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립간
동양식 등작 |
---|
![]() |
황제 / 천황 / 천자 / 첸포 / 천왕 무상가한 / 천가한 / 가한 / 선우 |
국왕 / 친왕 / 군왕 / 한 |
국공 / 군공 / 현공 / 콩타이지 |
열후 / 관내후 |
마립간(麻立干)은 신라의 17대 왕인 내물 마립간부터 21대 군주인 소지 마립간까지 사용한 호칭이다.
사용 시기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상이한데, 삼국유사에서는 내물 마립간 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삼국사기에서는 눌지 마립간 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김대문에 따르면, 마립간은 '말뚝의 왕'이라고 한다.[1] 여기서의 말뚝은 조선시대의 품석(品石)과 같은 것으로, 마립간은 '으뜸가는 품계'라는 뜻이다.
역대 마립간[편집]
왕조명 | 대수 | 칭호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기타 |
---|---|---|---|---|---|---|
김씨 왕조 | 17 | 내물 마립간(奈勿麻立干) | 내물(奈勿), 나밀(那密) | 356년 ~ 402년 | 각간 말구(末仇)의 아들. | |
18 | 실성 마립간(實聖麻立干) | 실성(實聖) | 402년 ~ 417년 | 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 ||
19 | 눌지 마립간(訥祗麻立干) | 눌지(訥祗) | 417년 ~ 458년 | 내물 마립간의 장자. | ||
20 | 자비 마립간(慈悲麻立干) | 자비(慈悲) | 458년 ~ 479년 | 눌지 마립간의 장자. | ||
21 | 소지 마립간(炤知麻立干) | 소지(炤知) | 479년 ~ 500년 | 자비 마립간의 장자. | ||
22 | 지대로 마립간(智大路麻立干) | 지증대왕(智證大王) | 지대로(智大路), 지도로(智度路) | 500년 ~ 514년 | 습보 갈문왕(習寶)의 아들. | |
23 | 모즉지 마립간(牟卽智麻立干)(另卽智麻立干) | 법흥대왕(法興大王) | 원종(原宗) | 514년 ~ 540년 | 지증왕의 아들. |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 ↑ 《삼국사기》 권3, 〈신라본기〉3, 눌지 마립간 즉위년(417년) 5월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