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레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34번째 줄: 234번째 줄: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위키공용|John Lennon}}
{{위키공용과 분류|John Lennon}}
{{위키버시티|포털:교양/존 레논}}
{{위키버시티|포털:교양/존 레논}}
* {{공식 웹사이트|http://www.johnlennon.com}}
* {{공식 웹사이트|http://www.johnlennon.com}}

2016년 3월 17일 (목) 17:51 판

존 레논
John Lennon
기본 정보
본명John Winston Ono Lennon
출생1940년 10월 9일(1940-10-09)
잉글랜드 잉글랜드 머지사이드 주 리버풀
사망1980년 12월 8일(1980-12-08)(40세)
미국 미국 뉴욕 주 뉴욕 시티
성별남성
국적영국 영국
직업가수
기타리스트
장르팝 록
익스페리멘탈 록
활동 시기1956년 ~ 1980년
악기기타, 하모니카, 피아노
배우자신시아 레넌 (1962–1968)
오노 요코 (1969–1980)
가족아버지 앨프렛 레논, 어머니 줄리아 스탠리 레논
아들 줄리안 레논, 션 레논
종교가톨릭
레이블팔로폰
게펜
관련 활동비틀즈
플라스틱 오노 밴드
웹사이트존 레논 홈페이지

존 윈스턴 오노 레논(영어: John Winston Ono Lennon 존 레넌[*], 1940년 10월 9일 ~ 1980년 12월 8일)은 영국가수이다. 비틀즈의 창립 멤버로서 레논은 폴 매카트니와의 공동 작곡(레논-매카트니)을 통해 "로큰롤 역사상 가장 인기있는 음악을 썼다"[1]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그는 영국 싱글 차트에서 폴 매카트니에 이어 두 번째로 가장 성공적인 작곡가로 기록되어 있다.[2]기네스 월드 레코즈」에서는 가장 성공한 작곡 팀의 한 명으로서 「차트 1위의 곡이 미국에서 동료 폴 매카트니가 32곡, 레논이 26곡(공동 작곡은 23곡), 영국 차트로 레논이 29곡, 매카트니가 28곡(공동 작곡이 25곡)」으로 소개하고 있다. 레논이 작곡에 참여한 비틀즈 곡로는 「I Want To Hold Your Hand」와 「She Loves You」, 리드 보컬이었던 「Please Please Me」 「A Hard Day's Night」 「Help!」 「Strawberry Fields Forever」 「All You Need Is Love」 「Across the Universe」 「Come Together」이 있다. 또한 솔로로는 「Love」 「Imagine」 「Starting Over」 등을 발표했다.

1965년 비틀즈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대영 제국 훈장 5등급(MBE)을 받았는데, 이는 당시 대중음악가로서는 이례적인 서훈이었다. 그러나 존 레논은 영국의 베트남전 참전에 대한 비판의 의미로 후에 이 훈장을 반납한다.

레논은 음악과 영화, 책, 회견과 인터뷰 등을 통해 반항적인 성향과 통렬한 재치를 드러냈으며 평화 운동과 그림 작품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비틀즈 해체 이후 레논은 《John Lennon/Plastic Ono Band》, 《Imagine》 등의 앨범과 〈Imagine〉, 〈Give Peace a Chance〉, 〈Love〉 등의 곡을 통해 성공적인 솔로 경력을 쌓았다. 1973년미국으로 건너가 1978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레논의 마지막 앨범이 된 《Double Fantasy》는 1981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음반' 수상작으로 선정된다.

레논은 사후인 1987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3], 1994년에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08년에는 100명의 위대한 영국인을 묻는 BBC의 설문조사에서 8번째로 선정되었다. 《롤링 스톤》지는 2004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50인”(The Fifty Greatest Artists of All Time) 중에서 레논을 38위로 선정했고, 2008년에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에 5위로 선정하였다.[4]

출생명은 존 윈스턴 레논 (John Winston Lennon) 이었지만, 오노 요코와 결혼 후는 존 윈스턴 오노 레논으로 개명하였다.

생애

존 레논의 싸인

자라난 내력

유년기

존 레논은 1940년 10월 9일 18시 30분, 제2차 세계대전나치 독일의 공습 하에 놓여진 리버풀에서 태어났다. 레논이 태어났을 때 상선의 승무원이었던 아버지 앨프렛 레논는 당시 항해 중이었기 때문에 자리에 없었다. 또한 그의 어머니인 줄리아 스탠리 레논도 다른 남성과 동거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모인 메리(미미 백모) 부부의 아래에서 자랐다. 미들 네임의 윈스턴은 당시의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에서 따왔다.

1946년, 앨프렛이 귀국하여 그에게 거두어 지며 수 주간 함께 살았다. 그러나 줄리아가 존을 데리고 돌아왔다. 하지만 레논은 어머니와 같이 살지 못 하고 다시 미미 부부의 아래에서 자랐다. 그리고 앨프렛도 행방 불명 되었다.

비틀즈 데뷔까지

성장기

친 부모와 함께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청소년기에는 반항적이고 싸움 소란을 일으키는 것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1952년 9월글래머 스쿨의 쿼리 뱅크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955년에 아버지 대신이었던 미미의 남편 조지가 사망하였다.

1956년인 어느 날, 앨비스 프레슬리의 「Heartbreak Hotel」을 들어, 록큰롤을 접하게 된다. 이 때 그의 어머니인 줄리아 스탠리 레논이 근처에 살고 있는 것을 안 레논은, 어머니의 집에 왕래하게 되었다. 그의 어머니는 레논에게 밴조의 코드를 몇개인가 가르쳐 음악으로 관심을 향하게 했다.

1957년 , 레논은 그의 첫 작품으로 「Hello Little Girl」을 작곡한다. (이 곡은 1962년데카 레코드의 오디션에서 불렸으며 「앤솔러지 1」로 공식으로 발표되었다) 당시부터 기타와 보컬을 담당하고 있었지만, 상술한 대로 실제로 배운 것은 밴조의 코드였기 때문에 현을 4개 밖에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폴 매카트니와의 만남

1957년 3월 레논이 다니던 학교 쿼리 뱅크 고등학교의 친구들과 스키플 밴드 「쿼리멘」을 결성했다. 레논 이외의 멤버는 고정되지 않은 채 활동을 계속 되고 있던 7월 6일, 울톤의 성 피터스 교회에서 행한 쿼리멘의 콘서트에서 레논과 매카트니 모두와 친한 아이반 본의 소개로 폴 매카트니와 만난다[5]. 며칠 후, 매카트니는 쿼리멘의 멤버가 되었다. 이 때 레논은 앨비스 프레슬리, 척 베리, 버디 홀리미국록큰롤에 매료된 상태였다.

조지 해리슨과의 만남

1958년 2월, 매카트니의 소개로 조지 해리슨과 만난다. 머지 않아 그의 기타 솜씨를 높이 사면서 쿼리맨의 가입을 인정했다.

어머니의 죽음

1958년 7월 15일, 레논의 어머니는 비번의 경찰관이 운전하는 차에 받혀 사망하였다.[6]그의 어머니의 죽음은, 레논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또 이미 (1956년, 14세 때) 모친을 유방암으로 잃은 매카트니와의 우정을 굳히는 요인으로도 되었다.

1958년 9월, 레논은 쿼리 뱅크 고등학교를 졸업 후 교장의 추천로 리버풀 컬리지 오브 아트 (Liverpool College of Art) 에 입학한다. 거기서 최초의 아내가 되는 신시아 파월과 만났다. 1959년 1월, 밴드의 멤버는 레논, 매카트니, 해리슨 3명이 된다. 이후 당분간, 드러머는 객원 멤버가 계속 하였다.

함부르크

이 때부터 리버풀 뿐만이 아니라, 함부르크의 클럽 등에서도 연주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레논은 함부르크의 악기점에서 첫번째 일렉트릭 기타인 리켄배커 325를 구입했다.

1960년 1월, 레논의 설득으로 리버풀 컬리지 오브 아트로의 친구, 스튜어트 섯클리프가 멤버에 참가해 헤프너 No. 333 베이스를 연주했다. 밴드명도 「쿼리멘」에서 「조니 & 더 문 독스」그리고 「더 실버 비틀즈」로 변했다. 8월 「더 비틀즈」가 되어 비트 베스트가 가입했다.

1961년 4월 함부르크에서 스튜어트는 화가에 전념하기 위해 탈퇴하였다. 그러자 레논은 곧바로 매카트니 설득해 베이시스트로 한다. 폴은 헤프너 500/1을 연주하게 된다.[7]또, 레논은 이 때, 클라우스 부어만의 가입을 포기하게 있다. 덧붙여 스튜어트는 연인 아스트리드 커처와 함부르크에 남지만 곧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6월 독일에서 활동하고 있던 영국인 가수 토니 셰리던의 백 밴드로서 「My Bonnie」를 녹음했다.

브라이언 에프스타인과의 만남

1961년 12월 존들은 「마이 보니」를 사러 온 손님으로부터 비틀즈를 안 레코드점 경영자 브라이언 엡스타인과 매니지먼트 계약을 맺으면서 이 때부터 런던의 레코드 회사에서 비틀즈의 레코드 판매가 시작되었다.

1962년 1월 1일데카 레코드의 오디션을 받았으나 불합격 하였다.

6월에 팔로폰과 레코딩 계약을 맺는다. 8월에 피트 베스트를 해고하고 이전부터 교류가 있었던 「로리 스톰 & 더 허리케인즈」의 드러머, 링고 스타가 가입한다.

10월 5일 「더 비틀즈」로 첫 정규 앨범을 냈다.

최초의 결혼

1962년 8월 23일, 신시아 파월이 임신한 것을 계기로 그녀와 결혼했다.

신시아와의 사이의 장남 줄리언 레논1963년 4월 8일에 탄생했다. 그러나, 부모님과 생활한 적이 없었던 레논은 줄리언에 어떻게 접하면 좋은 것인지 알지 못하고 당황하면서 「「어떻게 하면 줄리언이 기뻐할지 가르쳐 주지 않겠는가? 나는 방법을 모르겠다」라고 존이 물었던 적이 있다」라고 매카트니는 말하고 있다. 줄리언도 후에 「폴은 꽤 빈번히 놀아 주었어, 아버지보다. 우리들은 좋은 친구였다. 그 무렵의 나와 폴이 함께 놀고 있는 사진은, 아버지와의 사진보다 훨씬 많다」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 발언

1966년 3월 4일, 런던 이브닝 스탠다드지의 모린 클리브와의 인터뷰에서 존은 다음과 같은 발언을 행했다. (More popular than Jesus)

"기독교는 사라져서 없어져. 그런 일을 논의할 필요는 없다. 나는 올바르고, 그 올바름은 증명된다. 우리들은 지금 예수보다 인기가 있다. 록큰 롤과 기독교. 그 어느 쪽이 먼저 없어질까는 모른다. 예수는 올바랐다. 그렇지만 제자 들이 시시한 범인이었다. 나에게 말하게 하면, 놈들이 기독교를 비틀어 멸했다"

이 발언은 영국에서는 거의 무시되어 큰 반향을 부르지 않았지만, 동년 7월에 미국의 팬 매거진 「데이트 북」에 재수록되면, 바이블 벨트 (기독교 근본주의가 신봉되는 남부나 중서부) 의 보수종교 단체에 의한 안티 비틀즈 활동에 결합되었다. 라디오 국은 비틀즈의 곡의 방송을 금지해, 그들의 레코드나 상품이 태워졌다. 스페인바티칸은 존의 말을 비난해, 남 아프리카 공화국은 비틀즈의 음악의 라디오 방송을 금지했다. 최종적으로, 1966년 8월 11일에 존은 시카고에서 이하와 같이 해명 회견을 실시해, 바티칸도 그의 사죄를 받아 들였다.

"TV가 예수보다 인기가 많다고 했으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친구 (여기자 클리브) 에게 얘기하던 중이었고, 우리 자체가 아닌 남들이 우리를 보는 비틀즈로서 "비틀즈"란 단어를 쓴 것이다. 나는 그저 예수를 비롯한 것들보다 "그 밴드"가 애들과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는 말을 한 것이다. 하지만 나는 말실수를 해버렸다."

존과 요코

1966년에 비틀즈가 라이브 투어를 중지한 후, 존은 영화 「How I Won The War」에 출연. 11월에는 런던의 인디카 갤러리에서 그는 후에 두 번째 아내가 되는 오노 요코를 만났다. 미술 학교 시절에 동양 문화를 전공하고 있던 친구가 있던 것으로부터 일본이나 동양 문화에 흥미를 가지고 있던 존은, 이나 의 개념에 강한 호기심을 가지면서 이를 잘 반영시킨 요코의 예술에 강한 흥미를 나타냈다. 요코의 개인전에 나간 레논이 본 요코의 작품에 YES라는 말을 확대경으로 보는 장치가 있어서 레논이 그것을 대단히 마음에 들어 한 일화는 유명하다.

두 명은 동년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녹음 기간보다 더 요코의 개인전에 레논이 투자하는 등 교제를 시작했다. 존은 1968년 2~4월의 인도에서 수행 중일 때도 요코와 편지 왕래로 서로 연락을 하고 있었다. 같은 해 5월, 요코와의 사랑을 더해간 존은, 신시아가 여행 중일 때 요코를 자택에 불러 뒤 요코와 동거 생활을 시작했다. 신시아는 그 해 7월에 이혼 신청을 실시하였고 11월 8일에 이혼했다.

1969년, 몬트리올의 퀸 엘리자베스 호텔에서 Bed-In 중 「Give Peace a Chance」를 녹음 중인 존 레논 (왼쪽), 오노 요코 (오른쪽), 티모시 리어리 (가운데).

1969년 3월에 존과 요코는 지브롤터에서 식을 올리고 신혼 여행으로 방문한 암스테르담몬트리올에서 「Bed-In」이라는 평화 호소 퍼포먼스를 실시했다.

결혼 후 머지 않아 존은 미들 네임의 윈스턴(Winston,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을 기념하여 이름이 붙여졌다)으로부터 오노(Ono)로 바꾸어달라고 요청했지만, 변경은 인정되지 않았다. 여권, 영주권에서는 존 윈스턴 오노 레논(John Winston Ono Lennon)으로 표기되었다.

레논과 요코 커플은 기묘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많은 매스컴의 먹이가 되는 한편, 반전 운동에서 중요한 인물로도 보여질 수 있었다. 이 밖에 1969년 이후 존은 요코와 함께 플라스틱 오노 밴드로서의 활동이나 베트남 전쟁의 반대 및 평화를 요구하는 활동에 참가했다. 영국이 베트남 전쟁의 지지를 표명한 것 때문에 대영제국 훈장을 반환했다. 「배기즘」이나 각 국 정상들에게 평화의 의미로 심기를 바라면서 도토리를 보낸 것(둘 다 1969년) 등 요코와 공동으로 실시한 퍼포먼스 아트, 「Bed-In」(1969년)이나 'War Is Over (If You Want it) '(1971년)의 가두 광고를 실시했다.

존의 본격적인 솔로 활동 전에 두 명은 전위적인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Unfinished Music No. 2: Life with the Lions」, 「Wedding Album」의 3매의 앨범을 발표했다. 또 존의 솔로 때 발표한 앨범과 짝을 맞춰 「Yoko of mind」(1970년), 「Fly」(1971년), 「Infinity of the Universe」(1972년), 「Feel of Space」(1973년) 가 발표되어 각각 존이 참가했다.

그 밖에 둘이 같이한 앨범으로 「Some Time in New York City」(1972년), 「Double Fantasy」(1980년), 「Milk and Honey」(1984년) 가 발표되었다.

솔로 활동

존은 비틀즈로 활동하던 시기인 1968년에 솔로 활동을 개시했다. 다음 해인 1969년부터 1976년에 휴식기를 가질 때까지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이름으로 작품을 발표했다. 명칭에 약간의 경향이 있지만, 이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요코와의 유닛으로 멤버는 유동적이었다. 초기에는 베이스로 비틀즈의 데뷔 이전부터의 아는 사람이었던 클라우스 부어만, 드럼은 앨런 화이트짐 켈트너, 피아노는 니키 홉킨스가 주로 담당했다.

1969년, 싱글 「Give Peace a Chance」, 「Cold Turkey」를 발표하고 같은 해 12월에는 토론토에서 플라스틱 오노 밴드가 공연한 것을 수록한 라이브 앨범 「Live Peace in Toronto 1969」를 발표했다. 이 공연에는 클라우스 부어만, 에릭 클랩턴, 앨런 화이트가 참가했으며 이 공연 영상은 DVDSweet Toronto」에 수록되었다.

1970년대

비틀즈가 아직 해체하지 않았던 1970년 2월에 멤버 조지 해리슨도 참가한「Let It Be」와 거의 동시기에 「Instant Karma!」를 발표하면서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3위, 영국 싱글 차트에서 5위를 기록하면서 골드 디스크를 획득했다.

1970년 4월 10일, 폴이 비틀즈에서 탈퇴함을 밝혀 사실상 비틀즈가 해체된 후, 미국의 아서 야노프 박사가 제창한 정신요법인 원초 요법을 받았다. 약 반 년간 후, 비틀즈의 멤버인 링고 스타 (드럼), 클라우스 부어만 (베이스), 게스트에 빌리 프레스턴과 같이 작업하여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을 제작해 발표했다 (미 6위, 영 8위). 또한「Mother」가 싱글로서 발표되었다.

1971년 6월, 앨범 「Imagine」의 제작을 개시했다 (발표는 10월). 여기에서는 조지 해리슨 (기타), 앨런 화이트 (드럼), 짐 켈트너 (드럼), 킹 커티스 (색소폰) 가 참가했다. 이 앨범은 미국 1위, 영국 1위를 기록하며 대히트를 기록했다. 9월, 존은 활동 거점을 미국 뉴욕으로 옮겨서 그리니치빌리지에 있는 아파트에서 살았다. 여기서 많은 반체제 활동가와 뮤지션을 알게 되어 정치적 활동에 적극 참가했다. 대표적으로 대마 소지로 통상 형량보다 무거운 10년간의 금고형을 받은 반체제 활동가 존 싱클레어의 구제 콘서트에의 출연한 것과 애티커 형무소의 입소자 가족을 위한 자선 콘서트 (모두 1971년 12월) 등이다. 존은 공식으로 특정 정당을 지지한 것은 한번도 없었지만, 「사람들에게 힘을, 민중에게 권력을」이라고 좌익적인 프레이즈를 세워 미국내에서 데모 행진을 했다. 이 시기의 FBI에 의한 감시에 대해서 존의 사후에 관계자의 소송을 통해 방대한 양의 조사보고서가 공개되었다[8].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존의 대마 불법 소지에 의한 체포력을 이유로 한 미국에의 재입국 금지 처분에의 재연장의 수속을 계속 취했다[9].

1972년 2월에 TV프로그램 「마이크 더글라스 쇼」에 출연, 소년 시대부터 선망의 대상이었던 척 베리와 공동 출연했다. 5월에 워싱턴 스퀘어의 교회에서 자선 콘서트에 출연했다. 6월에 발표한 뉴욕 로컬 밴드 엘리펀츠 메모리가 반주를 맡은 「Some Time in New York City」는 형무소에서의 폭동, 인종문제나 성차별 문제, 북 아일랜드 분쟁, 미국영주권에 붙어 불릴 뿐만 아니라, 앨범 재킷은 알몸으로 춤을 추는 리처드 닉슨마오쩌둥의 합성 사진이 사용되었다. 1972년 8월 30일, 존은 엘리펀츠 메모리와 함께, 정신 발달 지체 아동을 돕기 위한 2회의 자선 콘서트 「One to One」을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었으며 스티비 원더와 「Give Peace a Chance」같이 나온 것 이외에 비틀즈 시기의 곡인 「Come Together」를 같이 공연했다. 이 콘서트에서의 모습은 1986년Live in New York City」로 발표되었다. 또한 같은 해 9월에 근위축증 환자를 위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1973년 4월 1일, 존은 요코와 뉴욕에서 회견을 열어, 가공의 국가 「Nutopia」의 건국을 선언했다. 또 링고의 솔로 앨범 「Ringo」에 참가하여 「I'm the Greatest」를 작곡하여 조지, 링고와 같이 연주했다. 또한 11월, 앨범 「Mind Games」를 발표했다. 그 전 9월에, 존은 요코를 떠나 개인 비서 메이 팡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에서 생활을 시작하여 이른바 「Lost weekend 」로 알려진 시기를 보냈다. 이 시기엔 링고나 해리 닐슨, 더 후키스 문과 보냈다. 또한 전처 신시아와의 사이에 태어난 줄리언과 재회했으며 비틀즈의 멤버와도 교류했다.

1974년 3월부터는 해리 닐슨의 「Pussy Cats」을 제작했다. 그리고 같은 해 자신이 직접 제작한 앨범 「Walls and Bridges 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롤링 스톤 잡지에서 「Imagine」이래 레논의 최고 걸작이라고 평가되었으며, 솔로로 2번째 미국 1위를 획득했다. 또 이 안에서 「한밤 중을 힘차게 달릴 수 있다」와「Surprise, Surprise」으로 엘튼 존과 공동 출연했다. 또한 해리 닐슨과 함께「Old Dirt Road」를 작곡했다. 이 앨범에서는 11월에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미국 1위), 「Number 9 Dream」(미국 9위) 이 각각 싱글로 출시되었다.

동시기, 비틀즈 시기의 곡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를 엘튼 존과 공동 출연했다. 이 곡은 싱글로 출시되어 되어 엘튼은 3번째 미국 1위를 획득했다. 그 후, 11월에 엘튼 존의 콘서트에 게스트로 출연,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I Saw Her Standing There」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로 공동 출연했다. 콘서트 후 존은 요코와 재회했다고 일설에는 얘기되며 1975년 1월에는 「ost weekend」를 끝내고 요코에게 돌아왔다. 이 시기에는 믹 재거의 곡 「Too Many Cooks (Spoil The Soup)」를 프로듀스한다. 이 곡은 한동안 미발표 상태로 남았다가 2007년에 발표된 「The Very Best of Mick Jagger」에 수록되었다. 또, 링고의 앨범 「Goodnight Vienna」에도 참가해 「Only you」를 프로듀스했다 (미국 6위).

1975년 2월에는 커버 앨범 「Rock 'n' Roll」을 발표했다. 이 앨범 중 벤 E. 킹의 곡을 커버한 「Stand by Me」가 히트했다. David Bowie와의 친해지면서 보위의 「Young Americans」(3월 발표) 로 비틀즈 시기의 곡 「Across the Universe」를 같이 연주했다. 또한 보위, 카를로스 알로마와 「Fame」을 같이 작곡하고 코러스와 기타로 참가했다. 이 작품으로 보위는 첫 미국 1위를 획득했다. 보위에 따르면 스튜디오에서 작업 중 존이 「Fame!」라고 외친 소리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보위는 인터뷰에서 「그토록 독창성 있는 사람은 장래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6월에는 TV프로 「A Salute to Sir Lew Grade」에 출연했다. 같은 해 10월 9일, 본인의 생일과 같은 날에 숀 레논이 탄생했다. 동년 10월에는 베스트곡을 모은 「Shaved Fish」를 발표했다.

1976년에 링고의 솔로 앨범 「Ringo's Rotogravure」에 「Cookin' (In the Kitchen of Love)」를 써준 후, 둘째 아들 숀의 양육에 전념으로 하기 위해 음악 활동을 중단했다. 그리고 7월 27일에 미국의 영주권을 취득했다. 그 후, 거의 5년간 존은 가사일에만 전념하고 있었지만, 그 사이에도 자택에서 짬을 내어 작곡 활동을 하면서 테이프에 녹음하였다. 그 시기에 만들어진 노래의 데모 테이프들은 1998년에 「John Lennon Anthology」로 발표되었다.

1980년대

레논은 죽기 전까지 정치 및 사상적으로 보수성을 띄면서 급진주의를 경계하였다. 다큐멘터리 「비틀즈 스토리즈」에서 레논이 죽기 전 2년간의 어시스턴트였던 프레드릭 시먼이 레논은 로널드 레이건의 지지자라고 밝혔다. 다만, 프레드릭 시먼은 자전 작가인 알버트 골드먼과 함께 논란이 있는 인물이기 때문에 신뢰도는 떨어진다.

1980년 6월에 버뮤다 제도에서 녹음을 개시했다. 8월에 스튜디오에서 신곡의 레코딩을 개시했다. 숀이 우연히 친구의 집에서 본 영화 「노란 잠수함」 중에서 존을 찾아내 「아빠는 정말로 비틀즈였어요?」라고 말한 한마디가 계기가 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본인은 동년의 인터뷰 중에서 부정하고 있다. (의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폴 매카트니Coming Up가 계기었다는 설도 있다)

1980년 11월, 존은 요코와의 공동 작곡한 앨범 「Double Fantasy」(미 1위, 영 1위) 를 발표했다. 이 앨범에서는 「(Just Like) Starting Over」(미 1위·영 1위), 「Woman」(미 2위·영 1위), 「Watching the Wheels」(미 10위) 등이 히트하며 앨범도 전세계에서 500만매 이상 팔렸다.

사후, 「Double Fantasy」는 1982년그래미상 연간 최우수 앨범상을 '존 레논과 오노 요코'로 획득하였다.

음악성의 발전

비틀즈 시대

1960년대, 비틀즈는 팝 뮤직, 특히 록큰롤에 큰 영향을 가져와, 이 장르의 발전에 공헌했다. 레논이 단독 혹은 중심이 되고 쓴 곡은, 내성적이며, 일인칭으로 쓰여진 개인적인 내용인 것이 많다. 레논의 이러한 작풍과 매카트니의 포지티브인 작풍과는, 비틀즈의 악곡에 대해 호대조를 이루고 있어 비틀즈 팬이라도 레논파와 매카트니파로 나누어지는 것이 많다.

레논과 매카트니의 공동작업으로 비틀즈는 「She loves you」 「I Want to Hold Your Hand」 「Eight Days a Week 」 등에 둘 수 있는 해방감이 있는 멜로디를 낳았다. 「I Should Have Known Better 」 「A Hard Day's Night」 「Help!」는 실질적으로는 레논이 쓴 곡이지만, 「Michelle 」 「We Can Work It Out 」등에서 들어지는 약간 브르지로 마이너조의 멜로디는, 공동작곡자인 매카트니의 낙천적으로 들리는 멜로디에 그늘을 청구서곡에 애수감을 가져왔다고 존은 말했다.[10]

말년에는 그의 단독작이 증가해 「Good Night 」 「Across the Universe」 「Because 」과 같은 세련된 아름다운 멜로디를 가지는 곡이나, 「Yer Blues 」 「Come Together」와 같은 블루스・락의 곡을 발표했다.

솔로 시대

이러한 비틀즈 시대에 비해, 솔로에서는 보다 심플한 화성의 진행과 가사에 특징지워지는 곡조로 변화해, 「Yer Blues」 「Come Together」의 노선을 잇는 「Mother」 「Cold Turkey」 「Well Well Well」 「Gimme Some Truth 」 「I'm Losing You」와 같은 헤비-락을 발표하고 있다. 그리고, 「Instant Karma!」나 「Nobody Told Me」와 같은 빠른 말의 랩조의 보컬이 특징의 경쾌한 락도 창작되었다.

또 「 Love 」 「Woman」 「Grow Old with Me」와 같이 아름다운 멜로디의 곡이 있을 뿐으로 비틀즈 시대의 「Strawberry Fields Forever」 「Julia 」와 같이 섬세한 멜로디로, 한편 불안정한 화성 진행을 나타내는 독특한 곡조는, 동시기(1967~68년)에 원곡이 쓰여졌다고 여겨지는 「Jealous Guy 」로 발전했다.

그리고 레게칼립소의 리듬은 비틀즈 때의 「Ob-La-Di, Ob-La-Da 」의 시작 부분에서의 피아노 연주로 먼저 선보였지만, 한층 더 발전하여 「Mind Games」에선 본격적인 레게를 도입했다. 1980년의 인터뷰에서는 레게의 리듬을 공동 출연 뮤지션에게 설명하는 것을 필요로 했다는 발언이 있다[11]. 컨템퍼러리 알앤비 조의 곡이 많은 「Walls and Bridges」의 「Going Down on Love 」에서는 비틀즈의 「Happiness Is a Warm Gun 」의 통작 형식[12]을 답습한 복잡한 악곡 구성에 도전했다.

이 중에서 레논의 작곡의 도달점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불과 15분에 쓰여졌다고 하는 「Woman」이다. 이 안에서 반소절 마다 변화하는 화성 진행에 따라서, 기타의 아름다운 아르페지오의 프레이즈가 연주되어 최종부에서 반음계 상승 등 카덴트에 다양한 테크닉이 구사된 악곡이 되었다. 곡의 착상은 비틀즈 시대의 「Girl 」을 발전시켰다고 레논이 1980년의 인터뷰에서 말하고 있다[11].

편곡과 제작

「Let It Be」의 어레인지를 높게 평가한 레논은 비틀즈 말기의 싱글 「Instant Karma!」에서 프로듀서였던 필 스펙터를 그의 초창기 솔로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 「Imagine」로 다시 기용했다. 스펙터는, 현악기를 이용한 두꺼운 소리에 의한 편곡이 특징으로, 「소리의 벽(Wall Of Sound)」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 작품과도 어레인지는 그것과는 달라, 레논이 목표로 하는 심플한 소리 만들기가 되었다[11].

솔로 후기의 「Mind Games」 「Walls and Bridges」 「Rock 'n' Roll」, 복귀 후의 「Double Fantasy」에서는, 그가 직접 프로듀스( 「Rock 'n' Roll」에서는 일부를 필 스펙터가 담당, 「Double Fantasy」는 잭 더글라스 , 요코가 공동 프로듀스)에 의해 공연자에게 경의를 표하면서 세션 중(안)에서 어레인지를 조립해 간[13]. 이것이, 공연자의 경의를 얻고 있었다고 하는 많은 발언(데이비드 스피노자 ,토니 레빈 등)이 있다[14]. Mind Games 제작에 참여한 스피노자에 따르면, 레논은 스튜디오 뮤지션을 사용해 기본 라인을 녹음한 뒤, 레논 자신의 기타, 슬라이드 기타 등에 의하는 소리를 치밀하게 거듭하고 오케스트레이션을 생산해[15], 어덜트 오리엔티드 락의 선구가 되었다[16]. 비틀즈 이래의 작곡 어법이 된 베이스의 크리시[17], 분산 화음적인 어프로치도 도입하고 있다. 「Walls and Bridges」에서는 현악기, 호른도 다용한 편곡을 실시했다.

또, 메아리를 효과가 있게 한 「Instant Karma!」, 「Mother」, 「Nobody Loves You (When You're Down and Out) 」, 「(Just Like) Starting Over」등의 작품은, 레논 자신이 중음역에 있어서의 풍부한 소리질의 재현, 배음의 효과를 의식하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18].

폴 매카트니와의 관계

비틀즈 해산 직후의 두 명의 불화는 당사자 뿐만 아니라, 팬이나 매스컴도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해산 후 당분간은 서로의 곡 중에서 서로를 헐뜯거나[19], 매카트니가 뉴욕에 있을 때, 레논에게 전화하면 「네가 나에게 무슨 용무가 있다는 거야?」라고 반문하여 결국에는 「Yeah, yeah.」라고 하는 말씨에 폴이 「그런 형사 코잭같은 말투(뉴욕 억양의 미국 발음) 하지 말아라!」라고 해 말하는 등 깊은 불화가 존재했다. 하지만 비틀즈 앨런 클라인과의 매니지먼트 문제, 애플 레코드의 관리 등 일련의 소송이 해결되는 1970년대 중순, 매카트니가 자신의 밴드 「윙스」로 미국 투어를 갔을 때에는 때때로 레논의 집을 방문하는 등 다시 화해를 하게 되었다. 또 1974년에는 스티비 원더와 함께 잼 세션을 하면서, 「Stand by Me」나 「Lucille」 등 로큰롤 스타일의 곡을 함께 연주한 테이프도 남아 있다. 그리고 현재는 매카트니가 비틀즈의 악곡을 노래할 때에 레논의 파트를 노래하거나 레논의 솔로곡을 커버하는 등 있다.

레논과 매카트니가 마지막에 만난 날은 TV 프로그램의 소재로 「 「Saturday Night Live 」에 비틀즈를 출연시킨다고 하면 얼마나 지불해야 할까?」, 「일류 클래스의 표준 개런티로 3200 달러」라고 하는 내용을 보았다. 이에 레논과 매카트니는 분위기가 들떠, 「다운타운이라면 곧 근처다. 지금부터 2명이서 타자구!」라고 의기 투합하여 달아 올랐다. 비록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폴은 「옛날로 돌아올 수 있던 것 같아 매우 기뻤다」라고 말했다.

또 레논은 「폴의 욕을 해도 좋은 것은 나 뿐이다. 다른 놈이 말하는 것은 허락하지 않는다」라고 발언했다. 해리 닐슨이나 비서 메이 팡조차 폴의 욕을 하는 것은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 레논은 암살당한 날인 1980년 12월 8일의 인터뷰에서 「인생에서 2번 훌륭한 선택을 했다. 폴과 요코가 그 선택이다. 매우 좋은 선택이었다. 」[20]라고 말했다.

존 레논 살해 사건

1980년 12월 8일 오전, 레논은 집인 다코타 빌딩에서 사진 작가 애니 리보비츠와 함께 「롤링 스톤」게재용 사진을 촬영하고 있었다. 11월에 발매된 새 앨범 「Double Fantasy」에서 레논은 헤어 제품을 전혀 하지 않은 바가지 머리 헤어스타일에 트레이드마크였던 안경을 벗으면서 비틀즈 전성기의 무렵과 같이 젊어진 모습이 화제를 불렀다. 그리고 이 날의 레논은 한층 더 짧게 머리카락을 잘랐고, 포마드로 리젠트 스타일로 정돈하고 안경을 벗고 촬영하였다. 그 모습은 데뷔 전, 함부르크에서 활동하던 시기를 연상하게 하였다. (10월경에는 이모 미미에 전화로, 「학생일 때의 넥타이를 내 달라」라고 부탁하였다.)

레논의 자택이 있던 다코타 빌딩

촬영을 끝내고 자택에서 잠깐 느긋하게 쉰 후, 17시에는 요코의 신곡 「Walking on Thin Ice」의 믹스 다운 작업 때문에 레논은 뉴욕 시내에 있는 레코딩 스튜디오 「더 히트 팩토리」에 나갔다.

한편, 레논 부부는 「더 히트 팩토리」에서 라디오 프로그램의 인터뷰를 한다. 이 최후의 인터뷰에서 레논은 신작과 근황, 쿼리맨 시절, 매카트니와 해리슨과의 만남에 대해 말했다. 그리고, 「죽는다면 요코보다 먼저 죽고 싶다」, 「죽을 때까지는 이 일을 계속하고 싶다」 등의 말을 하였다.[21]

22시 50분, 스튜디오 작업을 끝낸 레논과 요코가 탄 리무진이 아파트의 앞에 도착했다. 2명이 차에서 내렸을 때, 그 자리에 기다리고 있던 마크 채프먼이 어두운 곳으로부터 「레논?」이라고 불러 세우는 것과 동시에 권총을 양손으로 잡고 5발을 발사하여 4발이 레논의 가슴, 등, 팔에 명중하였다. 그는 「총에 맞았다! (I'm shot!)」라고 두 번 외친 후 아파트의 입구에서 몇 걸음 더 나간 뒤 쓰러졌다. 경비원은 즉시 911번에 전화했으며 몇 분 뒤 센트럴 파크의 경찰서로부터 경관이 도착했다.

경관이 도착했을 때 레논은 아직 의식이 있었지만 이미 피를 많이 흘려 위중한 상태였다. 그 때문에 2명의 경관이 그를 경찰차의 뒤에 실어 근처 루즈벨트 병원으로 데려갔다. 1명의 경관이 빈사에 빠져 있던 레논의 의식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질문했을 때 작은 목소리로 자신이 존 레논인 인 것을 밝혔고 등이 아픈 것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그의 목소리는 점차 약해져 갔다. 병원에 도착한 후, 의사는 심장마사지수혈을 실시했지만 레논은 혈액의 8할을 잃어버리면서 저체액성 쇼크로 루즈벨트 병원에서 23시가 지나서 사망했다. 레논의 사망시에 병원의 탄노이 스피커에서 흐르고 있던 곡은 비틀즈의 「All My Loving」이었다고 한다.

사건 후, 채프먼은 현장에서 도망치지 않고 손에 넣고 있던 「Double Fantasy」를 내던지고 경관이 도착할 때까지 「호밀밭의 파수꾼」를 읽거나 보도를 여기저기 안절부절하면서 걷고 있었다. 그는 체포 할 때도 저항하지 않고 자신 혼자 범행을 저질렀다고 경관에게 전했다. 피해자가 레논인 것을 안 경관이 "너는, 자신이 무엇을 저질렀는지 알고 있나?"라고 물었을 때 그는 "미안하다. 자네들의 친구라는 것은 몰랐다"라고 대답했다[22].

병원에서 레논의 죽음을 전해들은 요코는 "그는 자고 있나?"라고 되물었다고 한다[23]. 뒤에 레논을 담당했던 의사 스티븐 린은 병원에서의 기자 회견에서 레논의 사망을 확인하면서 「살리기 위해 열심히 노력을 했고 수혈 및 많은 처치를 하였지만 그를 살릴 수 없었다」라고 말했다.

레논의 피살에 관해서, 레논의 반전 운동이나 그 영향력을 싫어한 「CIA 관여설」등의 음모론도 나왔으나 공식적으로는 단독범행으로 결론 지었다. 채프먼은 뉴욕 주 법에 근거해 가석방의 가능성이 있는 종신형 판결을 받았다. 채프먼은 복역 시점부터 20년이 경과한 2000년부터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으로 2년마다 가석방 심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본인이 반성하지 않는다', '재범의 가능성이 높다', '유족이 강하게 반대한다', '석방되면 레논의 팬들의 복수로 인해 살해당할 가능성이 있다' 등의 이유로 모두 가석방 신청을 각하되어 2014년 시점까지도 복역 중이다.

다코타 빌딩에서 가까운 센트럴 파크에 있는 레논 추모비

이 사건은 나머지 비틀즈 멤버들에게도 큰 충격을 주었다. 캐나다에서 살고있었던 링고 스타는 뒤에 아내가 되는 여배우 바바라 바흐와 함께 뉴욕으로 가서 요코와 숀을 조문했다. 매카트니는 「Here Today」를, 해리슨은 「All Those Years Ago」(매카트니와 그의 아내 린다 매카트니, 데니 레인, 조지 마틴이 백 코러스를 맡고 링고가 드럼으로 참가) 를 레논의 추도곡으로서 각각 발표했다.

또 전 세계의 뮤지션들도 이 사건에 충격를 받았다. 비틀즈와 인기를 양분했던 롤링 스톤스의 기타리스트, 키스 리처즈는 「존을 죽인 범인에게 미움이 희미해지지 않고 더해질 뿐이다」, 「존을 죽인 놈을 내가 반드시 쏘아 죽여 준다」라고 말했다.

사후

차세대의 뮤지션에게 준 영향

레논은 같은 비틀즈 멤버인 매카트니와 함께 20 세기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뮤지션으로서 알려져 있다.「롤링 스톤 잡지가 선택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명의 가수」에서 5위를 기록했고 같은 잡지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개의 아티스트」에서 38위,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명의 기타리스트」에서 55위를 기록했다. 또한 「Q가 선택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명의 가수」에서 5위[24].

또한 레논이 영향을 준 뮤지션으로서 동료 매카트니와 해리슨, 70년대에 공동 출연한 엘튼 존, 데이비드 보위, 하리 닐슨, 그리고 U2보노 ,닐 영 , 오아시스리엄 갤러거등이 있다.[25].

잭슨 브라운은 「그는 항상 진실을 말했다」라고 찬사를 보내고 있다[26]. 영화 「이매진」에서는 마일스 데이비스와의 교류도 알려진다.

본방으로 편집된 Nowhere 잡지 중에서, 더 폴리스의 멤버로 활약했던 스팅는 「우리와 같은 락 뮤지션이 무슨 일인지를 말할 수 있는 것은 존의 덕분이다」라고 말했다고 알리고 있다.

1995년 발매의 존 레논의 트리뷰트 앨범 「Working Class Hero 」의 라이너 노츠는 타임지의 기사를 소개하면서 「청자와 매우 친밀하고 개인적인 관계를 쌓아 올리는 희유인 뮤지션」 「복잡한 리듬, 코드 진행에 의해서 락의 한계를 확장해, 그 발전에 공헌했다」라고 평가했다.

또, 보컬의 이중 녹음에 힌트를 얻어 음향 처리 장치의 일종의 플렌징 개발에의 공헌, 보컬의 전기 처리를 도입한 것으로도 알려진다.

로마 교황청의 사면

레논이 죽은지 28년이 지난 2008년 11월,로마 교황청은 존의 발언을 용서한다는 성명을 교황청의 일간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 발표했다. 교황청은 유명해진 젊은이가 호언한 것에 지나지 않는 의외의 성공이라는 견해를 나타내어 사건을 수습시켰다[27].

음반

각주

  1. “The Lennon-McCartney Songwriting Partnership”. bbc.co.uk. 2005년 11월 4일. 200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2. Britishhitsongwriters.Com - Home
  3. “Songwriters Hall of Fame”. 2009년 4월 11일에 확인함. 
  4. 브라운, 잭슨 (2008년 11월 12일). “100 Greatest Singers of All Time”. 롤링 스톤. 2009년 2월 4일에 확인함. 
  5. 레논과 매카트니는 근처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이 날까지 한번도 얼굴을 맞대었던 적은 없었다고 한다.
  6. 최초의 아내 신시아의 회고책 「존 레논에게 사랑해」(2007년)에 따르면, 레논의 어머니를 눈치챈 경관이, 당황해서 브레이크와 액셀을 밟아 달리한 것으로 일어난 사고이다. 이 경관에게 내린 판결은 무죄였다.
  7. 스튜어트와 함께 베이스를 연주하고 있는 사진이 있다.
  8. 「존 레논의 진실-FBI 감시 기록 DE‐4~HQ‐33」(존 Wiener- 저, 가도카와 쇼텐, 2000년). 또 일련의 사건을 정리한 영화 「PEACE BED/미국 vs존 레논」이 2006년에 공개되었다.
  9. 존은 재입국 금지 처분에의 항고와 재판을 1975년 10월까지 실시해, 최종적으로 존측이 승소했다.
  10. 슈우에이샤간: 「플레이 보이」(1981년) 1월호 「존 레논・라스트 인터뷰」
  11. 존・레논 라스트・인터뷰(문고) 존 레논(저), 오노 요코(저), 앤디 피브르즈(저), 아케자와나츠키(저) 중 공문고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lastintavew"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2. 비틀즈 음악론-음악학적 시점으로부터, 타무라화유키오저도쿄 서적
  13. 신코뮤직크간: 존・레논 전곡 해설 조니 로건(저), 마루야마 쿄코(번역)
  14. 신코뮤직크간: 기타 매거진, 토니・레비 특집, 인터뷰 수록 기사
  15. 신코뮤직크간: 기타 매거진, 존 레논 특집, Spinoza・인터뷰 수록 기사
  16. 뮤직 매거진간: 레코드 콜렉터즈 2002 vol. 12, No. 12, 96-99차익 건조
  17. 비틀즈 음악론-음악학적 시점으로부터, 타무라화유키오저
  18. 비틀즈의 만드는 방법」1994 야마시타 쿠니히코저
  19. 매카트니의 앨범「Ram 」에서 레논에 대한 냉소를 받아치기 위해 「Imagine」에서의 「Ram」의 패러디, 「How Do You Sleep?」에 있어서의 매카트니 작품이 경음악같다고 하는 가사, 「Wild Life」에서 「Dear Friend」가 레논을 가리키는 등
  20. 「존 레논 사랑의 유언」(고단샤 1980년 12월 8 일수록인터뷰, 1981 연간행)
  21. 이 인터뷰의 일부는 2001년에 발매된 된 앨범 「Milk and Honey」의 리마스터 앨범에 수록되었다
  22. Albert Goldman, The Lives of John Lennon, Chicago Review Press, 2001 (1988), p. 687.
  23. Albert Goldman, The Lives of John Lennon, Chicago Review Press, 2001 (1988), p. 688.
  24. Greatest%20 Singers “Rocklist.net ... Q Magazine List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Q - 100 Greatest Singers》. 2007년 4월. 2013년 5월 21일에 확인함. 
  25. 잡지 「rolling stone」에 대해.
  26. [1]
  27. 로마교황청, J・레논의 「그리스도」발언을 허락하는 로이터 통신 2008년 11월 23일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