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사
이름 | 저자 | 권수 |
---|---|---|
사기 | 전한·사마천 | 130 |
한서 | 후한·반고 | 100 |
후한서 | 유송·범엽 | 120 |
삼국지 | 서진·진수 | 65 |
진서(晉書) | 당·방현령 등 | 130 |
송서 | 양·심약 | 100 |
남제서 | 양·소자현 | 59 |
양서 | 당·요사렴 | 56 |
진서(陳書) | 당·요사렴 | 36 |
위서 | 북제·위수 | 114 |
북제서 | 당·이백약 | 50 |
주서 | 당·영호덕분 등 | 50 |
수서 | 당·위징 등 | 85 |
남사 | 당·이연수 | 80 |
북사 | 당·이연수 | 100 |
구당서 | 후진·유후 등 | 200 |
신당서 | 송·구양수 등 | 225 |
구오대사 | 송·설거정 등 | 150 |
신오대사 | 송·구양수 | 74 |
송사 | 원·토크토 등 | 496 |
요사 | 원·토크토 등 | 116 |
금사 | 원·토크토 등 | 135 |
원사 | 명·송렴 등 | 210 |
명사 | 청·장정옥 등 | 332 |
신원사* | 중화민국·커샤오민 등 | 257 |
청사고* | 중화민국·자오얼쑨 등 | 536 |
북사(北史)는 중국 북조의 역사서로 이대사에 의해 편찬이 시작되었고, 그의 아들인 이연수에 의해 완성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인 역사서이다. 전체 100권이며, 본기 12권, 열전 8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의 북조에 해당하는 왕조인 북위, 서위, 동위, 북제, 수나라의 역사를 담고 있다. 조령이나 상주문을 배제하고 서사에 중점을 두고 기술하였으며, 총량은 단대사인 《위서》, 《북제서》, 《주서》, 《수서》를 합한 절반 정도이며, 단대사 4서에는 볼 수없는 내용도 적지 않다. 특히 위서에 기록되지 않은 서위의 인물에 대한 증보 부분이 크다.
내용[편집]
본기[편집]
- 위본기제1 - 태조도무제(太祖道武帝)・태종명원제(太宗明元帝)
- 위본기제2 - 세조태무제(世祖太武帝)・恭宗景穆帝・高宗文成帝・顕祖献文帝
- 위본기제3 - 高祖孝文帝
- 위본기제4 - 世宗宣武帝・肅宗孝明帝
- 위본기제5 - 敬宗孝荘帝・節閔帝・廃帝・孝武帝・西魏文帝・西魏廃帝・西魏恭帝・東魏孝静帝
- 제본기上제6 - 高祖神武帝・世宗文襄帝
- 제본기中제7 - 顕祖文宣帝・廃帝・孝昭帝
- 제본기下제8 - 世祖武成帝・後主・幼主
- 주본기上제9 - 太祖文帝・孝閔帝・世宗明帝
- 주본기下제10 - 고조무제(高祖武帝)・선제 (宣帝)・정제 (静帝)
- 수본기上제11 - 고조문제(高祖文帝)
- 수본기下제12 - 양제(煬帝)・공제 (恭帝)
열전[편집]
![]() |
외부 링크[편집]
- 이십오사 (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