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적 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80번째 줄: 80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각주}}
{{각주}}
* {{서적 인용 | first=Alan | last=Baker | title=Transcendental number theory | 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 | year=1975 | isbn=0-521-20461-5 | zbl=0297.10013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 | last=Mahler | first=Kurt | title=Lectures on transcendental numbers | series=Lecture Notes in Mathematics | volume=546 | publisher=Springer | year=1976 | isbn=3-540-07986-6 | zbl=0332.10019 | 언어고리=en }}
* {{서적 인용 | last1=Burger | first1=Edward B. | last2=Tubbs | first2=Robert | title=Making transcendence transparent. An intuitive approach to classical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 publisher=Springer | year=2004 | isbn=0-387-21444-5 | zbl=1092.11031|언어고리=en }}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15년 8월 28일 (금) 11:48 판

복소평면 속의, 유리수 계수 1차~4차 다항식의 근인 대수적 수들의 분포. 1차 다항식의 근은 녹색, 2차는 적색, 3차는 하늘색, 4차는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낮은 차수의 대수적 정수의 분포. 낮은 차수의 다항식의 해는 붉은 색의 점, 비교적 고차 다항식의 해는 푸른 색의 점으로 나타내었다.

수론에서, 대수적 수(代數的數, 영어: algebraic number)는 유리수 계수의 일계수 다항식의 근을 이루는 복소수이다.

정의

복소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이를 만족시키는 복소수를 대수적 정수(代數的整數, 영어: algebraic integer)라고 한다.

  • 이지만 일계수 다항식 가 존재한다.
  • 는 유한하며, 또한 유한 생성 아벨 군이다
  • 는 유한하며, 또한 유한 생성 아벨 군 이 존재한다.

대수적 정수의 집합은 정역을 이루며, 로 쓴다.

복소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복소수를 대수적 수라고 한다.

  • 이지만 일계수 다항식 가 존재한다.
  • 인 대수적 정수 가 존재한다 ().

대수적 수들의 집합은 를 이루며, 라고 쓴다. 정의에 따라, 이는 대수적 정수들의 정역분수체이다.

대수적 수가 아닌 복소수초월수(超越數, 영어: transcendental number)라 한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수가 대수적인지 여부를 증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와 같은 경우에도 현재 초월수인지의 여부가 증명되지 않았다.

성질

대수적 수의 체

대수적 수의 체는 가산 무한 집합이다.

복소수체크기이므로, 대부분의 복소수는 대수적 수가 아니다.

대수적 수의 집합은 체를 이룬다. 즉, 대수적 수들의 합 · 곱 · 역수는 대수적 수이다. 또한, 임의의 대수적 수 및 유리수 에 대하여, 는 (만약 정의된다면) 대수적 수이다. 그러나 가 무리수일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대수적 수의 표수는 0이며, 유리수체대수적 폐포이다. 모든 대수적 수는 어떤 대수적 수체에 속한다. 즉, 대수적 수의 집합은 (복소수체로의 매장을 부여한) 모든 대수적 수체들의 합집합과 같다.

대수적 수의 체를 유리수체의 확대체로 보았을 때, 는 무한 차수의 갈루아 확대이다. 이 확대의 갈루아 군유리수체절대 갈루아 군이다.

대수적 정수의 환

대수적 정수의 가환환은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대수적 정수의 인수 분해는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지만, 유한 개의 대수적 정수의 최대공약수를 정의할 수 있다.

모든 대수적 정수는 어떤 대수적 수체대수적 정수환의 원소이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 즉, 대수적 정수의 집합은 모든 대수적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들의 합집합이다.

의 근이므로 대수적 정수이다. 허수단위 의 근이므로 대수적 정수이다.

5차 이상의 일반적인 방정식의 해는 거듭제곱근으로 나타낼 수 없지만, 만약 방정식의 계수들이 모두 대수적 수인 경우 그 해는 대수적 수이다.

초월수의 예

원주율 자연 로그의 밑 초월수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수가 초월수임이 알려져 있다.

  • ()
  • 원주율
  • . (복소수 거듭제곱은 분지 절단에 따라 달라지지만, 가능한 모든 분지에 대하여 이는 초월수이다. 예를 들어, 한 분지에서는 이다.)
  • 0이 아닌 유리수 에 대하여 , , .
  • 1이 아닌 양의 유리수 에 대하여,

그러나 는 초월수임이 알려져 있지 않다. 만약 샤누엘 추측(영어: Schanuel’s conjecture)이 참이라면, 는 초월수이다.

다음과 같은 실수는 리우빌 상수(영어: Liouville’s constant)라고 하며, 초월수이다.

역사

고대 수학에서는 대수적 수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없는 수(무리수)의 발견과 거듭제곱근 및 사칙 연산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아벨-루피니 정리)의 발견 이후, 모든 수가 정수 또는 유리수 계수의 다항식의 근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즉 초월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대두되었다.

초월수의 존재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예상하였다. 1844년에 조제프 리우빌은 최초의 초월수의 예로 리우빌 상수를 제시하였다.[1][2]

리우빌 상수는 초월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수이다. 수학에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수 가운데 처음으로 초월수임이 증명된 수는 상수 e이며, 이는 샤를 에르미트1873년에 증명하였다. 1882년에는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원주율 또한 초월수임을 증명하였다. 이것은 고대 그리스 수학의 난제였던 원적문제가 불가능함을 보여주었다.

1874년게오르크 칸토어는 실수 또는 복소수의 집합이 비가산 집합임을 증명하여, 대부분의 복소수가 초월수임을 보였다.

1900년다비트 힐베르트힐베르트의 23 문제 가운데 7번째 문제로 초월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는 0이나 1이 아닌 대수적 수이고 무리수이면서 대수적 수일 때, 는 초월수인가?

힐베르트는 이 문제의 구체적인 예로 를 들었다. 이 문제는 1934년겔폰드-슈나이더 정리에 의해 참임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1960년앨런 베이커에 의해 확장되었다.

참고 문헌

  1. Liouville, J. (1844). “Sur des classes très étendues de quantités dont la valeur n'est ni algébrique, ni même réductible à des irrationnelles algébriques”.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8: 883-885. 
  2. Liouville, J. (1851). “Sur des classes très étendues de quantités dont la valeur n’est ni algébrique ni même réductible à des irrationnelles algébriques”.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16: 133-142. ISSN 0021-7824. 
  • Baker, Alan (1975).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0461-5. Zbl 0297.10013. 
  • Mahler, Kurt (1976). 《Lectures on transcendental number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546. Springer. ISBN 3-540-07986-6. Zbl 0332.10019. 
  • Burger, Edward B.; Tubbs, Robert (2004). 《Making transcendence transparent. An intuitive approach to classical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Springer. ISBN 0-387-21444-5. Zbl 1092.11031.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