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거칠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金居柒夫 | |
---|---|
지위 | |
대아찬 | |
재위 | ? ~ 545년 7월 |
파진찬 | |
재위 | 545년 7월 ~ 576년 |
이찬[1] | |
상대등 | |
재위 | 576년 ~ ? |
전임 | 김구해? |
후임 | 노리부 |
이름 | |
별호 | 황종(荒宗), 구지포례(久遲布禮), 구례이사지우내사마리(久禮爾師知于奈師磨里), 거칠부지(居七夫智), 거비부지(居朼夫智) |
신상정보 | |
국적 | 신라 |
부친 | 김물력(金勿力) |
배우자 | 말보(末宝) |
자녀 | 장녀 : 윤옥(允玉) 차녀 : 윤궁(允宮) 장남 : 윤황(允荒) |
기타 친인척 | 김잉숙(할아버지) 김구리지(손자) 문노(사위) |
종교 | 불교 |
거칠부(居柒夫, ? ~ ?) 또는 황종(荒宗)[주 1], 구지포례(久遲布禮)[2], 구례이사지우내사마리(久禮爾師知于奈師磨里)[2], 거칠부지(居七夫智)[3], 거비부지(居朼夫智)[1]은 진흥왕, 진지왕 시기에 활동하였던 신라의 승려, 장군, 재상이다.
居柒夫, 荒宗은 실제로 '겇부/겇보'라고 불렸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柒/七(일곱 칠)은 치읓, 荒(거칠 황)은 '겇'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겇'의 받침을 풀어 발음하면 '거치/거지/구지'가 된다. 朼(숫가락/수 비)는 사이시옷을 표시하고자 사용되었다. 구지포례(久遲布禮)를 줄여서 구례(久禮)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생애[편집]
거칠부는 젊은 시절 승려가 되어 사방을 돌아다니다 고구려에 가 혜량의 강론을 듣고[4] 이후 신라로 돌아와 벼슬길에 올라 대아찬이 됐다.[5] 545년 7월(진흥왕 6년) 왕명을 받아 선비들과 함께 《국사》를 편찬하고 공을 인정받아 파진찬으로 승진했다.[6] 551년(진흥왕 12년) 백제와 연합하여 8명의 장군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해 죽령 이북, 고현(高峴) 이내의 10군을 빼앗았고[7] 고구려 승려 혜량과 함께 신라로 돌아와 최초의 승통이 되게 했다.[8] 576년(진지왕 원년) 상대등으로 승진했고 78세로 죽었다.[9]
가족[편집]
관련 작품[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561년.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신라왕과 백제왕을 소집하였으나 사신을 보냄. 신라가 4개 촌을 공략 (529년 04월)〉. 《日本書紀》 [일본서기]. 권17 남대적천황(男大迹天皇) 계체천황(繼體天皇). 720년.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561년.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고구려에 들어가 혜량법사의 강설을 듣다〉.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신라로 돌아와 대아찬에 오르다〉.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국사를 편찬하다 (545년)〉.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고구려 10군을 점령하다 (551년)〉.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신라 최초의 승통이 되다〉.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상대등이 되다 (576년)〉.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김부식 (1145년). 〈가계〉. 《三國史記》 [삼국사기]. 제44권(卷第四十四) 열전(列傳) 제4(第四).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김대문, 박창화 필사. 〈말보〉. 《花郞世紀》 [화랑세기 필사본]. 2017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김대문, 박창화 필사. 〈윤궁〉. 《花郞世紀》 [화랑세기 필사본]. 2017년 8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