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산국
于山國
?~1022년
정치

 ?~?

우해왕[1]
역사
 • 512년 6월
 • 930년 8월
 • 1018년 11월
 • 1022년
신라에 복속
고려에 복속
여진족 해적의 침입
고려에 흡수
기타
현재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우산국(于山國)은 원삼국시대[2]부터 조선시대 초기[3]까지 현재의 경상북도 울릉군울릉도와 부속섬을 다스리던 나라다.

역사[편집]

역사서에 첫 등장[편집]

244년 왕기위궁을 토벌하러 옥저 동해안에 도착했고 노인에게 동해에 사람이 사느냐 물으니 바다 동쪽에 섬이 있고 사람이 살고 있으나 여자만 있고 해마다 칠월이 되면 소녀를 가려 뽑아서 바다에 빠뜨린다고 하였다.[4] 그리고 섬에서 쓰는 언어가 옥저와 다르다고 설명한다.[5]

대마도 왜국과 결혼동맹[편집]

구전되어 오는 설화 속에 우산국의 마지막 왕인 우해왕과 왕비 풍미녀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6]

신라의 복속[편집]

고구려의 교역 항로에서 요충지였던 우산국을[7] 신라 장군 이사부가 정벌할 때, 무력에 의한 항복보다는 교묘한 계책을 써서 항복을 받으려고 하는 계획을 세웠는데 나무 사자를 만들어 배에 나눠 싣고 우산국 해안에 이르러 "만일 항복하지 않으면 이 맹수를 놓아 모두 밟아 죽이겠다."라고 하자 512년 6월 항복해 해마다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기로 하였다.[8] 이 시기는 신라가 북상하여 하슬라주를 설치하고 군주가 통치하는 시점으로, 이사부의 직함이 실직주 군주에서 하슬라주 군주로 바뀌고 하슬라주 군주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하게 된다.[9]

신라에서 통행 금지[편집]

7세기에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가 왜로 가는 해상 항로를 장악하여 승려의 통행만을 허락하였다.[10] 이로 인해 백제, 고구려, 왜국의 배가 자유롭게 신라 연안을 항해할 수 없게 되었다.[10]

고려에 복속 그리고 여진족 해적의 침입과 멸망[편집]

930년 우산국은 백길(白吉), 토두(土豆)를 보내 토산물을 바치면서 복속을 원했고 태조는 두 명에게 관직을 내렸다.[11]

1018년(현종 9년) 고려는 우산국이 동북여진의 침략을 받아 농사를 못하게 되자, 이원구(李元龜)를 보내 농기구를 보냈고[12] 1019년(현종 10년) 여진족으로부터 도망쳐온 자들을 모두 돌아가게 했다.[13] 1022년(현종 13년) 우산국 백성 중 여진족에게 노략질 당하여 망명온 자들을 예주에 거주하게 하고 호적에 편입되면서[14] 멸망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조은희. “「우해왕과 풍미녀의 전설」”. 《디지털울릉문화대전》. 2017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2. “동북아역사넷 사료라이브러리 > 사료로 보는 독도 > 三國史記 > 우산국을 정벌하다”. 동북아역사재단. 2022년 10월 23일에 확인함. 
  3. “울릉군 > 독도 > 독도역사 > 수토정책”. 울릉군청. 2022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3일에 확인함. 
  4. 진수 (3세기). 〈왕기가 별도로 군대를 파견하여 궁을 추격〉. 《三國志》 [삼국지]. 권30 동이전. 2017년 6월 6일에 확인함. 
  5. “고고학 > 발굴 보고서 > <고적 38> 울릉도(재보고)”. 국립중앙박물관. 2008년 10월 31일. 
  6. “우산국-우해왕과 풍미녀 이야기”. 《디지털울릉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7. “우리역사넷 재미있는 초등역사 > 이사부, 우산국을 정복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10월 27일에 확인함. 
  8. 김부식 (1145년). 〈지증(智證) 마립간(麻立干) 13년(十三年) 우산국을 정벌하다 (음력 512년 6월)〉.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권(卷第四) 신라본기(新羅本紀)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9. 이경섭 (2012).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39: 33–63.  UCI G704-001251.2012..39.006
  10. 김은숙 (2007). “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 : 수의 등장 이후 백제 멸망까지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한일관계사학회) 26: 45–93.  UCI G704-001395.2007..26.007
  11. 〈태조(太祖) 13년(十三年) 우릉도에서 공물을 바치다. 《高麗史》 [고려사]. 권1(第一) 세가(世家) 권제1(卷第一). 1451년.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2. 〈현종(顯宗) 9년(九年) 우산국에 농기구를 하사하다. 《高麗史》 [고려사]. 권4(第四) 세가(世家) 권제4(卷第四). 1451년.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3. 〈현종(顯宗) 10년(十年) 우산국 사람들을 돌려보내다. 《高麗史》 [고려사]. 권4(第四) 세가(世家) 권제4(卷第四). 1451년.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4. 〈현종(顯宗) 13년(十三年) 우산국 피난민을 호적에 편입하다. 《高麗史》 [고려사]. 권4(第四) 세가(世家) 권제4(卷第四). 1451년. 201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