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 (북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 신무제
齊 神武帝
渤海王高歡(北史演義).jpg
북제의 황제
재위 (추존)
전임 문목제
후임 세종 문양제
발해왕(渤海王)
재위 531년 ~ 547년
평양군공(平陽郡公)
재위 530년 ~ 531년
이름
고환(高歡)
시호 발해헌무왕(渤海獻武王)

헌무황제(獻武皇帝)

신무황제(神武皇帝)
묘호 태조(太祖)

고조(高祖)
능호 의평릉(義平陵)
신상정보
출생일 북위 태화(太和) 20년
(496년)
사망일 동위 무정(武定) 5년 1월 8일
(547년 2월 13일) (50 - 51세)
부친 문목황제(文穆皇帝) 고수생(高樹生)
모친 문목황후(文穆皇后) 한기희(韓期姬)
배우자 무명황후(武明皇后) 누소군(婁昭君)

제 고조 신무황제 고환(齊 高祖 神武皇帝 高歡, 496년 ~ 547년 2월 13일(음력 1월 8일))은 강태공의 50세손이자 강태공의 후손인 11세손 고혜(강혜)의 39대손이다. 중국 북제의 추존 황제다.

생애[편집]

고환은 북위 절민제에 의해 발해왕(渤海王)에 봉해지나 절민제를 통제하기 어렵다 판단하여 폐위시키고 효무제를 옹립하였다. 하지만 효무제는 낙양을 탈출하여 장안우문태에게 의지하니 고환은 원선견(동위 효정제)을 황제로 옹립하여 동위를 세우게 되고 우문태도 효무제를 죽이고 원보거(서위 문제)를 옹립하여 서위를 세운다. 이로서 북위가 동서로 분열되자 동위의 효정제의 궁정에서 승상을 지냈다[1]. 고환은 북위의 화화정책(華化政策)에 불만을 가진 군벌(軍閥)을 기반으로 태행산맥 동쪽의 산동, 하북을 지배하였고, 서위의 우문태와 대립하였다.

고환이 하루는 아들들의 재주를 시험할 목적으로 한 자리에 불러 모았다. 그는 어지럽게 뒤엉킨 삼실 한뭉치씩을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면서 풀도록 하였다. 고환의 다른 아들들은 모두 한올 한올씩 뽑아내느라 진땀을 흘렸으나, 둘째 아들인 고양은 칼 한자루를 들고 와 삼실을 베어버리며 어지러운 것은 베어 버려야 한다고 말하였다.[1][2] 고환은 고양이 장차 큰일을 할 인물이라 생각하며 기뻐하였다. 고양은 뒤에 효정제를 몰아내고 북제문선제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의 기대를 저버리고 백성들을 탄압하는 폭군이 되었다.[1]

가족 관계[편집]

부모[편집]

  • 부친 : 문목황제(文穆皇帝) 고수생(高樹生)
  • 모친 : 문목황후(文穆皇后) 한기희(韓期姬)

후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생몰년도 별칭 비고
발해왕비
(渤海王妃)
무명황후
(武明皇后)
누소군(婁昭君) 501년 ~ 562년 [3]
연연공주
(蠕蠕公主)
욱구려씨(郁久閭氏) 530년 ~ 548년 [4]
대이주씨(大爾朱氏) ? ~ 556년 [5] [6]
소이주씨(小爾朱氏) [7] [8]
정대차(鄭大車) [9]
한지휘(韓智輝) 504년 ~ 551년 [10]
유씨(游氏)
풍씨(馮氏)
이씨(李氏)
왕씨(王氏)
목씨(穆氏)
마씨(馬氏)
원씨(元氏)

왕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제왕(齊王) 고징(高澄) 521년 ~ 549년 무명황후 누소군 [11] 북제 추존황제 문양제(文襄帝).
2 제왕(齊王) 고양(高洋) 526년 ~ 559년 무명황후 누소군 [12] 북제 초대 황제 문선제(文宣帝).
3 영안왕(永安王) 간평(簡平) 고준(高浚) ? ~ 558년 왕씨 [13]
4 평양왕(平陽王) 정익(靖翼) 고엄(高淹) ? ~ 565년 목씨 [14]
5 팽성왕(彭城王) 경사(景思) 고유(高浟) 533년 ~ 564년 대이주씨 [15]
6 상당왕(上黨王) 강숙(剛肅) 고환(高渙) 533년 ~ 558년 한지휘 [16]
7 상산왕(常山王) 고연(高演) 535년 ~ 561년 무명황후 누소군 [17] 북제 제3대 황제 효소제(孝昭帝).
8 양성왕(襄城王) 경렬(景烈) 고육(高淯) 536년 ~ 551년 무명황후 누소군 [18]
9 장광왕(長廣王) 고담(高湛) 537년 ~ 569년 무명황후 누소군 [19] 북제 제4대 황제 무성제(武成帝).
10 임성왕(任城王) 고개(高湝) 538년 ~ 577년 소이주씨 북제 명목상 제7대 황제 임성왕(任城王).
11 고양왕(高陽王) 강목(康穆) 고식(高湜) 538년 ~ 560년 유씨
12 박릉왕(博陵王) 문간(文簡) 고제(高濟) ? ~ 569년 무명황후 누소군
13 화산왕(華山王) 고응(高凝) 대이주씨 [20]
14 풍익왕(馮翊王) 문소(文昭) 고윤(高潤) 543년 ~ 575년 정대차
15 한양왕(漢陽王) 경회(敬懷) 고흡(高洽) 542년 ~ 554년 풍씨

왕녀[편집]

- 봉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부마 별칭 비고
1 공주(公主) 무명황후 누소군 북위 출제(北魏出帝)
원수(元修)
[21]
팽성현공(彭城縣公)
원소(元韶)
2 태원공주
(太原公主)
무명황후 누소군 동위 효정제(東魏孝靜帝)
원선견(元善見)
[22]
개봉왕(開封王)
양음(楊愔)
3 장락소순공주
(長樂昭順公主)
고징(高徵) 525년 ~ 557년 부성현공(敷城縣公)
유홍휘(劉洪徽)
[23]
4 공주(公主) 사마 소란(司馬 消難)
5 영천공주
(潁川公主)
평원왕(平原王)
단의(段懿)
6 의녕공주
(義寧公主)
영안현개국후(永安縣開國侯)
곡률 무도(斛律 武都)
7 부양공주
(浮陽公主)
풍씨 임성문소왕(任城文昭王)
원이(元彝)
낙평군왕(樂平郡王)
이주 세륭(爾朱 世隆)
8 동평공주
(東平公主)
박릉군공(博陵郡公)
가주혼 천화(可朱渾 天和)
양녀 양적공주
(陽翟公主)
연자헌(燕子獻) [24] 한현(韓賢)의 딸.

각주[편집]

  1. 快刀亂麻 쾌도난마 :: 네이버 뉴스
  2. <책> 중국은 '협객의 나라' :: 네이버 뉴스
  3. 왕태비(王太妃)/황태후(皇太后)/태황태후(太皇太后)
  4. 유연(柔然) 가한 욱구려 아나괴(郁久閭 阿那瓌)의 딸. 고환 사후 장남 고징에게 재가함.
  5. 팽성왕태비(彭城太妃)
  6. 북위(北魏) 효장제(孝莊帝)의 황후.
  7. 동해왕비(東海王妃)
  8. 북위(北魏) 폐제(廢帝) 원엽(元曄)의 황후
  9. 풍익왕태비(冯翊王太妃)
  10. 상당국태비(上黨國太妃)
  11. 왕세자(王世子)/발해왕(渤海王)
  12. 태원군개국공(太原郡開國公)/제군왕(齊郡王)
  13. 영안군공(永安郡公)
  14. 평양군공(平陽郡公)
  15. 장락군공(長樂郡公)
  16. 평원군공(平原郡公)
  17. 상산군공(常山郡公)
  18. 장무군공(章武郡公)
  19. 장광군공(長廣郡公)
  20. 신평군왕(新平郡王)/안정왕(安定王)
  21. 황후(皇后)
  22. 황후(皇后)/중산왕비(中山王妃)
  23. 발해군군(渤海郡君)
  24. 회양공주(淮陽公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