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즈의 음반 목록
![]() 1964년의 비틀즈 | ||
음반 발매 내역 | ||
---|---|---|
↙정규 음반 | 12 | |
↙라이브 음반 | 6 | |
↙컴필레이션 | 54 | |
↙미니 음반 (EP) | 21 | |
↙싱글 | 63 | |
↙영상 음반 | 11 | |
↙뮤직 비디오 | 64 | |
↙매쉬업 | 2 | |
↙박스 세트 | 15 |
비틀즈는 출신지 영국에서 1962년 ~ 1970년 사이 12장의 정규 음반, 13장의 EP, 22장의 싱글을 발매했다. 밴드의 국제 음반의 경우 복잡한데, 다른 나라에서는 가끔 다른 버전이 나오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북미의 캐피틀 레코드가 비틀즈 초기 시절에 자주 저지르던 일이다. 비틀즈의 음반 목록은 비닐 형식으로써 장시간의 LP, 단시간의 EP 및 싱글의 발매로 시작되었다. 해가 흐르면서 카세트, 8트랙, 콤팩트 디스크, MP3 및 24비트 FLAC 형식의 USB 플래시 드라이브으로도 발매되었다. 볼트 아이템 및 리믹스 매시업도 제작되었지만, "핵심 카탈로그"로 여겨지는 1960년 ~ 1970년의 녹음은 217개의 곡으로써 총 10시간에 가까운 분량이다. 여기에 더해 비틀즈가 발표한 다섯 트랙은 이전 발표한 버전과 다른 버전으로써 발표되기도 했는데, 그것은 〈Love Me Do〉, 〈Revolution〉, 〈Get Back〉, 〈Across the Universe〉, 〈Let It Be〉이다. 독일에서는 〈Komm, Gib Mir Deine Hand〉, 〈Sie Liebt Dich〉가 원곡과 다른 버전으로 발표되었다. 〈Yellow Submarine〉, 〈All You Need Is Love〉는 이전 음반에 수록된 바 있지만 《Yellow Submarine》에도 수록되었다.
비틀즈의 거의 대부분의 음반은 모노 및 스테레오로 발매되었다. 모노 음반을 듣는 사람이 많았던 당시, 비틀즈와 그들의 통상 프로듀서 조지 마틴은 처음에 녹음에 있어 모노 믹싱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주의를 기울였다. 비틀즈는 처음의 네 가지 음반에서는 모노 믹스를 제작하는 데만 관여했다. 스테레오 믹스는 그들의 관심 권외에 있었다. 1960년 말부터는 스테레오 음반을 듣는 사람이 더 흔해지면서, 마지막 두 음반 《Abbey Road》와 《Let It Be》는 스테레오 한정 믹싱 및 발매되었다. 1968년부터 영미에서는 싱글 〈Hey Jude〉와 음반 《The Beatles》으로 시작해, 비틀즈 소유의 애플 레이블로부터 새 음반이 발매되었다. 팔로폰과 캐피틀의 카탈로그 넘버는 계약상 이유로 계속 사용되었다.
비틀즈의 영국 음반 목록에서 CD가 출연한 시점은 1987년 ~ 1988년이다. 처음의 네 가지 음반은 모노 한정 발매되었고, 다른 음반은 스테레오 한정 발매되었다. 하지만 해당 형식의 초기 시절에 조지 마틴은 당대 최고의 기기를 활용해 디스크로 디지털 음원을 전환했지만, 21세기 기술의 표준을 충족하기는 역부족이었다. 그런 이유로 2005년부터 4년의 기간을 들여 원본 녹음을 최신 기술로 리마스터링을 진행, 2009년 9월 9일 애플과 EMI는 이 버전의 비틀즈 카탈로그를 CD 형식의 모노 및 스테레오 사양으로 발매했다.
비틀즈의 음반이 처음 CD로 발매됐을 적부터, 비틀즈의 핵심 카탈로그는 세계적으로 통합을 이루었으며, 이는 1963년에서 1970년 발매된 영국 정규 음반, 1967년 미국 LP 《Magical Mystery Tour》, 컴필레이션 《Past Masters》를 포함하고 있다. 후자의 두 음반은 영국 음반에는 존재하지 않은 1962년 ~ 1970년 사이의 음원을 담고 있다.
음반[편집]
정규 음반[편집]
![]() |
"핵심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정규 음반을 의미한다. |
제목 | 발매일 | 최고 차트 순위 | 판매량 | ||||||
---|---|---|---|---|---|---|---|---|---|
UK [1][2] |
AUS [3] |
CAN [4] |
FRA [5] |
GER [6] |
NOR [7] |
US [8][9] | |||
《Please Please Me》 ![]() |
|
1 | — | — | 5 | 5 | — | — | |
《With the Beatles》[B] ![]() |
|
1 | — | — | 5 | 1 | — | — | |
《Introducing... The Beatles》 |
|
— | — | — | — | — | — | 2 |
|
《Meet the Beatles!》 |
|
— | — | — | — | — | — | 1 | |
《Twist and Shout》 |
|
— | — | — | — | — | — | — |
|
《The Beatles' Second Album》 |
|
— | — | — | — | 50 | — | 1 | |
《The Beatles' Long Tall Sally》 |
|
— | — | — | — | — | — | — |
|
《A Hard Day's Night》 ![]() |
|
— | — | — | 5 | — | — | 1 | |
|
1 | 1 | — | — | 1 | — | — | ||
《Something New》 |
|
— | — | — | — | 38 | — | 2 | |
《Beatles for Sale》 ![]() |
|
1 | 1 | — | — | 1 | — | — | |
《Beatles '65》 |
|
— | — | — | 80 | 9 | — | 1 | |
《Beatles VI》 |
|
— | — | — | — | 15 | — | 1 | |
《Help!》 ![]() |
|
1 | 1 | — | 5 | 1 | — | — | |
— | — | — | — | — | — | 1 | |||
《Rubber Soul》 ![]() |
|
1 | 1 | — | 5 | 1 | — | — | |
|
— | — | — | — | — | — | 1 | ||
《Yesterday and Today》 |
|
— | — | — | — | 13 | — | 1 | |
《Revolver》 ![]() |
|
1 | 1 | — | 5 | 1 | 14 | — | |
|
— | — | — | — | — | — | 1 |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
|
1 | 1 | 7 | 4 | 1 | 1 | 1 | |
《Magical Mystery Tour》 ![]() |
|
31 | 48 | — | 2 | 8 | 13 | 1 | |
The Beatles ("The White Album") ![]() |
|
1 | 1 | 1 | 1 | 1 | 1 | 1 | |
《Yellow Submarine》[D] ![]() |
|
3 | 4 | 1 | 4 | 5 | 1 | 2 | |
《Abbey Road》 ![]() |
|
1 | 1 | 1 | 1 | 1 | 1 | 1 | |
《Let It Be》 ![]() |
|
1 | 1 | 1 | 5 | 4 | 1 | 1 | |
"—" 표시는 해당 국가에서 음반이 차트 진입에 실패했거나 발매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
- 주
- ↑ 본 틀은 각국에서 발매된 정규 음반을 망라한다.
- ↑ With the Beatles was released in Canada as Beatlemania! With the Beatles.
- ↑ 가 나 다 라 The original US release featured a different track listing to the UK release. The core catalogue uses the UK version.
- ↑ 가 나 다 The album also contains songs by George Martin and His Orchestra.
- ↑ Magical Mystery Tour originally peaked at number 31 in the United Kingdom as an import of the United States issue. 팔로폰 officially issued the album in the UK on 19 November 1976. It did not chart in Australia until October 1974.
각주[편집]
- ↑ Roach, Martin, 편집. (2009). 《The Virgin Book of British Hit Albums》. London: Virgin Books. 48쪽. ISBN 978-0-7535-1700-0.
- ↑ “Beatles”. Official Charts Company. 2013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Peak chart positions for releases in Australia:
- “Discography The Beatles”. 《australian-charts.com》. Hung Medien. 2011년 1월 3일에 확인함.
- Kent, David (2005). 《Australian Chart Book (1940–1969)》. Turramurra: Australian Chart Book. ISBN 0-646-44439-5.
- ↑ Peak chart positions for studio albums in Canada:
- The Beatles: “Top 50 Albums”. 《RPM》 10 (16). 1968년 12월 16일.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Yellow Submarine: “Top 50 Albums”. 《RPM》 11 (13). 1969년 3월 17일. 2012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Abbey Road: “LP Chart”. 《RPM》 12 (11). 1969년 11월 1일. 2014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Hey Jude (aka The Beatles Again):
- Let It Be: “RPM 100 Albums”. 《RPM》 13 (22). 1970년 7월 18일. 2012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Peak chart positions for releases in France:
- “Discographie The Beatles”. 《lescharts.com》 (프랑스어). Hung Medien.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 “Le Détail des Albums de chaque Artiste” (프랑스어). InfoDisc. 7 November 2011에 원본 문서 (To access, select "The BEATLES" from drop-down list and press "OK")에서 보존된 문서. 18 July 2013에 확인함.
- ↑ Peak chart positions for releases in Germany:
- “Home - Offizielle Deutsche Charts” (Enter "Beatles" in the search bar) (독일어). GfK Entertainment Charts. 2016년 5월 17일에 확인함.
- “Chartverfolgung / The Beatles / Longplay”. 《musicline.de》 (독일어). 미디어 컨트롤 차트. 2016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7일에 확인함.
- “Chartverfolgung / The Beatles / Single”. 《musicline.de》 (독일어). 미디어 컨트롤 차트. 13 December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0 January 2016에 확인함.
- “Musik-Charts durchsuchen” (To access, enter "Beatles" in first search field and select "Deutsche Album-Charts...ab 1962" search option). Charts Surfer. 2011년 1월 3일에 확인함.
- ↑ “Discography The Beatles”. 《norwegiancharts.com》. Hung Medien. 2013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The Beatles - Chart history”. 《Billboard》. 2017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The Beatles – Awards”.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3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Certified Awards”. 영국 축음기 협회. 2017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 (To access, enter the search parameter "Beatles")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ARIA 차트 – Accreditations – 2009 Albums”. 호주 음반 산업 협회.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Canadian certifications – The Beatles” (영어). 뮤직 캐나다. 2013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Gold & Platinum: Beatles”. 미국 음반 산업 협회. 16 October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 July 2013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Gold–/Platin-Datenbank (Beatles)” (독일어). Bundesverband Musikindustrie. 2009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Les Ventes & Les Certifications” (프랑스어). InfoDisc. 1 June 2009에 원본 문서 (To access, select "BEATLES" from drop-down list and press "OK")에서 보존된 문서. 19 July 2013에 확인함.
- ↑ “L'Économie De La Production Musicale Edition 2012” (PDF) (프랑스어). 프랑스 음반 협회. 77쪽. 2013년 7월 20일에 확인함.
출처[편집]
- Lewisohn, Mark (1988). 《The Beatles Recording Sessions》. New York: Harmony Books. ISBN 0-517-57066-1.
- Penman, Ross (2009). 《The Beatles in New Zealand ... a Discography》. ISBN 978-0-473-15155-3.
- Russell, Jeff (2005). 《The Beatles Album File & Complete Discography》. ISBN 1844034356.
외부 링크[편집]
- Discography on the Beatles' official website Archived 2016년 11월 28일 - 웨이백 머신
- Beatles LPs, EPs and singles all over the world
- A UK discography, including details on bootleg releases
- The Beatles in Canada, includes Canada-only discography
- The Beatles on Vee-Jay Records
- The Beatles album discography timeline on Histropedia
- The Beatles discography on the Beatles 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