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무르 제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르카니
گورکانیان

 

 

 

1370년 ~ 1507년
 

 

 

국기
국기
Timurid Empire (greatest extent).svg
수도사마르칸트
(1370–1405)
헤라트
(1405–1507)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아미르
1370년 ~ 1405년
1506년 ~ 1507년

티무르
바디 알자만
왕조티무르 왕조
역사
 • 시대중세
 • 건국1370년
 • 서쪽으로 팽창 개시1380년
 • 앙카라 전투1402년
 • 사마르칸트 함락1505년
 • 헤라트 함락1507년
지리
1405년 어림 면적4,400,000 km²
(1,698,849 sq mi)
인문
공용어페르시아어[1]
차가타이어
민족차가타이인, 모굴인, 페르시아인, 우즈베크인
종교
국교이슬람교
기타
11375년경 카탈루냐 지도책에 티무르 제국의 국기로 기록.
2티무르 제국의 최대 판도.
대이란(Great Iran)의 역사
페르시아의 제국 · 페르시아의 군주
전근대
이슬람 개종 이전
기원전
자얀데 강 문명 선사 시대
시알크 문명 7500~1000
원시 엘람 문명 3200~2800
지로프트 문명 (아랏타) 3000~?
엘람 제국 2800~550
박트리아 마르기아나 2200~1700
만나이 왕국 10~7세기
메디아 728~550
아케메네스 제국 550~330
셀레우코스 제국 330~150
그리스 박트리아 왕국 250~125
파르티아 제국 248~기원후 224
기원후
쿠샨 제국 30~275
사산 제국 224~651
에프탈 425~557
카불 샤히 왕조 565~670
이슬람 개종 이후
라시둔 칼리파국 637~661
우마이야 칼리파국 661~750
아바스 칼리파국 750~1258
사만 토후국 819~999
타히르 토후국 821~873
알라비 토후국 864~928
사파르 토후국 861~1003
제야르 왕국 928~1043
부와이 제국 934~1055
가즈나 술탄국 963~1187
셀주크 제국 1037~1194
화레즘 제국 1077~1231
샨사브 왕국 1149~1212
일 칸국 1256~1353
무자파르 왕국 1314~1393
카르트 왕국 1335~1381
추판 왕국 1337~1357
잘라이르 술탄국 1339~1432
티무르 제국 1370~1507
아크 코윤루 투르크멘 1378~1514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1374~1469
사파비 제국 1501~1722
또는 1736
무굴 제국 1526~1857
호타키 토후국 1722~1729
아프샤르 제국 1736~1802
 근대
아프가니스탄
두라니 제국 1747~1823
영국과 러시아 세력 1823~1919
독립과 내전 1919~1929
바라자이 통치기 1929~1973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1978
공산 통치기 1978~1992
1992년 이후 아프가니스탄 1992~현재
아제르바이잔
독립한 칸국 1722~1828
러시아 통치기 1828~1917
민주 공화국 1918~1920
아제르바이잔 SSR 1920~1991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1991~현재
바레인
포르투갈 통치기 1521~1602
대(對)영국 협정 1820~1971
바레인 왕국 1971~현재
이란
잔드 왕국 1750~1794
이란 숭고국 1781~1925
이란 제국 1925~1979
이란 혁명 1979
과도 정부 1979
이란 이슬람 공화국 1979~현재
이라크
오스만 제국 1632~1919
하심 왕국 1920~1958
쿠데타와 공화국 1958~2003
이라크 공화국 2004~현재
타지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부하란 / 우즈베크 SSR 1920~1929
타지크 자치 SSR 1929
타지크 SSR 1929~1991
타지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우즈베크 SSR 1924~1991
독립 1991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v  d  e  h

구르카니(페르시아어: گورکانیان 구르카니얀), 통칭 티무르 제국(페르시아어: تیموریان)은 티무르중앙아시아 지역에 건국한 이슬람 왕조이다. 전성기의 판도로 북동쪽은 동튀르키스탄, 남동쪽은 인더스 강, 북서쪽은 볼가강, 남서쪽으로는 역사적 시리아아나톨리아 방면까지 이르러, 과거 몽골제국의 서남부 지역도 지배하였다. 창시자인 티무르 재위 중에 티무르 제국이라 불렸다.[2] 왕조의 시조 티무르는 발라스부의 출신으로 언어적으로 투르크화하고, 종교적으로는 이슬람화했다. 15세기 후반에는 사마르칸트헤라트의 두 정권이 남았다. 결국 16세기 초에 우즈베크샤이반 왕조에 의해 정복당해 모두 살해당하게 되며 멸망했다.

역사[편집]

티무르 왕조 (1365 ~ 1405)
티무르의 7년 원정

14세기 후반 서(西)차가타이 한국(汗國) 출신의 티무르는 스스로를 칭기즈 칸의 후손이라 칭하고 몽골 제국의 재건을 기도했다. 그는 사마르칸트에 도읍하고 1380년 카르토 왕조를 멸망시킨 뒤, 1393년에는 자라일 왕조의 군주 아마드바그다드에서 몰아냈으며 동서 차가타이 한국·일 한국을 병합하였고, 킵차크 한국북인도에 침입했다. 이어 소아시아 방면에서 일어난 오스만 투르크를 앙카라에서 격파해 구(舊) 몽골 제국의 서반부를 영유하는 제국을 건설했다. 티무르는 (明)의 정벌을 기도했으나 원정 도중 오트라르에서 병사했다. 티무르의 사후 왕실의 상속 싸움이 계속되었는데 샤 루흐 시대에 일시 번영을 되찾았다. 하지만 울루그 베그 사후 제국의 분열이 표면화되어 사마르칸트와 헤라트에 각각의 정권이 세워져 대립하였다. 결국 우즈베크족의 침입으로 1500년에는 사마르칸트가 함락되고, 7년 뒤 헤라트도 함락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연대기 작가들은 티무르 왕조가 칭기스 칸과 티무르의 혈통을 이었다는 이유로 칭송했다.[3]

문화[편집]

수도인 사마르칸트는 국제적인 상업 도시로서 번영하여 왕년의 바그다드를 능가할 정도로 번영했다. 예술·문화면에서는 이란 문화의 영향이 강하고 역대 군주의 보호 및 장려에 의해서 티무르풍(風)의 이슬람 문화가 발달했다. 건축 양식에서는 중국식의 탑과 유목 민족의 천막을 조합한 독특한 사원(寺院)이 만들어졌고, 회화(繪畵)에서는 이란풍의 미니아튀르(세밀화細密畵) 예술이 발달했다. 이란 문학에서는 시인 자미의 이름이 가장 알려졌고 아라비아 수학·천문학·의학·지리학·역사학 등도 발달하여 이슬람 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티무르 왕조의 통치자[편집]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편집]

  1. 티무르 (1370년 ~ 1405년)
  2. 할릴 술탄 (1405년 ~ 1409년)
  3. 샤 루흐 (1409년 ~ 1447년)
  4. 울루그 베그 (1447년 ~ 1449년)
  5. 압드 알라티프 (1449년 ~ 1450년)
  6. 압둘라 (1450년 ~ 1451년)
  7. 아부 사이드 (1451년 ~ 1469년)

사마르칸트 정권[편집]

  1. 술탄 아흐마드 (1469년 ~ 1494년)
  2. 술탄 마흐무드 (1494년 ~ 1495년)
  3. 바이순쿠르 (1495년 ~ 1496년)
  4. 술탄 알리 (1496년)
  5. 바이순쿠르 (2번째, 1497년)
  6. 바부르 (1497년 ~ 1498년)
  7. 술탄 알리 (2번째, 1498년 ~ 1500년)

헤라트 정권[편집]

  1. 샤 루흐 (1405년 ~ 1449년)
  2. 아불 카짐 바부르 (1449년 ~ 1457년)
  3. 샤 마흐무드 (1457년)
  4. 이브라힘 (1457년 ~ 1459년)
  5. 술탄 아부 사이드 구르간 (1459년 ~ 1469년)
  6. 술탄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 (첫 번째 지배: 1469년)
  7. 야드가르 무함마드 (1469년 ~ 1470년)
  8. 술탄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 (두 번째 지배: 1470년 ~ 1506년)
  9. 바디 알자만 (1506년 ~ 1507년)

그 밖의 통치자[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anz, Beatrice Forbes (1999). The Rise and Rule of Tamerla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09. ISBN 0-521-63384-2. Limited preview - 구글 도서. p.109. "In almost all the territories which Temür incorporated into his realm Persian was the primary language of administration and literary culture. Thus the language of the settled 'diwan' was Persian..."
  2. 加藤和秀, 『ティームール朝成立史の研究』(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1999年2月), p.280
  3. 스티븐 데일, 「유럽 팽창 시대의 이슬람권」,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p. 116.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