흐마스프 1세 (1524년 - 1576년)
- 이스마일 2세 (1576년 - 1578년)
- 무함마드 호다반다 (1578년 - 1587년)
- 아바스 1세 (1587년 - 1629년)
- 사피 (1629년 - 1642년)
- 압바스 2세 (1642년 - 1666년)
- 쉴레이만 1세 (1666년 - 1694년)
- 술탄 후사인 (1694년 - 1722년)
- 타흐마스프 2세 (1722년 - 1732년)
- 압바스 3세 (1732년 - 1736년)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 ↑ "... the Order of the Lion and the Sun, a device which, since the 17 century at least, appeared on the national flag of the Safavids the lion representing 'Ali and the sun the glory of the Shiʻi faith", Mikhail Borisovich Piotrovskiĭ, J. M. Rogers, Hermitage Rooms at Somerset House, Courtauld Institute of Art, Heaven on earth: Art from Islamic Lands: Works from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the Khalili Collection, Prestel, 2004, p. 178.
- ↑ Flaskerud, Ingvild (2010). 《Visualizing Belief and Piety in Iranian Shiism》. A&C Black. 182–3쪽. ISBN 978-1-4411-4907-7.
- ↑ 김상훈 (2011). 《외우지도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2》. 다산에듀. 42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상훈 (2011). 《외우지도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2》. 다산에듀. 43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상훈 (2011). 《외우지도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시아사 2》. 다산에듀. 45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