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 (나라)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1월) |

유연 | ||||
---|---|---|---|---|
柔然. | ||||
| ||||
![]() 500년경 유연의 강역. | ||||
수도 | 불명 | |||
정치 | ||||
정치체제 | 군주제 | |||
입법부 | 쿠릴타이 | |||
종교 | ||||
종교 | 텡그리교 |
몽골의 역사 Монголын түүх |
---|
![]() |
유연(중국어: 柔然, 병음: Róurán)은 4세기 말부터 6세기 말까지 동아시아 북쪽의 넓은 지역을 통치하던 튀르크-몽골 국가로 추정된다. 언어학적으로는 몇몇 튀르크어가 기록으로 보이나 그 외 기록이 매우 적어 정확한 실상은 알 수 없다. 5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존재하던 국가의 이름을 한자로 차음(借音)한 것이다. 연연(蠕蠕), 여여(茹茹), 예예(芮芮) 등으로도 표기된다. 몽골 고원부터 천산산맥 근처의 철륵(카자흐족, 키르기스족)까지 영향력이 닿았다. 이후 튀르크 국가에 의해 멸망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유연과 아바르 카간국의 발음상 비슷함에 의해 유연이 튀르크에게 멸망하고 서쪽으로 이동하여 아바르 카간국을 건국했다고 주장하지만 발음상 유사한 것 외에는 정확한 근거가 없다.
역사[편집]
유연(柔然)은 서기 5~6세기에 북방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 국가로 유연의 시조는 목골려(木骨閭)로 불려 그 왕족은 욱구려씨(郁久閭氏)라고 불렀다. 3세기 경에는 선비 국가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모용선비가 화북 지역으로 이동하여 화북을 정복한 이후, 유연은 동북아시아에서 세력을 확대해, 5세기 초 사륜(社崙)의 시대에 고차(高車)를 복속시켜 타림분지 일대를 지배하면서, 선비족의 북위와 대립했다. 또 사륜은 ‘가한’(可汗)의 칭호를 사용했다. 사륜은 북위의 군대에 패주하던 도중에 사망했다.
북위와의 대립이 깊어진 유연은 고구려와 동맹을 하여 북위를 포위망에 넣었다. 하나라, 북량은 북위에 의해 멸망당하지만, 유연은 세력을 계속 유지하여 북위를 공격하였다.
북위는 429년, 449년 두차례에 걸쳐 유연을 공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연은 강한 세력을 계속 유지하였고 북위도 중국 남조의 견제 때문에 북방의 유연과의 전쟁을 계속 할 수 없었다.
유연의 세력이 본격적으로 약화된 것은 485년, 486년에 지배하에 있던 고차가 독립한 이후이다. 고차의 반란은 수습하였지만 튀르크가 강성해져서 552년 튀르크의 이리가한(伊利可汗)과의 전투에서 패배함으로써 유연의 아나괴(阿那壞)가 전사한다. 이후 수장을 잃은 유연은 세력이 약해져 멸망하였다.
역대 가한[편집]
- 구두벌가한 욱구려사륜(丘豆伐可汗 郁久閭社崙) 재위 402년 ~ 410년
- 애고개가한 욱구려곡률(藹苦蓋可汗 郁久閭斛律) 재위 410년 ~414년
- 가한 욱구려보록진(可汗 郁久閭步鹿眞) 414년
- 모한흘승개가한 욱구려대단(牟汗紇升蓋可汗 郁久閭大檀) 재위 414년 ~ 429년
- 칙련가한 욱구려오제(敕連可汗 郁久閭吳提) 재위 429년 ~ 444년
- 처라가한 욱구려토하진(處羅可汗 郁久閭吐賀眞) 재위 444년 ~ 450년
- 수라부진가한 욱구려여성(受羅部眞可汗 郁久閭予成) 재위 450년 ~ 485년
- 복고도가한 욱구려두륜(伏古敦可汗 郁久閭豆崙) 재위 485년 ~ 492년
- 후기복대고자가한 욱구려나개(候其伏代庫者可汗 郁久閭那蓋) 재위 492년 ~ 506년
- 타한가한 욱구려복도(他汗可汗 郁久閭伏圖) 재위 506년 ~ 508년
- 두라복발두벌가한 욱구려추노(豆羅伏跋豆伐可汗 郁久閭醜奴) 재위 508년 ~ 520년
- 칙련두병두벌가한 욱구려아나괴(敕連頭兵豆伐可汗 郁久閭阿那瓌) 재위 520년 ~ 552년
- 가한 욱구려철벌(可汗 郁久閭鐵伐) 재위 552년 ~ 553년
- 가한 욱구려등주(可汗 郁久閭登注) 재위 553년
- 가한 욱구려고제(可汗 郁久閭庫提) 재위 553년
- 가한 욱구려암나진(可汗 郁久閭菴羅辰) 재위 553년 ~ 554년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