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 논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직관논리에서 넘어옴)

논리학에서 직관 논리(直觀論理, 영어: intuitionistic logic)는 수학적 직관주의에 근거하여 귀류법을 배척하는 논리 체계이다. 직관 논리에서 참인 모든 명제는 고전적으로도 참이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특징이있다. 이처럼 직관주의 논리학은 이중부정의 일부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정의[편집]

직관 논리는 힐베르트 식으로 다음과 같이 서술되는 논리 체계이다.

통사론[편집]

직관 명제 논리에서, 명제 로부터 다음과 같은 새 명제들을 구성할 수 있다.

  • 논리곱 . 이는 "이며 또한 "라고 읽는다.
  • 논리합 . 이는 "이거나 또는 "라고 읽는다.
  • 함의 . 이는 "만약 이라면 또한 성립한다"라고 읽는다.
  • 거짓 . 이는 거짓 명제로 읽는다.

이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기호들을 정의한다.

  • 부정 을 줄인 것이며, "가 아니다"라고 읽는다.
  • 동치 를 줄인 것이며, "는 서로 동치이다"라고 읽는다.

직관 술어 논리에서는 명제 논리 연산자 밖에도, 자유 변수 를 가지는 명제 로부터 다음과 같은 새 명제들을 구성할 수 있다.

  • (존재 술어) . 이는 "를 성립시키는 가 존재한다"라고 읽는다.
  • (보편 술어) . 이는 "모든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라고 읽는다.

추론[편집]

직관 명제 논리의 유일한 추론법은 전건 긍정의 형식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직관 술어 논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변수 일반화 규칙이 추가된다. 여기서, 에서 자유 변수가 아닌 변수(한정 변수이거나, 아니면 에 등장하지 않는 변수)이다.

공리[편집]

직관 명제 논리의 공리들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명제 에 대하여,

  • (함의 조건의 추가)
  • (함의의 분배)
  • (논리곱의 좌측 제거)
  • (논리곱의 우측 제거)
  • (논리곱과 함의 조건의 추가)
  • (논리합의 좌측 추가)
  • (논리합의 우측 추가)
  • (함의 조건들의 논리합)
  • (거짓은 모든 명제를 함의)

직관 술어 논리에서는 다음 두 공리들이 추가로 성립한다. 여기서 에서 한정 변수가 아닌 변수이다.

  • (보편 기호의 특수화)
  • (존재 기호의 추가)

성질[편집]

명제의 격자[편집]

주어진 명제 로부터, 고전 명제 논리에서는 네 개의 명제밖에 정의할 수 없지만, 직관 명제 논리에서는 이로부터 무한한 수의, 서로 동치이지 않는 명제들이 존재한다. 이를 리에게르-니시무라 사다리(영어: Rieger–Nishimura ladder)라고 하며, 라디슬라프 스반테 리에게르(체코어: Ladislav Svante Rieger)[1]와 니시무라 이와오[2]가 정의하였다.

고전 논리와의 관계[편집]

직관 논리는 고전 논리의 일부분이다. 직관 논리에서 참인 모든 명제는 고전적으로도 참이지만, 고전적으로 참이지만 직관 논리에서는 증명할 수 없는 명제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명제들은 다음을 들 수 있다.

  • (배중률)
  • (이중 부정 삭제)
  • (퍼스의 법칙)

의미론[편집]

직관 논리의 경우, 다양한 의미론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하나로는 다음과 같은 위상수학적 의미론을 생각할 수 있다. 어떤 위상 공간 에 대하여, 직관 논리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자.

  • 명제는 열린 집합에 대응한다.
  • 논리합 합집합 에 대응한다.
  • 논리곱 교집합 에 대응한다.
  • 함의 교집합 에 대응한다. 여기서 는 집합의 내부이다.
  • 거짓 공집합 이다.

이로부터 정의되는 부정과 동치는 다음과 같다.

  • 부정 여집합내부 에 대응한다.
  • 동치 에 대응한다.

일반적인 위상 공간에 대하여 증명할 수 있는 모든 명제들은 직관 논리에서 참임을 보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양상 논리크립키 모형(영어: Kripke model)을 직관 논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역사[편집]

라위트전 브라우어르직관주의 수학을 형식화하기 위하여, 아런트 헤이팅이 도입하였다.

응용[편집]

직관 논리는 일반적인 토포스의 내부 논리(영어: internal logic)로 등장한다.[3] (표준적인) 집합의 토포스나, 이산 공간 위의 의 토포스 등에서는 고전 논리가 성립하지만, 예를 들어 이산 공간이 아닌 위상 공간 위의 층의 토포스에서는 고전 논리가 성립하지 않고, 직관 논리를 사용해야만 한다.

참고 문헌[편집]

  1. Rieger, L. (1949). “On the lattice theory of Brouwerian propositional logics”. 《Spisy vydávané Přírodovědeckou fakultou University Karlovy》 (영어) 189: 1–40. MR 0040245. 
  2. Nishimura, Iwao (1960년 12월). “On Formulas of One Variable in Intuitionistic Propositional Calculus”. 《The Journal of Symbolic Logic》 (영어) 25 (4): 327-331. doi:10.2307/2963526. JSTOR 2963526. MR 142456. Zbl 0108.00302. 
  3. Mac Lane, Saunders; Ieke Moerdijk (1992). 《Sheaves in geometry and logic: a first introduction to topos theory》. Universitext (영어). Springer. doi:10.1007/978-1-4612-0927-0. ISBN 978-0-387-97710-2. ISSN 0172-5939. Zbl 0822.18001. 

외부 링크[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