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에 대한 비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05번째 줄: 305번째 줄:


4월 26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박광온 공보단장은 사드 기습 배치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지금이라도 배치를 중단하고 차기 정부에서 사드 문제를 최종 결정해야 한다며, 국방부와 군은 이번 장비 반입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명히 밝히라고 요구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170426n07796</ref>
4월 26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박광온 공보단장은 사드 기습 배치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지금이라도 배치를 중단하고 차기 정부에서 사드 문제를 최종 결정해야 한다며, 국방부와 군은 이번 장비 반입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명히 밝히라고 요구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170426n07796</ref>

== 정책 논란 ==
=== 미세먼지 공약 미이행 논란 ===
[[파일:Protest banner in South Korea calling for counter measures against particulate air pollution from China.jpg|thumb|right|250px|[[문재인 정부]]의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 부족을 비판하는 시위 현수막]]
문재인의 주요 대선공약이었던 미세먼지 감축 노력을 위한 조치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일었다.<ref name="palpal">{{cite news |title=[팔팔영상] 대통령님, 미세먼지 공약 지키고 계시죠? |url=http://www.ytn.co.kr/_ln/0101_201803272002448579 |work=YTN |date=2018-03-27}}</ref><ref name="marchchina">{{cite news |title="3월 고농도 미세먼지 中 영향 최대 69%"...정치권 한목소리 질타 |url=http://www.ytn.co.kr/_ln/0101_201804091922412518 |work=YTN |date=2018-04-09}}</ref> 문재인의 미세먼지 대책 공약은 임기 내 미세먼지 배출량 30% 감축, 친환경차 구입 보조금 확대, 전국 전기차 충전 인프라 조기 구축,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특별기구 신설, 미세먼지 한중 정상외교 주요 의제로 격상 등이었는데, 소극적인 이행이 논란이 되었다.<ref name="palpal"/><ref name="marchchina"/> 국민들은 정부의 무능과 안일함에 분노를 표출했고,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미세먼지 오염원으로 지적된 중국에 대한 단호한 대응을 요구하는 청원이 쇄도하였다.<ref name="palpal"/><ref>{{cite news |title=‘최악’ 미세먼지에 靑 청원 봇물…“제발 좀 어떻게 해주세요” |url=http://news.donga.com/3/all/20180327/89314742/2 |work=동아일보 |date=2018-03-27}}</ref>


== 각종 발언 논란 ==
== 각종 발언 논란 ==

2018년 4월 11일 (수) 08:24 판

해당 문서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문재인에 대한 비판 및 논란과 그에 대한 해명을 기술한 문서이다.

부정부패 논란

다운계약서 작성에 따른 세금 탈루 의혹

문재인노무현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 시절인 2003년에 4층짜리 상가 건물을 팔면서 당시 기준시가 3억5천만원 짜리 상가를 2억6,200만원으로 약 9,000만원가량 낮게 다운계약서를 썼다.[1] 2012년 문재인 후보 선대위 우상호 공보단장은 부민동 상가는 당시 법원·검찰청 이전에 따라 일대 부동산 가격이 폭락해 공시지가보다 1억 가까이 낮은 2억 3천여만 원에 손절매한 것이라고 해명했다.[2]

문재인은 2004년 5월에도 서울 종로구 평창동 빌라를 2억9800만 원에 매입하고도 관계 당국에는 1억6000만 원에 구입한 것처럼 신고하여 탈세하였다.[3] 2012년 문재인 측에서는 “다운계약서는 매도자의 요구에 따라 작성됐던 게 일반적”이라며 “문재인은 매수자의 입장이었고, 법적으로 다운계약서 작성이 금지된 2006년 이전의 일이기 때문에 문제 될 게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수많은 공직자 청문회에서 다운계약서는 항상 문제가 되었고 관행이라 해명해도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끝까지 물고 늘어지며 비난을 해 왔었기 때문에 이중 잣대 논란이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측은 "청문회에서 낙마한 사람들의 다운 계약서는 투기와 복합적으로 엮여 있는데 문 후보 경우는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4] 한편, 선거방송심의위는 2012년 11월 29일 다운계약서 작성을 확정 보도한 채널A의 '뉴스A'에 대해 법정제재 최고 수위인 ‘경고’를 의결했다.[5]

민정수석실 협박 논란

노무현 전 대통령 사돈의 음주운전 사고 피해자가 청와대와 상급기관으로부터 협박과 회유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2006년 사건이 언론에 보도되자 청와대가 보복성 계좌 추적을 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2003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사돈 배 모 씨의 음주운전 사고 피해자인 서울 모 경찰서 소속 임 모 경위는 사고 이후 청와대 민정수석실 소속 오 모 행정관으로부터 빨리 합의하라고 협박을 당했다고 주장했다.[6][7] 문재인 후보 측은 이에 대해 "음주사고는 2003년에 이미 합의된 사항이었고, 2006년에는 문 후보 지시로 가해자 배 씨를 엄벌한 바 있다"고 밝혔다.[6]

민정수석실 협박 논란의 핵심은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관련 사실을 보고받았는지 여부이고 피해자인 임 경위는 문재인 후보가 모든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녹음파일 증거를 갖고 있다며 곧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2004년 12월 경남 김해의 한 커피숍에서 가해자 배 모 씨와 나눈 이야기를 녹음했고, 대화 내용을 문서로 옮겨놨다는 것이다.[6][7] 이에 대해 문재인 후보 측은 "피해자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 당시 민정수석이 알고 있었다는 증거가 될 수 없다"고 일축했다.[7]

삼성 특검 수사 제지 논란

2005년 삼성그룹과 정치권·검찰 사이의 부적절한 관계 의혹이 폭로된 삼성 X파일 사건에 대해,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문재인 민정수석이 특검 수사를 반대해 특검이 성사되지 못 했다는 주장이 그 때 사건을 폭로했던 이상호 기자에 의해 제기되어 논란이 일었다.[8] 이상호는 2017년 1월 17일자 고발뉴스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 쪽이 오히려 특검을 요구했을 때 아직 시기상조라며 검찰조사를 지켜보자고 한 분이 바로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이라면서, "당시에 특검을 시기상조라고 막았던 문재인 현재 우리 후보께서 어떠한 생각을 지금 갖고 계시는지"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였다.[8]

반면, 2006년 당시 열린우리당 최재천 의원은 특검을 막은 것은 한나라당이라고 비판했다.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은 야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특검법을 처리하려고 했지만 한나라당의 거부로 실현되지 못 했다고 주장하였다. 한나라당은 'X파일 특검법' 가운데, 위법 내용 '공개' 부분이 위헌이라며, 법사위 비공개 내부 회의에서 간간이 반대의 뜻을 내비쳐 왔다. 그러다가 "도감청 수사 범위를 김영삼 정부는 빼고, DJ노무현 정부에만 국한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X파일 특검법 합의가 뒤집혔다고 주장하였다.[9]

아들 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 및 논란

문재인의 아들 문준용이 2006년에서 2008년까지 한국고용정보원 5급 일반직에 채용되어 근무한 과정에서 특혜가 있었는지 의혹이 제기되고 논란이 되었다. 2012년과 2017년 두차례 대선에서 해당 의혹이 주로 제기되었다.

2007년 고용노동부에서는 한나라당 측의 문제 제기에 따라 고용정보원을 상대로 감사를 실시했다. 2007년 5월 고용노동부의 감사보고서는 "특정인을 취업시키기 위해 사전에 의도적으로 채용 공고 형식 및 내용 등을 조작하였다는 확증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특정인을 포함한 외부응시자들은 전공분야 수상경력이나 회사 근무경력 등으로 보아 자질 및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 부적격자를 채용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렸다. 그러나 "투명성과 합리성을 결여하게 되어 특혜채용 의혹을 갖도록 한 것으로 보이며 채용 절차 자체에는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하여 해당 기관에 대한 처벌 조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10][11]

2007년 6월 해당 감사 결과에 따라 채용 절차상의 문제가 인정되어, 당시 문준용 채용을 주도한 인사 담당자들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졌다.[12][13] 그러나 특혜 여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어 2017년 대선 과정에서 정치권의 격한 공방이 있었다. 자유한국당은 2017년 5월 1일 문준용의 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특검법안을 발의하였다.[14]

이후 2017년 9월 14일 열린 국민의당 제보조작 관련 공판준비기일에서 검찰은 기본적으로 문준용의 특혜채용에 불법성이 있는지 살펴봤지만, 채용과정에서 위법한 혐의점이 발견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15] 다만 검찰은 특혜채용 진위에 대해 '맞다', '아니다'라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16][17]

이인규 수사관과의 충돌

문재인2011년 6월 14일 발간한 자신의 자서전 《운명》에서 대한민국의 전 대통령인 노무현에 대한 검찰 수사 당시 수사관이었던 이인규에 대하여 "검찰은 박연차 회장의 말이 진실이라고 뒷받침할 증거를 전혀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이인규의 태도가 "건방졌다"고 평가하면서, 당시 대검 중수부의 수사가 매우 불순하고 비열했다고 비판했다.[18]

이런 문재인의 주장에 대해 이인규는 수사 태도에 대해서 노무현박연차와의 대질을 하려는 발상 자체가 무례하다는 문재인에 주장에 대해서 "두 사람의 말이 틀리니까 어느 쪽이 진실인가 밝히기 위해서는 당연한 절차 아니냐. 누구나 법 앞에 평등한 것이다"라고 언론에 밝혔다.[19]

이인규는 문재인이 자신의 자서전에서 "검찰이 박 전 회장과 대통령 간 통화 기록조차 갖고 있지 않았다"며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없다는 식으로 주장한 것에 대해서 기록 등을 확보했으나, 박 전 회장과 노 전 대통령의 통화 기록은 보존기간(1년) 경과로 이미 폐기돼 확보할 수 없었다."라고 밝혔다.[20]

이 말을 들은 문재인은, 이인규가 노 전 대통령의 딸 정연씨의 미국 뉴저지 주택 구입 사실을 언급한 데 대해 "이미 다 나온 내용을 들어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며 "문제는 노 전 대통령이 알았느냐 여부인데, 알았다는 것을 입증할 증거가 없으니 (검찰이) 말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즉각 재반박했다.[21] 또한 문재인은 이인규가 노 전 대통령 소환 조사 당시 "예우를 다했다. 공손하게 잘 모셨다"고 말한 데 대해 "겸손이 뭔지도 모르고 하는 소리"라며 "겸손을 배우지 못한 사람"이라고 비판했다.[21]

SNS 여론조작 논란

2012년 문재인 대선 캠프는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신동해빌딩 6층을 임차하고 이를 중앙당사로 추가하는 절차를 마쳤다. SNS지원단장에는 조한기 단장이 임명됐다. SNS지원단 사무실이 마련됨에 따라 지난 2012년 11월 27일부터 12월 12일까지 신동해빌딩 6층에 총 91대의 컴퓨터가 설치됐다. 이와 함께 프린터 24대와 유전전화기 47대, 의자 105개, 테이블 72개, 파티션 104개, 텔레비전 5대, 냉장고 3대도 들어왔다. SNS지원단은 SNS기획팀, SNS메시지팀, SNS분석대응팀, SNS플랫폼팀, SNS콘텐츠팀, 뉴스매거진팀, SNS네트워크팀, 대응1.2.3팀 등 총 10개 팀 76명으로 구성됐다. 특히 SNS기동대 중 일부와 다른 민주통합당 의원 보좌진 등 총 16명이 SNS지원단에 합류했다(2012년 12월 3일). SNS기동대를 이끌었던 차 전 팀장은 SNS지원단에서 대응1팀장을 맡았다. 이렇게 구성된 10개팀에는 아주 세세한 업무가 부여됐다. SNS지원단의 10개 팀 가운데 핵심조직은 '대응1.2.3팀'으로 보인다. 대응1.2.3팀은 업무의 영역을 1. 트위터와 페이스북(대응1팀) 2.인터넷 포털사이트와 블로그(대응2팀) 3. 인터넷 커뮤니티와 인터넷 뉴스 댓글란(대응3팀)으로 세분화했다. 이 세 개 팀을 통해 문 후보의 정책, 유리한 글, 불리한 내용에 대응하는 글, 박근혜 후보에게 불리한 글 등을 전파하며 전방위적인 인터넷 선거운동을 벌였다.[22][23]

18대 대선 불법 SNS 여론조작 처벌

2012년 문재인 캠프의 'SNS지원단'이 여론조작을 하다가 적발되어 선거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졌다. 1심 재판부가 벌금 20만 원의 선고를 유예하는 판결을 내린 가운데, 검찰은 물론이고 조한기 SNS지원단장과 차 모 팀장도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검찰은 "구 공직선거법 제87조 제2항에서 설립을 금지하고 있는 '사조직 기타 단체'는 후보자를 위해 선거운동을 할 목적으로 설립.설치된 단체로서 법정 선거운동기구 이외에 설립하거나 설치하는 선거운동 목적의 일체의 사조직을 의미하는 국회SNS기동대는 일반 유권자를 상대로 인터넷에서 조직적으로 특정후보를 위한 선거운동을 하기 위해 만든 사조직에 해당한다"라고 주장했다. 2심 재판부는 사실상 검찰의 손을 들어주었다. 1심 재판부가 벌금 20만 원의 선고를 유예한 'SNS지원단 활동'과 무죄를 선고한 'SNS기동대 활동'에 모두 벌금 90만 원을 선고한 것이다. 이는 2심 재판부가 1심 재판부에서 판단한 것보다 SNS지원단과 SNS기동대의 위법성을 더욱 무겁게 판단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허위나 노골적인 비방은 없어 벌금형을 선고한다고 판시했다.[22][23]

1심 재판부가 판결문에 인용한 검찰의 공소요지에 따르면, SNS기동대의 "주요 목표"는 "문재인 후보를 당선되게 할 목적으로 인터넷에 문재인 후보의 정책, 유리한 글, 불리한 내용에 대응하는 글 및 박근혜 후보에게 불리한 글을 적극 전파하는 방법으로 문재인 후보를 위한 선거운동을 하는 것"이었다. SNS기동대는 전략기획팀, 메시지팀, 실무지원팀 등 3개팀으로 구성됐다. 전략기획팀은 인터넷에 전파시킬 주요 글의 내용을 기획하고, 메시지팀은 전략기획팀에서 기획한 글을 인터넷에 전파시켰다. 실무지원팀은 연락과 진행사항을 점검하고, 전파시킨 글의 반응을 모니터링했다. 이들은 '오프라인-온라인 회의 체계' 등을 갖추고 치밀하게 움직였다. 오전 9시 국회 본청 민주통합당 원내기획실에서 27명의 기동대원이 모두 참석하는 오프라인 회의를 열고,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각자의 사무실(의원실)에서 문 후보의 정책, 유리한 글, 불리한 내용에 대응하는 글, 박근혜 후보에게 불리한 글을 인터넷에 전파시켰다. 이렇게 '오전 임무'가 끝났다. 오후 업무'는 오후 1시부터 시작됐다. 이들은 오후 1시 페이스북 메신저를 이용해 온라인 회의를 연 뒤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오전에 전파시킨 글들을 다시 인터넷에 집중 전파시켰다. 이후에는 인터넷에 전파시킨 글의 반응을 모니터링했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두 차례 SNS(Social Network Service)여론전을 벌인 것이다.[22][23]

여론조작 전과자 19대 대선 캠프 재합류 논란

2017년 문재인 대선 캠프는 2017년 3월 15일 윤영찬 네이버 부사장을 SNS본부장으로 영입했고, 지난 대선에서 SNS 불법선거운동으로 형사 처벌 전과가 있는 조한기 SNS지원단장을 또 다시 영입했다.[24]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국민의당문재인 캠프가 또다시 여론조작을 감행하겠다는 의도가 아닌지 의혹과 우려를 표명하였다.[25][26] 한편, 조한기 전 단장은 당시 판결은 정치적 의도가 있었으며, 여당이 국정원, 십알단을 동원해 불법 SNS 활동을 벌이는 상황에서 불가피 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캠프 측은 선거법상 문제점이 드러나 입법 조치가 이뤄진 사안이라며 내부적으로 SNS 팀장으로 활동하는데 결격사유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해 합류하게 됐다고 답했다.[27]

고급 의자 논란

논란이 된 임스 라운지 체어

2012년 11월 27일부터 TV를 통해 방송된 60초짜리 대선 후보 광고에 나오는 문재인 후보의 자택광고에 나오는 가죽의자가 "임스 라운지 체어(Eames Lounge Chair)"로 밝혀져 논란이 시작되었다. 문재인의 배우자인 김정숙씨가 트위터에서 "아파트 모델하우스에 전시됐던 소파를 아는 분이 땡처리로 싸게 샀고 나중에 그걸 제가 50만 원에 산 중고"라고 해명했다.[28] 그리고 20분 후 "지인이 싸게 산 가구를 자신이 50만 원에 산 것이다." 라고 말을 바꿨다.[29] 임스 라운지 체어 정품 가격은 대한민국 내에서 700만원 정도이며, 중국산 모조품은 50~100만원에 구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30][31]

이후 2017년 KBS김정숙의 오락가락하는 해명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해당 의자가 6백만 원이 넘는다는 증언과 함께 김 씨가 의자 외에 다른 고가 가구도 여러 점 구입한 사실을 확인하였다.[29] 2009년 부산의 고급 모델하우스 철거 당시 전시 가구들을 박 모 씨라는 건설업자가 사들였고, 그 중 일부 가구가 김정숙에게 넘어갔다는 화물차 기사의 증언이 있었다.[29]

이에 대해 처음에 문재인과 박 씨 측은 문재인 딸 결혼식을 앞두고 문재인 쪽에서 의자와 가구 몇 점을 백몇십만원이라는 헐값에 산 것이라고 해명하였으나, KBS 검증단이 정확한 사실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가구 종류 별로 구체적인 구입 가격을 묻자 다른 해명을 내놓았다.[29] 문재인은 박 씨에게 받을 돈 2천5백만원을 가구로 대신 받았고, 여기에 천만원을 추가로 지불했다고 하여, 헐값이라던 가구 가격은 3천5백만원으로 말이 바뀌었다.[29]

처음에 백만 원 조금 넘는 돈을 받았다던 박 모 씨도 가구값은 천만 원이었다고 말을 바꿨다.[29] 하지만 박 씨는 빌려준 돈 2천5백만원을 가구로 대신 받았다는 문재인 측 해명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29] 게다가 2천5백만원은 문재인이 청와대 비서실장일 때 빌렸다며 시기와 장소까지 밝혔다.[29]

KBS 검증단 확인 결과 문재인이 비서실장일 당시 재산신고 내역에 개인 간 돈거래 내역이 없어, 2천5백만원이 누락된 경위와 돈의 출처에 대한 추궁을 하였다.[29] 문재인 측은 2017년 4월 12일 당시 가구 비용은 천만원이었다고 또다시 말을 바꿨고, 재산신고 시점에는 사인간 채무가 없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하였다.[29] 이렇게 문재인 측의 여러 차례 바뀌는 해명에 재산 신고 누락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29]

2017년 4월 15일, 문재인 측은 '고가가구'와 '재산신고 관련'을 공개 답변하였다. '고가가구'에 대한 답변에선 문 후보 부인 김정숙 씨는 고급 의자 논란을 불러 일으킨 가구는 모델하우스 전시용 중국산 중고가구라고 밝혔으며, 재산신고 관련 답변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 퇴임과 함께 비서실장직에서 물러나면서 양산 자택으로 이사를 했다. 문 후보는 퇴임을 앞두고 2008년 1월~2월 사이에 양산 자택을 수리했다. 이 과정에서 김정숙씨는 지인인 박모 씨에게 빌려준 2500만원을 우수. 오수관로, 심야보일러 이전 설치, 담장 개보수 등의 비용으로 대체키로 했다. 퇴직 일 이전에 박모 씨가 양산 자택 공사를 하게 되면서 기존 채권채무가 소멸되었기 때문에 채권 2500만원에 대해서는 재산신고를 하지 않아도 됐다고 답변을 하였다.[32]

세월호 인양 지연 SBS 오보 관련 논란

파일:세월호 고맙다.jpg
손금주 국민의당 중앙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선거에 맞춰 세월호 인양 연기를 거래한 문재인 후보, 세월호 영령들에게 고맙다고 적은 의미가 이것이었나"라는 제목의 논평에서[33] "세월호 인양계약 이후 실제 인양까지 왜 2년이나 걸렸는지 이제야 그 이유가 밝혀졌다"고 주장하며 문재인을 비난했다.[34]

50여 명의 구성으로 6월부터 본격활동에 나서는 세월호 선체조사위는,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인양을 고의로 늦춰 왔다는 의혹도 조사할 방침이다. 이런 의혹을 증폭시킬 만한 발언을 해수부 공무원이 SBS 취재진에게 했다. 부처의 자리와 기구를 늘리는 거래를 문재인 후보 측에 시도했음을 암시하는 발언도 했다.[35][36][37]

이에 대해 해수부 대변인실은 세월호 인양은 기술적 문제로 늦춰졌으며, 다른 고려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선체조사위는 문제의 발언은 인양이 정치적으로 결정됐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조사 과정에서 들여다 볼 것이라고 밝혔다.[35][36][37]

또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측이 세월호 인양 시점을 조율해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방송 보도에 대해 집권하면 철저히 조사해 응징하겠다고 밝혔다.[38]

SBS는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의혹 보도에 대해 해명하며 사과했다.[39]

또한 해양수산부는 5월 3일 고의 지연 의혹을 일축했다.[40]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세월호 인양을 고의로 늦추게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SBS 보도와 관련, “문빠들이 저의 논평에 대해 또다시 문자폭탄병이 도졌다”고 맹비난했다.[41]

더불어민주당은 5월 3일 ‘문재인 세월호’ 의혹 SBS 보도 후 국민의당이 날을 세우고 있는 것과 관련, 가짜뉴스란걸 밝히고 아울러 ‘가짜뉴스’와 박 대표의 황당한 주장을 SNS상에서 퍼 나르는 특정 세력도 반드시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42]

박지원 의원실 측은 박 대표 개인 소셜미디어 계정에 “가짜뉴스 프레임으로 진실을 덮을 수 없음을 경고한다”는 국민의당 논평을 공유했다.[41] 또한 국민의당 측은 4.17 오거돈 부산 상임선대위원장 발언 녹취록을 공개했다.[41] 이 녹취록에 대해 문 후보 선대위의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국민의당이 공개한 동영상은 4월 17일의 영상이다. 세월호의 본 인양 작업이 시작된 것은 3월 22일, 세월호의 육상 거치 작업이 마무리된 날짜는 4월 11일로, 4월 17일 녹화된 영상은 세월호가 인양되고 난 이후라는 말씀을 우선 드린다"고 밝혔다.[43]

2017년 5월 3일, SBS 김성준 보도본부장이 세월호 인양 관련 의혹 보도에 대해 사과했다. 김성준 보도본부장은 3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세월호 가족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그리고 시청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44]

한편 전국언론노조 SBS본부 측이 SBS 보도와 관련해 성명을 냈습니다. 노조는 자체적으로 해당 기사의 취재 경위와 교정 이력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초고 때 담겼던 박근혜 정권 시절 인양 지원과 눈치 보기를 지적하는 문장과 인터뷰가 데스킹 과정에서 즉, 담당부장이 기사를 고치는 과정에서 통째로 삭제됐다고 했다. 또 제목도 당초 '인양 고의 지연 의혹, 다음달 본격 조사'에서 '차기 정권과 거래? 인양 지연 의혹 조사'라는 자극적 내용으로 변경됐다고 했다. 노조는 기사에 등장하는 공무원에 대해서도 확인한 결과, 해수부 소속은 맞지만 세월호 인양 일정 수립에 아무런 권한과 책임이 없는 사람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45]

인양 의혹 보도에 유족들은 세월호가 정치적 논쟁거리가 돼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었다.[46]

반면에 중앙 선관위에서 SBS 보도가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SBS 관계자를 직접 조사했다고 밝혔다.[47]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2017년 5월 4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SBS와 통화한 해양수산부 공무원은 목포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에 파견돼 언론지원 업무를 맡고 있던 7급 직원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부는 이 직원의 부적절한 언행에 대해 엄정하고 투명한 조사를 통해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48]

2017년 5월 22일, 선거방송심의위원회는 SBS가 지난 5월 2일 내보낸 '차기 정권과 거래·인양 지연 의혹 조사' 보도가 객관성과 사실보도 위반 소지가 있다며 법정제재에 해당하는 '경고' 조처를 내렸다.[49]

대북관 논란

이석기 특별사면 논란

문재인이 민정수석으로 청와대에 있었던 시절 공안사범이었던 이석기가 사면을 받았던 사실이 논란이 되었다. 이석기는 민혁당 사건으로 2002년 구속되어 2003년 반국가단체 구성 등 혐의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당시 판결문에 의하면, 이석기는 1980년대 초반 한국외국어대 용인 캠퍼스 중국어과 재학생 시절 "김일성은 절세의 애국자" "주체사상은 영원 불멸의 등불" 등의 발언으로 후배들의 사상교육을 주도했으며, 1989년 민혁당의 전신인 반제청년동맹과 1992년 민혁당 설립에 참여하면서 김일성주의를 지도이념으로 한 계급투쟁을 강조하였다.[50]

그러나 이석기는 2003년 노무현 정부의 광복절 특사로 곧바로 가석방되었다.[51] 이석기는 2003년 광복절 특사 대상자 15만여명 중 유일한 공안사범이었다.[51] 이어 2005년에 또 한번 광복절 특사로 특별복권 되어 공무담임권 및 피선거권의 제한이 풀리면서 국회의원 후보 등 선출직에 나설 수 있게 됐다.[51]

이석기 사건 파장과 정치권 공방

이후 2013년에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된 이석기가 또다시 내란 음모를 기도한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하고 구속된 이석기 사건이 일어나자, 노무현 정부 시절 특별사면이 재조명되며 파장이 일었다. 특별사면은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청와대 민정수석이 특별사면 대상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법무부가 이를 진행하는데,[51][52][53] 이석기의 두 번의 사면이 이루어졌을 때 실무자는 모두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이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51][52]

새누리당 측은 노무현 정부 당시 법무부가 형 복역률 50% 미만자에 사면을 실시한 전례가 없다는 이유로 극력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특별가석방을 계속 요구해 이석기의 가석방이 이뤄졌다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사실상 종북좌파, 통합진보당, 국회의원 이석기 탄생의 숙주 역할을 했다고 비난하였다.[54][55] 뿐만 아니라, 문재인이 국회의원 신분이었던 이석기의 체포에 필요한 절차인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에 기권한 7명 중 1명으로 밝혀져, 과거 이석기 특별사면 의혹과 맞물려 이에 대한 비판 여론도 쏟아졌다.[56]

이러한 논란에 대해 문재인의 측근 노영민 민주당 의원은 "전혀 사실도 아니고, 근거도 없는 무책임한 정치공세에 불과하다" “사면은 법무부장관이 명단을 작성해 국무회의에서 승인된다. 이 과정에서 민정수석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 한나라당에서는 어떻게 운영했는지 모르겠으나 참여정부에서는 그렇게 했다."고 반박하였다.[57][58][59] 또한 박범계 의원은 "2003년 사면·복권 당시 주무 비서관이 나였다. 가석방은 민정수석이 아닌 법무부 내 가석방 심사위원회가 한다."고 반박했다. 박범계 의원은 "2003년 가석방과 관련해 문재인 의원이 법무부의 누구와 어떤 이야기 나눴는지 아는 사람이 있다면, 자신 있거든 나와 얘기해보자. 당시 문재인 의원은 가석방과 사면·복권 단 한차례도 간섭하거나 부당한 지시를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박범계 의원의 발언을 재반박했다. 권성동 의원은“2003부터 2012년까지 총 8만5223명의 가석방이 이뤄졌는데, 이 가운데 복역률 80% 미만은 6.7%에 대해만 가석방이 이뤄졌고, 복역률 50% 미만은 이석기 단 1명에 대해서만 가석방이 이뤄졌다”고 말했다.[60] 권성동 의원은 “어느 누가 50%도 복역하지 않은 이석기 반국가사범의 가석방에 동의했겠느냐. 절대권력자인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민정수석의 지시가 없었으면 법무부는 움직일 수가 없는 구조다”면서 “자신 있으면 문재인과 가석방에 관여한 법무부 관계자들을 증인으로 채택해 명백히 시시비리를 가리자“고 덧붙였다.[60]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은 “가석방 전후 이 의원은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주체사상이 강화된 지하혁명조직의 사업방향을 구성하고 있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당시 민정수석이 왜 이런 사람을 특사, 가석방시키지 못해 그렇게 안달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60] 김도읍은 이어 문재인이 왜 이런 인물을 갑자기 가석방, 특사, 복권시켜서 국회의원으로서 정치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는지 국민들은 알고 싶어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60]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권성동 의원의 발언을 다시 반박하면서, “권성동 의원도 청와대 법무비서관으로 재직했고, 청와대 시스템을 잘 알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리고는 가석방 대상 선정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이 큰 원칙과 기준을 정하게 되면, 법무부가 받고 심사위원회가 의결해 법무부 장관과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실시한다고 설명했고 그 과정에 문재인이 관여할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60]

민정수석과 특별사면

민정수석이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는 일부 주장과 달리, 참여정부를 포함한 역대 정부에서 특별사면 대상 선정은 법무부와 함께 민정수석이 늘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51]

2003년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 사면에는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 내정자와 법무부가 논의하여 사면의 폭을 결정하였고,[61] 2003년 4월 문재인 민정수석의 공안·노동사범 사면약속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기도 하였다.[62] 2003년 이석기가 석방된 광복절 특사 때 문재인은 "장기복역자나 행형성적 우수자 등의 선별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모범수들은 특별히 숫자에 제한을 두지 않고 사면할 것"이라고 말해, 법무부 기준을 충족시키면 민정수석실에서 사면 폭을 넓게 적용할 것을 밝혔다.[52] 2003년 말에도 노무현 대통령은 문재인 민정수석에게 김대중 정권 시절 대북송금 사건 관련자에 대해 사면 검토를 지시했고, 어떤 방법으로든 사면을 성사시키도록 독려하였다.[63] 2005년 김대중의 두 아들 김홍업, 김홍걸이 광복절 특사로 풀려날 때도 문재인은 "전임 대통령이 국가에 한 공헌 정도와 이미 고령이라는 것 등을 종합해, 인간적인 측면에서라도 사면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64]

이후에도 참여정부는 물론이고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민정수석이 항상 사면을 주도해 와, 민정수석의 특별사면 대상 선정에 대한 논란이 늘 존재해 왔다.[53][65][66]

사건 이후 정치권 공방

이후에도 2015년 4월 새누리당 대표였던 김무성국가 내란을 기도했던 이석기가 사면된 것에 대하여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문재인이 국민 앞에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재차 요구하였다.[67] 또한 2017년 2월 김문수경기도지사는 문재인이 집권할 경우 이석기가 또 석방되고 종북정당이 다시 생겨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68]

2017년 조기 19대 대선이 확정되고 문재인이 유력 대선후보로 부상하자, 이와 관련된 공방에 다시 불이 붙었다. 자유한국당 정우택 비상대책위원장 권한대행은 "바다이야기·아들 채용·이석기 사면이 문재인의 3대 문제"라고 꼽고 공세에 나섰다.[69] "역대 정권에서 가장 잘못된 사면은 노무현 정권 때인 2003년 이석기 특별사면과 2005년 특별복권"이라며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문재인의 책임론을 제기하였다.[69] 정우택은"이석기는 재심에서 2년 6개월의 실형을 받고 대법원 상고를 제기했지만 6일 만에 취하했고 사면됐다"며 "당시 이석기에 대한 특별사면과 복권을 담당했던 문 후보는 노무현 정권과 이석기의 커넥션 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하였다.[69]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 후보는 2017년 4월 11일 오전 경기 파주 임진각에서 ‘보수대통합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통진당 이석기 전 의원은 이미 2003년도에 반국가단체구성죄로 징역 2년6월의 실형을 받았다. 애국가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북한 혁명가인 적기가를 합창한 사람”이라고 언급하였다.[70] 이어 “불과 5개월 만에 광복절 특사로 공안사범 중 유일하게 가석방을 해주고, 다시 2년 뒤에 특별복권까지 시켜준 장본인이 당시 대통령 민정수석이던 문재인 후보”라고 지적하며, “통합진보당과 이석기에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문을 열어줬다. 이런 사람에게 대한민국을 맡겨서는 안 된다”고 문재인에 대한 공세를 펼쳤다.[70]

낮은 단계 연방제 통일 방안 논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방제 통일 방안을 기념하는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

2012년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남북간 국가 연합 또는 낮은 단계의 연방제는 다음 정부에서 반드시 실현시키겠다는 문재인의 구상이 논란이 되었다.[71] 문재인은 2012년 8월 김대중 대통령 서거 3주기 추도식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이 땅에 자유와 민주, 복지와 통일의 길을 앞장서 열어주신 분"이라며 "김 전 대통령께서 꿈꾸셨던 국가연합 또는 낮은 단계의 연방제 정도는 다음 정부 때 정권교체를 통해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말했다.[72]

남북의 국가 연합은 대한민국이 1991년 발표한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이래로 추진하는 통일 방안이고, 낮은 단계의 연방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73년부터 주장한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을 느슨한 형태로 개정하여 추진하는 통일 방안으로, 6·15 남북 공동선언에서 김대중과 김정일 두 정상 간 이 둘의 공통성을 인정한 바 있다.[73] 그러나 연합은 유럽 연합과 같이 중앙 정부의 구속력이 약한 복수 국가들의 연합 체제이고,[73][74] 연방은 미국과 같이 중앙 정부가 지방 정부들을 상당 부분 통제하는 단일국가 체제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73][7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려 연방제는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라는 논리에 따라, 낮은 단계의 연방제 수준으로 개정된 이후에도 변함없이 국가보안법 폐지, 주한미군 철수 등을 선결 조건으로 통일하는 것을 견지해 왔다.[73][76][77]

이같은 사실에 근거해, 대표적인 보수 인사인 조갑제월간조선 대표는 문재인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구상을 반헌법적인 구상이라고 지적하였고,[78]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조갑제의 말을 인용해 문재인을 종북주의자로 규정하여 비판하였다.[79]

2017년 4월 25일 대선토론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는 "김대중 정부 당시 개최된 6·15 정상회담과 관련해, 문재인 후보가 '국가연합론'과 '낮은 단계의 연방제'를 여러 번 섞어서 썼다"고 지적했고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에 찬성하나"라는 질문에 문재인 후보는 "두 안(案)이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80] 김일성은 "연방제 통일을 점차 완성해나가는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도 내놓아 통일을 바라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받아들일 수 있는 넓은 길을 열어줬다"고 했다.[81]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 논란

문재인국가보안법의 일부 또는 전면 폐지를 일관되게 주장하였다.[82][83]

국가보안법 제7조는 개정에도 불구하고 위헌성이 조금도 해소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구법에는 없었던 '국가변란을 선전 선동한 자'에 대한 처벌 규정을 삽입하여 범죄 구성 요건의 추상성과 불명확성을 오히려 증폭시키기까지 하였다.

— 《부림사건과 국가보안법 제7조의 위헌성》 中

민정수석을 두 번 하면서 국가보안법을 폐지하지 못한 것은 뼈아픈 일이었다.

— 문재인의 《운명》 327-328쪽

문재인의 이같은 주장에 국정원장을 지낸 남재준은 문재인이 국정원을 무력화 시키고 결국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려는 꼼수를 쓰고 있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84]

기무사령관에 보안법 폐지 압박 논란

2012년 11월 참여정부 시절 기무사령관을 지냈던 새누리당 송영근 의원은 《신동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무사령관 재직 시절 "문재인 후보가 수석으로 있던 민정수석실은 안보 흔들기에 적극 참여했다"고 주장하였다.[85] 송영근은 2003년 여름 청와대에서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문재인 민정수석과 함께 저녁 만찬을 했었는데, 만찬장을 나설 때 문재인이 "사령관께서 총대를 좀 메주십시오"라고 부탁했다고 회고했다.[85] 그 때 노무현 정부는 국가보안법 폐지를 추진하고 있었지만, 송광수 검찰총장, 최기문 경찰청장 등 모든 공안 담당자가 다 반대하고 있었기 때문에, 송영근에게 보안법 폐지에 앞장서달라고 부탁한 것으로 보였다고 송영근은 밝혔다.[85]

2017년 4월 19일 이루어진 대통령 선거 후보 토론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송영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2003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문재인 민정수석이 기무사령관을 불러 국보법 폐지를 요구한 적 있느냐"고 관련 의혹에 대해 추궁하였다.[86]

한총련 합법화 논란

문재인은 한총련 소속 대학생들의 미군 훈련장 난입 사건에 대해 한총련의 합법화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재인은 한총련의 합법화에 대해 "대학생들의 대표조직이 이적 단체라고 해서 거기에 가입하면 이적단체 가입으로 처벌받는 것은 하루빨리 해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국민이 충분히 인정할 만큼 한총련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그동안 지적해왔다"며 "부분적으로 수배 해제등 정부가 성의를 다하면서 변화를 유도하고 촉구해 왔던 것인데 한총련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아서 조금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문재인은 합법화의 의미에 대해 "법원이 일단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판단하지 않는 것이며 검찰이 더이상 이적단체 가입 등으로 기소하는 일이 없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87]

김정일 조문 논란

2011년 12월 1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사망한 후, 노무현재단에서 문재인과 권양숙을 비롯한 김정일 조문단을 파견하기로 추진한 것이 논란을 빚었다.[88] 김정일 사망 직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었던 문재인은 이해찬 전 국무총리, 정동영·이종석·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고영구·김만복 전 국정원장, 윤광웅 전 국방장관 등 참여정부 외교·안보 각료 출신들과 긴급 간담회를 가진 후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89][90] 그러나 당시 천안함 사건연평도 포격이 발생한 지 얼마 안 되는 시점이라, 보수 단체 및 인사들을 중심으로 이같은 결정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커다란 반발이 일었다.[91]

정부 여당은 국민정서를 고려해 정부와 국회 차원의 조문은 하지 않기로 하고, 민간 차원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의 유족의 조문만 허용하기로 결정하였다.[92] 이에 노무현재단 측은 즉각 반발하였고, 김대중 측 인사인 박지원도 남북정상회담에 참가했던 권양숙의 조문은 허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끝내 방북이 성사되지는 못 하였다.[92][93]

평창 올림픽 남북 공동 진행 주장 논란

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문재인이 비무장지대지뢰를 제거하고 철조망을 헐어서 평창 동계 올림픽크로스 컨트리 경기장을 강원도 고성 지역에 남북이 공동으로 건설하는 것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일었다.[94][95] 문재인의 이같은 제안에 새누리당은 평화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올림픽을 국제정치와 남북문제의 종속변수로 전락시켜버리는 위험성이 있다며 즉각 반발하였다.[96]

문재인은 2015년 1월에도 평창 올림픽 남북 분산 개최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을 빚었다.[97] 2017년 1월에는 북한의 금강산 호텔이나 마식령 스키장 등을 숙소나 훈련시설로 활용하고 금강산에서 동시 전야제를 하면 세계적인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며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였다.[98]

대북 경제 제재 조치 해제 주장 논란

5.24 조치 해제 주장 논란

광복 70주년을 맞아, 천안함을 폭침시킨 배후로 지목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제재 조치인 5.24 조치를 해제하자는 문재인의 주장이 논란이 되었다.[99] 이는 2015년 8월 4일 북조선의 DMZ 지뢰 도발 사건 직후 이뤄진 발언으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러한 문재인의 주장이 부적절하다고 일축하였다.[100] 황교안 국무총리 역시 문재인의 이같은 제안에 북한의 상응하는 조치가 있어야 해제가 가능하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101] 한편 5.24 조치 해제 제안은 햇볕정책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라는 문재인의 자평에 대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직계인 동교동계 인사들 역시 햇볕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북과의 대화와 협력은 중요하지만 지뢰 도발 사건 직후 어떻게 그런 제안을 할 수 있냐며 달가워하지 않았다.[102] 이런 논란에 대해 한국갤럽이 대한민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북측의 태도 변화 없이는 5.24 조치를 해제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69%로 대다수를 차지했다.[103]

개성공단 재가동 주장 논란

개성공업지구

또한 북조선의 4차 핵 실험에 대응하는 제재 조치로 박근혜 정부가 2016년 2월 개성공단을 폐쇄시키자, 문재인이 이에 대해 강하게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는 것 역시 지속적인 논란이 되었다. 문재인은 개성공단 폐쇄 직후, 트위터에서 개성공단 폐쇄결정은 박근혜 정부 최악의 잘못이고 개성공단 폐쇄를 제재수단으로 사용해선 안된다며 폐쇄 철회를 요구하였다.[104] 이에 여당인 새누리당은 대체 어느 나라 의원이냐며 문재인을 비롯한 운동권 세력의 국론분열 발언은 북한 김정은 정권을 이롭게 하는 이적행위라고 규정하면서 문재인의 주장을 맹비난했다.[105] 이 문제와 관련하여 2016년 2월 15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문재인과 한민구 국방부장관 사이에서 격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106]

이후에도 문재인은 개성공단 폐쇄를 멍청한 짓이라고 맹비난하며,[107] 대통령 당선 시 개성공단을 즉각 재개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108] 문재인은 “개성공단 폐쇄도 최순실 작품”이며 “북한에 시장경제를 전파하고 북한에 자본주의체제,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보여주고 북한 주민들을 우리 편으로 끌어들이고, 그리고 유사시에는 북한이 중국에 손을 내미는 것이 아니라 우리 대한민국에 손을 내밀게 대한민국에 의존하게 하여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북한에 급변사태가 생긴다 해도 북한이 중국에 손을 내밀지 않겠나. 그러면 또다시 친중 정권이 생기는 것”이라며 “잘못하면 동북삼성 아니라 동북사성 되는 거다. 이렇게 멍청한 짓이 어디있나”라고 박근혜 정권을 비난했다.[109]

이에 유엔과 국제사회의 전방위적인 대북 제재에 대한 국제 공조의 일환으로 결정된 개성공단 폐쇄를 철회하는 것은 스스로 국제 공조를 허무는 것이란 비판의 목소리가 일었다.[110] 새누리당 탈당파가 모인 중도 보수 정당인 가칭 개혁보수신당유승민 의원 역시 만약에 문재인이 대통령이 된다면 안보가 걱정이라며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111] 한편,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북조선 고위인사인 태영호영국 주재 북조선 대사관 공사는 이같은 개성공단 폐쇄 논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대한민국 내 정치 문제와는 선을 그으면서도, 만약 한국이 개성공단을 폐쇄하지 않았다면 다른 나라들이 대북 제재를 따라 왔을 지 의문이라며 사실상 개성공단 폐쇄의 당위성에 힘을 실어주었다.[112]

이에 대해 문재인은 "개성공단은 유엔 결의안 대북 제재 속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박근혜인지 최순실인지 어떤 나라에서도 언급하지 않은 개성공단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과잉조치를 취했다고 비판했다.[113] 또한 "북한에 대해 더욱 강력한 제재와 압박이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북한을 협상 테이블에 앉히기 위해서는 그것만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대화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논박했다.[113]

나아가, 문재인은 “정권교체를 이루면 당초 계획대로 개성공단을 2단계 250만 평을 넘어 3단계 2000만 평까지 확장하겠다”고 밝혔다.[114] 그러나 대한민국 헌법에는 국제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되어있고 유엔 안보리 국제법에 따르면 북한에 경제적 이득을 줄수 있는 공단을 건설하는 것은 유엔 안보리 국제법 위반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재인이 개성공단을 확장하겠다는 발언은 결국 유엔 안보리 국제법을 위배하고 대한민국 헌법을 위배하겠다는 발언으로 볼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115][116] 2017년 4월, 미국 의회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법안을 통과시킴으로서 남북 경제교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었다.[117][118]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문재인 후보를 향해 "문재인 후보가 공약한 개성공단 2천만 평 확장은 창원 국가 산업단지의 3배로 북한 일자리 창출"이라고 직격탄을 쐈다. 북한과 경제 협력을 통해 북한 문제를 풀려는 시도 자체가 핵무기를 만드는 북한을 돕는 꼴 밖에 되지 않는다는 지적으로, 문재인 후보의 안보관과 경제관을 동시에 비판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홍준표 후보는 4월 19일 KBS에서 진행된 '2017 대선후보 초청 토론'에 참석해 "개성공단 2천만 평이 되려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200개가 개성으로 올라가야 한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홍준표 후보는 "중소기업 200개가 개성으로 올라가면 우리나라 청년 일자리는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며 "개성공단 역시 싼 임금 때문에 간 것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후보는 "그렇게 되면 우리가 북한 땅에 진출하는 것"이라며 "북한의 값싼 노동력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원·부자재를 납품하는 협력업체가 생기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북한에 개성공단 업체가 200개 생기면 국내에 하청 업체가 1,500개가 생긴다는 주장이다. 이에 홍준표 후보는 "개성공단은 북한의 값싼 노동력을 활용해야하는 영세업체들을 중심으로 구성되기에, 이들과 함께하는 협력업체들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119][120][121]

하지만 문재인 후보는 집권 이후 조건 없이 바로 개성공단을 재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27일 “적어도 북한이 핵 개발을 동결하고, 핵 폐기를 위한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개성공단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122] 문 후보는 2017년 4월 2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2차 대선후보 TV토론에서 개성공단 폐쇄는 “유엔의 대북제재 속에선 포함되지 않았지만 대량 현금결제 우려가 있으니, 그런 부분에 대한 국제적 제재와 보조를 맞춰야 한다”며, “무조건 공단 재가동 및 2000만 평으로의 확대 계획 이행을 하자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123]

유엔 대북 인권결의안 기권 과정 논란

송민순 회고록 폭로 파문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던 송민순이 2016년 발간한 회고록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 2007년 12월 18일 제62차 유엔 총회 대북 인권 결의안(유엔 총회 결의 62/167)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투표 방침을 당사자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 사전 문의 후 결정하도록 주장했다고 폭로해 파문이 일었다.[124] 송민순은 2007년 11월 18일 관계 장관 회의에서 북측의 의견을 확인해보자고 정한 후 북측에 의사를 물었고, 20일에 북측의 반대 의사를 확인하고 기권 입장을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125]

한편, 정부 외교·안보 수뇌부 간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자, 문재인이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의 제안을 수용해 북한의 의견을 사전에 물어보자고 회의를 정리했다는 이야기도 제기되었다.[126] 반면에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자신이 그런 제안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억은 엇갈렸다.[126] 설사 문재인이 회고록 내용대로 발언했더라도 '기권 결정은 16일 회의에서 최종 결정됐던 것'이라는 다른 회의 참석자 주장을 감안하면 이는 '사전 협의'가 아닌 '통보'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는 의견도 있었다.[126] 또한 송민순의 주장을 입증할 추가 자료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도 제기되었다.[126]

미국 측 기록

그러나 당시 주한 미국 대사였던 알렉산더 버시바우가 유엔 대북 인권 결의안(유엔 총회 결의 62/167) 표결 이틀 전인 2007년 11월 19일 조중표 외교부 1차관을 찾아와 "한국이 찬성 투표해 줄 것"을 마지막으로 요청했지만 명확한 답을 듣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송민순도 회고록에 이 내용을 똑같이 쓴 것으로 알려져 관련 파문은 가시지 않았다.[125] 기밀문서 폭로 사이트인 위키리크스에 의하면, 대한민국 외교부 담당자가 주한 미국 대사관 정무참사관과 만난 자리에서 대한민국이 기권하기로 한 최종 결정은 표결하기 두 시간 전에야 이뤄졌다고 밝혀, 표결 직전까지 미국에 대북 인권결의안 기권 결정이 알려지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127] 미국 측은 표결 직전까지 우방국과 결정 내용을 공유하지 못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고 알려졌다.[125]

즉, 문재인 측의 주장대로 16일에 기권 결정 후 18일에 북측에 통보를 했든, 송민순의 회고록대로 18일에 북측에 의사를 묻고 20일에 답변을 받은 후 기권을 결정했든, 미국 측에는 정보 공유를 하지 않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긴밀히 협의하고 있었다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125]

문재인의 해명 및 항변

2016년 10월 17일 문재인은 이러한 논란들에 대해 "인권결의안에 관한 사안은 기억에 거의 없는 상황"이고 "사실관계는 당시를 잘 기억하는 분들에게 물으세요"라고 해명했다.[128]

2017년 1월 15일 문재인은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회의는 안보실장이 주재하는 회의였고, 비서실장(본인)은 단지 참관하는 역할이었을 뿐 결정을 내릴 입장이 아니다."라고 반론하였다. 해당 논란은 송민순 전장관의 주관적인 착오에서 비롯된 일이라 일축하였다. 당시 배석자였던 김장수 전 국방장관,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김만복 전 국정원장,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기억과 기록이 이와 다르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113] 또한 문재인은 이러한 문제 제기에 대해 "우리가 새누리당처럼 북한과 내통해 우리 군에 총질해 달라는 반역죄라도 지었나. 10년 전 일에 대한 한 사람의 주관적인 회고록을 가지고 한 건 잡았다는 듯이 구시대적 색깔론을 들이대며 혹세무민하는 행태, 부끄럽지도 않나"고 일갈했다.[129] 또한 종북 논란에 대하여 "특전사 출신인 저보고 종북이라는 사람들, 병역기피하고 방산비리 저지르는 자들이 진짜 종북"이라 맞대응했다.[130][131]

2017년 2월 9일 문재인은 JTBC 썰전에서 "외교부장관이 찬성에 대해 북한도 반발하지 않을거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반발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찬성해야지. 외교부 체면도 서고 보수층 지지도 얻을 수 있고. 그렇다면 찬성으로 갈 참이니까 확인해보자 해서 국정원이 북한의 입장을 확인한건데 국정원의 답변은 북한 반발이 심할 것 같고 후속회담에 차질이 있을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기권이다가 됐다. 전과정에 대해 외교부장관 본인도 동의했다"고 해명했다.[132]

2017년 4월 19일 문재인은 KBS 대선 토론에서 "국정원을 통해 북한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 파악을 해봤다는 것이다. 북한에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국정원이 해외라든지 휴민트 등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국정원 통해 북한의 반응을 판단해 보도록 했다 그런 뜻이다.국정원 자체 정보망을 가동한 것이다. 여러가지 해외에 있는 정보망, 휴민트 등 국정원 정보망이 많다. 외교부도 당시엔 자신들 정보망에 의하면 북한이 인권결의안 찬성에 대해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나름의 외교부 정보망으로 판단을 한 것이다. 그러면 국정원 측의 판단은 어떠냐, 그렇게 판단을 구하게 된 것이다."라고 해명했다.[133]

2017년 4월 22일 문재인은 울산 롯데백화점 광장에서 열린 유세장에서 "북한에 먼저 의견을 물은 것이 아니라 이미 기권 결정을 내린 후 북한에 통보했다"고 해명했다.[134]

해명 번복 주장 논란

한편, 문재인이 '선 기권, 후 통보'라고 말했던 것이 나중에 '선 문의, 후 기권'으로 말이 바뀌는 등 해명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135]

하태경은 문재인이 말 바꾸기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국민들을 바보로 아는 것인가. 이렇게 다른 얘기를 해놓고 들키지 않고 넘어갈 수 있다고 본 것인가"라고 비판했다.[135] 이어 "2007년과 똑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또 북한에 물어보고 결정할 것인가"라며 "사드 문제도 다음정부로 넘기자고 했는데 그것도 북한에 물어보고 넘길 텐가"라고 지적했다.[135]

2017년 4월 19일 밤 진행된 제2차 대통령선거 후보 토론회에서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회고록 논란이 다시 한 번 테이블 위에 올라왔다.[136] 한편, 머니투데이 측의 팩트 체크 기사에서 실제 '썰전' 발언 내용을 복기한 결과, "국정원에게 북한에 물어보고, 확인하게 했다"는 발언을 문재인이 한 적이 없으며, 유 후보 보다는 문 후보의 말에 발언 내용이 더 가까웠다고 분석하였다.[137]

송민순의 청와대 문건 공개

문재인 측이 관련 의혹을 계속 부인하자, 송민순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반박 문건을 제시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138] 송민순은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북한에서 받은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문서에 찍힌 로고는 청와대 마크다.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에게 안보실장이 20일 저녁 6시30분에 접수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는 내용이 서류 밑에 적혀 있다."며 2007년 11월 인권결의안 투표와 관련된 북한 측 반응을 정리해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전달됐던 청와대 문건을 공개하였다.[138] 청와대 문건에는 인권결의안을 통과시킬 시 남북관계에 위태로운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경고가 적혀있었다.[138]

문재인은 이른바 '송민순 메모지'는 선거 때마다 도지는 색깔론 공세라며, 특히 안철수 후보를 겨냥해 기존 야권까지 색깔론에 가세했다고 비판하였다. 또 문재인 측 진성준 TV 토론단장은 SNS에 사전 문의 의혹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탐색전 차원에서 북한의 정확한 의중을 파악한 게 뭐가 문제냐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가 논란이 일자 삭제하였다.[139]

한편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은 노무현 정부 시절의 안보정책 의사결정 구조상,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주장에는 모순이 있다고 말했다.[140]

또한 김연철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애초 주장 자체의 모순점을 지적했다. 김 교수는 “북한에 물어보고 말고 할 사안이 아니다”며 “결정이 내려진 상황에서, 국정원이 북한의 반응을 탐색할 수 있다. 그 결과를 송민순에게 왜 보여주었겠는가? 상황파악 좀 하라는 뜻”이라고 당시 상황을 해석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은 통일부의 기권 입장을 받아들였지만, 끝까지 외교부 장관의 체면과 위신을 살려주려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말했다.[141]

2017년 4월 24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측은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을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과 후보자 비방 공직선거법 위반,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및 공무상 비밀 누설 혐의로 형사고발 조치했다.[141]

김만복 녹음파일 공개

문재인이 지난 2007년 북한 인권 결의안에 대해 북한 측에 기권이 아닌 '찬성한다'는 의견을 북한에 확인했다는 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육성파일이 2017년 4월 22일 공개됐다.[142]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김 전 국정원장과 일요신문의 지난 3월 31일 통화 녹음 내용을 공개했다.[142]

당시 회의록 공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측은 4월 23일 이른바 ‘송민순 문건’ 논란과 관련 자료를 두 건 공개하면서 반격에 나섰다. 지난 2007년 11월 16일 노무현 대통령이 주재한 회의 내용 일부와 이틀 뒤인 11월18일 청와대 서별관에서 개최된 외교안보 간담회 배석자의 기록이다.[143]

문재인 후보 측 김경수 대변인은 이날 자료를 공개하면서 “외교안보·남북관계 관련 기록과 자료를 공실을 왜곡해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 최소한의 범위에서 관련 자료와 기록을 밝히는 바”라며 자료를 공개했다.[144]

이에 대해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은 문재인 측이 또다시 거짓말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145] 하태경은 북한의 입장을 확인한 것은 2007년 11월 16일 회의 이후 발생한 상황이므로 16일 회의록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였다.[145] 그는 "16일 안보정책조정회의에서 기권 쪽으로 가닥을 잡았어도 주무장관인 송민순 외교부 장관이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재논의를 지시하여 20일 저녁 싱가포르에서 노무현 대통령, 송민순 외교부 장관,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최종 미팅한 것"이라고 밝혔다.[145] 하태경은 당시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이 21일 브리핑에서 20일에 대통령이 기권을 결정했다고 공표한 사실을 지적해, 16일이 아닌 20일에 최종 결정이 이루어졌음을 분명히 하였다.[145]

하태경의 지적대로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2007년 11월 21일 노무현의 싱가포르 방문 당시 기자회견에서 "어제(20일) 저녁 늦게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유엔 대북결의안 문제에 대해 보고를 했고,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이 기권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146]

또한 문재인 측에서 공개한 18일 회의 메모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보내는 통지문 문안까지 검토했다고 돼있는데, 그래놓고 문재인이 토론에서 북측에 물어보지 않고 여러 가지 정보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아봤다며 거짓말을 하였다고 비난하였다.[145] 이어 하태경은 문재인이 직접 '기권 방침 통보만 했을 뿐'이라고 해명하였는데, 18일 메모에는 그런 내용이 하나도 없으며, 오히려 찬성 입장을 밝히자는 얘기는 있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그는 18일 메모는 역으로 문재인의 거짓말을 입증할 뿐이라고 주장하였다.[145]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 역시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던 문 후보와 결의안 표결 직전인 20일까지 논의를 했다", "문 후보가 남북채널의 반응이 중요하니 보고 결정하자는 말을 했다"며 문재인 측의 해명을 반박하였다.[147]

방북 우선 발언 논란

중앙일보에서 진행한 도올 김용옥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 당선 시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모두 갈 수 있다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먼저 방문하겠다는 문재인의 발언이 논란이 되었다.[108] 인터뷰에서 문재인 전 대표가 대통령에 당선됐을 경우, 미국과 북한 중 어디를 먼저 가겠느냐는 질문에 문 전 대표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주저 없이 말한다. 나는 북한을 먼저 가겠다.[148][149]

정치권의 반발

대통령 당선 후 전통적인 우방국인 미국보다 군사적 대치 중인 북한을 먼저 방문하겠다는 문재인 전 대표의 발언에 대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미동맹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태도라고 크게 반발하였다. 새누리당은 끔찍한 발언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강력하게 비난하였고,[150] 김종필 전 국무총리 역시 2017년 1월 29일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문재인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기가 막히다. 정신이 제대로 박힌 사람인가."라며 문재인의 안보관을 거세게 비판하였다.[151]

문재인과 같은 당 이재명 성남시장도 문재인을 겨냥해 우리나라 안보의 가장 중요한 주춧돌이 한미동맹인데 당연히 고민할 것 없이 미국부터 가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해당 발언을 비판하였다.[152]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한미동맹을 포기해서는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없기에 먼저 미국을 가서 대북정책을 논의하는 것이 옳다고 언급하며, 문재인의 입을 탄핵해야 할 때라면서 비난 수위를 높였다.[153]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전 대표가 차기 한국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주한 미군 철수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FP)가 전망했다. FP는 2016년 12월 27일(현지시간) ‘트럼프의 아시아를 통한 중심축’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문재인이 대통령에 당선되면 트럼프가 한국 보호 비용 부담액의 증액을 요구할 것이고, 문재인은 미군이 떠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포린 폴리시 전문지는 “친미 정당 출신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가 진행되고 있고, 그의 뒤를 이을 선두주자는 좌파 문재인이다”면서 “이 주자는 반미 성향이 강하고, 북한과 대결보다는 화해를 모색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154][155][156][157]

문재인의 입장 견지

문재인은 대한민국 대통령은 무조건 미국 먼저 가야한다는 고정관념을 이제 극복해야 한다면서,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오랜 동맹국인 미국과 협의 후에 북한을 먼저 가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또한 감시정찰정보역량과 정밀타격능력을 키우는 등 자주국방력을 강화하여 전시 작전통제권을 조기 환수하겠다는 입장도 견지했다.[158][159]

2015년 3월 중국공산당의 초청에서 문재인은 "통일 후에도 주한미군 주둔이 필요하다"며 주한 미군 주둔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160] 그러나 2017년 2월 미국의 하원 외교위원회는 한국의 유력 대선 주자인 문재인의 친북 반미 성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161] 북한과의 경제 협력을 지지하는 문재인은 자칫 미국과 유엔 안보리의 북한 경제 제재 동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것 때문이다.[162] 게다가 사드 배치에 대한 문재인의 입장이 오락가락한 점도 지적했다.[163]

북한 주적 여부 논란

대선 토론회 쟁점과 논란

유승민 후보는 4월 19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열린 2017대선후보 KBS 초청 토론회에서 문재인 후보에게 “북한이 주적인가”라고 물었고 문재인 후보는 “그런 규정은 대통령으로서는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164]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문재인 후보를 겨냥해 "엄연히 우리 국방백서에는 주적이 북한으로 나와있다"며 "우리의 주적은 북한이다"라고 직격했다.[165]

국민의당 전 통일부 장관 출신 정동영 의원은 "안보 상대로서 북한이 있는 것이지만 민족내부의 특수한 관계 때문에 통일부를 설치한 것이며 이런 양면적 성격을 다 통합하고 고려해서 한반도 문제에서 일단 평화를 만들고 평화적 통일을 향해하는 것이 다음 지도자의 역할이지 주적이냐 부적이냐를 갖고 (논쟁) 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고 소모적"이라며 주적 논쟁을 비판했다.[166]

국방백서 주적 표현 여부

하지만 유승민의 주장과 달리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주적' 용어를 삭제한 이래로 보수정권인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도 대한민국 국방백서에 북한이 주적이라고 명기한 적은 없다. '2016 국방백서'의 경우 "북한 정권과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다"로 규정할 뿐 주적이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다.[167] 또한 북한 주민을 비롯한 북한 전체를 적으로 규정한 것도 아니다. 군은 실제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주적이라는 명확한 대상을 대외적으로 지목하지 않고 있다.[168] 국방부는 4월 20일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는 '북한=주적(主敵)' 개념에 대한 공식 입장과 관련해 군에서는 주적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다며 논란 확산을 경계했다.[169]

국방부는 1995년부터 '주적'이란 용어를 사용해오다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주적'을 삭제하고 '군사적 위협'이란 표현으로 바꿨다.[170] '2016 국방백서'에는 "북한 정권과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다"고 표현하고 있다.[171][172] 북한을 '주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이유는 '주적'이란 '주된 적' 또는 제 1의 적이라는 뜻이 됨으로, 북한이 제 1의 적이라면 부수적인 적 또는 제2의 적이 누구냐는 소모적 논쟁을 촉발할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주적이라는 표현이 삭제되었고 주적 표현 삭제 여부와 관계 없이 우리 군의 대적관은 변함이 없다.[173]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우리의 적이라는 표현이 주적과 같은 뜻인가"라는 추가 질문에 "그렇게 이해를 해도 된다"고 답하고는 "표현 그대로 북한 정권과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다, 그렇게 이해를 하면 되겠다"며 의미를 바로잡았다.[174] 그러나 논란이 일자 국방부는 두 용어가 같은 개념은 아니라며 "적은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표현"이라고 정정하였다.[175] 군 통수권자인 역대 대통령 중 북한을 명시적으로 '주적'으로 언명한 사례는 찾기 힘들다.[176]

문재인 측 해명

한편, 문재인 후보는 4월 20일 “남북관계가 개선된 후 북한을 주적으로 삼은 규정이 없다”며 “다만 엄중한 남북관계와 실질적인 북핵 위협으로 인해 ‘적’이라고 국방백서에서 다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은 군사적으로 대치한 위협이 되는 적이 분명하다”면서 “다만 헌법에 의해 우리가 함께 평화통일을 해낼 대상”이라고 밝혔다.[177] 이어 그는 "각 부처들이 북한을 대하는 입장이 달라야 한다"며 "국방부"는 북한을 적으로 현실적인 안보위협으로 인식하면서 국방의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하고, "외교부"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서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남북관계를 개선하려는 노력해야 한다. "통일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공조하면서도 남북간 별도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대통령"은 그 모든 것을 다 함께 관장하는 종합적인 위치에 있어야 한다고 발언하였다.[178]

위키리크스 일심회 간첩단 폭로 논란

4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개최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홍준표 후보는 일심회 간첩단과 관련해 "당시 김승규 국정원장이 일심회 간첩단 사건과 관련된 사건들을 수사하면서 보니 문재인 후보의 세력들, 386 운동권 세력들이 많이 개입했고 일부는 북한에 정보를 넘겼다"며 "노무현 정부에서 수사를 그만두라고 해서 수사가 중단됐고 그걸 버시바우 당시 미국 대사가 미국에 보고해 위키리크스에 폭로됐다"고 주장했다.[179] 문재인 후보는 "참여정부는 검찰 수사에 개입한 적이 없는데 그야말로 가짜뉴스같다"며 "성완종 메모에 나오면 (뇌물수수가) 진짜냐"고 반박했다.[179]

위키리크스는 ‘일심회 간첩단 사건' 및 '386간첩단' 수사에 착수했던 김승규 당시 국정원장이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사퇴 요구로 그만뒀다고 폭로했다. [180][181]

또한 노무현 대통령이 김승규 국정원장의 후임으로 김만복 원장을 승진한 것과 관련 "청와대가 국정원을 강력하게 장악하려는 것으로 보이며, 수사 초기 단계에 있는 ‘간첩사건’을 은폐하려는 것으로 본다“고 보고했으며,[182] 노 대통령이 2006년 10월 25일(미국 시간 기준) 청와대 내부회의에서 김승규 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고 말한다"고 적었다.[182]

하지만 경향신문 측의 팩트 체크 기사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언급한 해당 외교전문들을 찾아본 결과 “문재인 그룹” 관련 언급을 찾아볼 수는 없었다.[183]

2006년 11월 1일 작성된 ‘한국의 새 국가정보원장 지명’이라는 제목의 외교전문은 국정원장이 김승규씨에서 김만복씨로 교체된 사실을 보고하며 김승규씨의 갑작스러운 하차 배경에 국정원의 간첩단 사건 수사가 있을 수 있다는 한국 내 관측을 전했다. 하지만 그것만이 김승규 원장 하차 배경은 아니라는 언급을 덧붙이며 더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문재인 후보는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국정원 수사에 관여할 위치에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문재인 후보와 관련된 사람들이 간첩단에 연루되었기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김승규 원장을 경질시켰다는 얘기는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184]

노무현 대통령은 2006년 10월 27일 문재인 전 민정수석을 정무특별보좌관으로 임명했다.[185] 김승규 전 국가정보원장은 2006년 11월 23일 퇴임했다.[186] 문재인은 2006년 10월 27일 정무특별보좌관으로 임명하였고 김승규 전 국가정보원장이 간첩 사건으로 퇴임한 것은 2006년 11월 23일이었기 때문에 경향신문의 팩트 체크와는 달리 김승규 전 국가정보원장이 퇴임할 당시 문재인은 민정수석이 아니라 정무특별보좌관이었다.[185][187]

북한이 "드디어" 핵미사일 개발 발언 논란

2017년 4월 25일 대선 토론에서 문재인 후보는 북한이 "드디어" 장거리 미사일에 탑재 될 정도로 핵무기를 개발했다는 발언을 했다.[188] 자유한국당은 4월 26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안보관을 재차 도마 위에 올리며 집중 공세에 나섰다. 김성원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어제 TV토론에서 문 후보는 북한 핵·미사일 질문에 '드디어 장거리 미사일에 곧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고도화됐다'라고 했다"며 "'드디어'는 통상 기다렸거나 바라던 일이 이뤄졌을 때 쓰이는 부사"라고 말했다.[189] 하지만 문재인 후보는 성사되면 자신에게 불리해질 수 있는 보수 후보 단일화에 대해서도 "안 후보와 유승민·홍준표 후보의 '후보 단일화'라는 말이 드디어 공개적으로 나온다", "드디어 적폐 연대가 형성되나 해서 물어보는 거죠"라고 물어보았다.[190][191]

탈북자 단체들의 문재인 지지 및 반대 논란

한반도평화통일재단, 세계탈북민위원회 주최 '제2회 탈북민대회'가 4월 2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빌딩 12층에 모여 선언문을 통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 탈북자들이 집단으로 해외 망명하겠다"고 밝혔다.[192][193][194]

하지만 모든 탈북자가 문재인 후보에 부정적인 입장은 아니며,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는 탈북자들도 많이 존재한다. 한반도민주청년연합, 남북현대사산책 등 4개 탈북청년단체는 성명을 내고 “선거 때마다 독버섯처럼 자라나는 케케묵은 색깔론을 이제는 정말 끝장내야 한다”며 “북한 문제나 외교안보 정책에서 자신과 생각이 다르다고 종북 딱지를 붙이고 공격하는 것은 전체주의적 발상이며 북한식 사고방식”이라면서 “김일성 왕조가 지배하는 독재체제가 싫어 남쪽으로 내려온 우리는 문재인 후보에게 희망을 걸어본다”고 밝혔다.[195] 그리고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과 강명도 경기대 교수 등 탈북자 400여 명이 5월 4일 문재인 지지를 표명할 예정이어서 탈북자 단체 사이에서 논란이 일었다.[192][196]

사드 배치 관련 논란

2017년 1월 4일, 중국은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하며 한국속국 취급했다.[197] 같은 달 12일, 차기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북한이 계속 핵실험을 하고 미사일 탑재 기술을 고도화한다면 한·미 동맹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라도 사드를 배치한다는 입장을 중국에 강조해야 한다”고 말했다.[198] 그는 최근 중국한반도 사드배치를 핑계로 온갖 경제적 보복 조치로 우리를 압박하고 미국의 해상 X-밴드 레이다일본조기경보레이다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것에 관련해 "중국이 외교 갈등을 통상 문제로 확대해서 외교와 무관한 경제·통상 분야의 보복을 하는 것은 대국답지 못하다" 라고 강력하게 말하며 공개적으로 중국을 비판하기도 했다. 일본 교토와 아오모리현에 배치된 2개의 X-밴드 레이다한반도를 넘어 중국 내륙을 들여다 볼 수 있는것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해서만 온갖 보복 조치로 우리를 압박하고 있는 중국을 그가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또한, 중국한반도 사드 배치의 반대 논리로 자국의 군사적 움직임이 노출될 수 있다고 우리를 경제적으로 압박하면서도 정작 중국헤이룽장성푸젠성 등지에 탐지거리 5,500km의 전략경보레이다를 설치해 한반도일본은 물론 태평양까지 샅샅이 들여다 보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을 한 것이다.[199]

문재인은 대담집 출판기념간담회에서 “사드는 배치하기로 이미 한미 간에 합의가 되었다” 면서 “한미간 이미 합의가 이루어진 것을 쉽게 취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200][201][202][203] 문재인의 대선 캠프로 합류했던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은 사드 문제와 관련해 "첫째, 중국의 경제적 압력에 굴복하지 않는다, 둘째, 기존 한미 합의는 존중한다는 두 가지를 선언해야 한다"고 밝혔다.[204][205][206][207]

문재인 대선 후보는 그동안 사드 배치 찬반 여부에 대해서는 '전략적 모호성'의 입장을 취하며 "배치 연기와 국회 동의"를 줄곧 주장해왔다.[208] 그러나 4월 11일 문재인 후보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북한이 계속 핵 도발을 하고 고도화한다면 사드 배치가 강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치 연기와 국회 동의"를 요구하던 것에서 무게중심이 다소 옮겨졌다.[209]

문재인 대선 후보가 4월 17일 "사드 배치에 대한 국회비준동의를 추진하겠다"는 기존 구상을 공약에서 제외했다. 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효용성 검토 후 재연장여부 검토" 문구도 기존 공약집에 넣었다가 최종본에서 뺐다. 사실상 문재인 안보공약이 '우클릭'한 것으로 해석된다.[210] 앞서 문재인 선거대책위원회는 4월 14일 사전에 10대 공약을 발표하면서 네번째 국방분야에서 사드 한반도 배치에 대한 국회비준동의 추진과 한일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 재연장여부 결정 등을 약속했으나 사흘만인 4월 17일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공개한 10대 공약 최종본에는 완전히 뺐다. 문재인 후보는 사흘 동안 10대 공약 중에서 특히 안보분야 내용을 직접 일일이 뜯어고친 것으로 알려졌다.[210]

4월 26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박광온 공보단장은 사드 기습 배치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지금이라도 배치를 중단하고 차기 정부에서 사드 문제를 최종 결정해야 한다며, 국방부와 군은 이번 장비 반입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명히 밝히라고 요구했다.[211]

정책 논란

미세먼지 공약 미이행 논란

파일:Protest banner in South Korea calling for counter measures against particulate air pollution from China.jpg
문재인 정부의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 부족을 비판하는 시위 현수막

문재인의 주요 대선공약이었던 미세먼지 감축 노력을 위한 조치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일었다.[212][213] 문재인의 미세먼지 대책 공약은 임기 내 미세먼지 배출량 30% 감축, 친환경차 구입 보조금 확대, 전국 전기차 충전 인프라 조기 구축,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특별기구 신설, 미세먼지 한중 정상외교 주요 의제로 격상 등이었는데, 소극적인 이행이 논란이 되었다.[212][213] 국민들은 정부의 무능과 안일함에 분노를 표출했고,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미세먼지 오염원으로 지적된 중국에 대한 단호한 대응을 요구하는 청원이 쇄도하였다.[212][214]

각종 발언 논란

부산 정권 발언 논란

문재인은 2006년 부산 지역 기자들과 만나 "참여 정부를 부산정권으로 안 받아들이는 것 이해 안돼",[215], "대통령도 부산 출신인데 부산 시민들이 왜 부산정권으로 안 받아들이는지 이해가 안 된다", "한 지역에서 한 정당이 지방선거를 독점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통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대통령의 의지" 라고 한 발언에 대해 한나라당 대변인은 지역 감정 조장 발언이라면서 선거법 위반 여부를 조사해야 된다고 주장했고, 민주당 대변인은 노무현 정부가 국민과 호남인을 대상으로 사기극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215]

혁명 발언 논란

문재인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될 경우 그 다음에는 혁명 밖에 없다고 발언하였다.[108][216] 2016년 12월 조선일보는 조기 대선 정국에서 최대 수혜자라는 평가를 받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주로 어떤 말을 쓰는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심층 분석하는 연속 기획을 준비했다. 전국을 누비며 시민과 만나는 문 전 대표는 시민혁명, 촛불혁명을 강조했다. "촛불 혁명, 시민 혁명, 혁명, 혁명, 혁명, 혁명" - 총 발언 시간은 8시간이고 '혁명'은 총 97번 나왔다.[217]

새누리당은 헌법을 무시하는 초헌법적인 발언이라며, 헌법과 법률이 정한 절차가 본인 생각과 다르다는 이유로 혁명 운운하는 문재인은 국가 지도자의 자격이 없다며 강하게 비난하였다.[216][218]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 역시 지극히 위험한 발언이라고 지적하며, 광장의 분노와 불안에서 혼란과 불안으로 이어지면 안 된다며 문재인의 발언을 비판하였다.[216][219] 정세균 국회의장도 문재인의 혁명 발언을 과하다고 비판하였다.[220] 정세균은 독립적 헌법 기관인 헌재와 대한민국 국민의 품격에 걸맞은 대우와 언행을 정치지도자가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2류나 3류로 인식되는 정치인 행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였다.[220]

이에 대해 문재인은 "헌재가 촛불 민심 및 국민 뜻과 다르게 결정을 내려서 제도적 해결의 길이 막혀버린다면 국민이 저항권을 행사하는 그야말로 혁명의 상황이 될 수밖에 없다는 객관적 상황을 말한 것"이라고 했다. 또한 문재인은 "'촛불혁명''시민혁명' 등 모든 사람이 혁명을 말하고 있는데 마치 문재인이 말하니 불온한 것처럼 하고 '비헌법적'이라고 하는 건 편파적 보도"라 역설했다.[221]

군복무 1년으로 단축 발언 논란

문재인은 (장기적으로) 군복무 기간을 1년까지 단축하고 직업군인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참여정부 국방계획에 따라 18개월까지 단축해가려 하였으나 이명박 정부 이후 멈춰버렸다는 것이다.[222][223] 문재인의 이 발언에 대해 청년 표를 잡으려는 선심성 공약이라는 비판이 쏟아졌고, 군복무 기간이 12개월로 단축 되었을 경우 북한의 침략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전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일어났다.[224] 이에 대해 문재인 측은 장기적으로 최대 1년까지 단축할 수 있으며, 1년 6개월로 단축하는 것이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해명했다.[225]

전두환 표창 발언 논란

문재인은 3월 19일 KBS 대선후보 경선토론회에서 ‘내 인생의 한 장면’을 소개해달라는 질문에 특전사 공수부대 군복무 시절의 사진을 공개했다. 문재인은 “정병주 특전사령관으로부터 폭파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다시 제1공수여단 여단장은 전두환 장군이었고, 반란군의 가장 우두머리였는데 전두환 여단장으로부터 표창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226][227]

이어 문재인은 “제 국가관과 안보관, 애국심은 이 때 형성된 것”이라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확고한 안보 태세와 국방 우위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평화관계를 회복하겠다”고 덧붙였다.[228][229]

이 발언을 두고 안희정 경선 후보의 박수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날을 세웠다.[230][231]

토론 태도 논란

문재인 후보가 “정치적 입장을 달리한다고 해서 그런 식의 폭력적인 문자 폭탄은 옳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고 덧붙이자 안철수 후보는 “문재인 후보가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문자 폭탄’ 공격은 정치의 양념이라고 말했다”며 응수했다. 문재인 후보는 안철수 후보로부터 등을 돌린 채 즉답을 피하며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에게 질문을 돌리려 했지만, 홍준표 후보가 “둘이 말씀 좀 하시라”고 물러나자 다시 공방을 벌였다. 문재인 후보가 등을 돌리고 안철수 후보의 질문을 무시한 채 화제를 돌리려는 상황이 계속됐고, 사회자가 ‘관련된 추가 질문으로 보이니 일단 주고받으라’고 조정했다. 안철수 후보가 재차 “문자 폭탄이 잘못된 일이라고 했는데, 왜 문자 폭탄이나 막말이 양념이라고 말했냐”고 묻자 문재인 후보는 “치열한 논쟁이 양념이라는거죠, 자, 됐습니다”라고 하였다.[232][233][234]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다음날 4월 20일 "문재인 선대위는 댓글부대와 문자폭탄을 만들어내는 '양념공장'이고 문재인 후보는 그 양념공장의 사장임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235]

증세 계획 없는 복지 재원 논란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는 4월 20일 여의도 KBS 본관에서 열린 'KBS 주최 제19대 대선후보 초청토론'을 마친 뒤 "문재인 후보가 대답을 좀 뭉갰다"고 평가했다. 심상정 후보는 자정을 넘겨 기자들과 만나 "문 후보가 많은 공약을 냈는데 재원마련에 대한 입장을 안 냈다. 특히 증세에 관한 계획은 아무것도 없다"고 비판했다. 심상정 대선후보는 "민주당은 '증세 없는 복지'의 허구성을 지난 5년 내내 비판해놓고도 지금 박근혜 전 대통령을 따라가는 게 아니냐"며 "국민이 검증할 수 있도록 빨리 안을 내주시기 바란다"고 지적했다.[236]

복지공약 번복 논란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4월 19일 KBS 주최로 열린 대선주자 TV토론회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복지공약이 후퇴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문재인 후보는 "그것은 처음 발표한 것인데 어떻게 그것을 줄였다고 하나?"라고 되물었다. 그러나 심 후보는 "선관위에 보고된 이후 수정된 것인가?"라고 재차 물었다. 즉 문재인 후보 측이 4월 13일 선관위 측에 10대 공약을 제출한 이후 주요 복지공약의 골자를 수정했다는 요지였다. <오마이뉴스>가 확인취재한 결과, 아동수당·청년구직촉진수당 등 문재인 후보의 복지공약이 최초 발표됐던 내용과 다르게 수정된 것은 사실이었다.[237][238]

먼저 아동수당 재원은 연평균 2.6조 원으로 축소됐다. 또 앞서 기재됐던 '간략 산식'은 사라지고 "0~5세아 아동에게 월 10만 원부터 시작하여 단계적 인상"이라는 단서 조항이 붙었다. 육아휴직 확대를 위한 예산도 크게 줄었다. 앞서 밝혔던 '연평균 1.8조 원'이 아니라 '연평균 4600억 원 추가 소요'로 바뀌었고 이것의 '간략 산식'도 사라졌다.[237][238]

청년구직촉진수당에서는 '취업활동 지원' 예산 부문이 사라졌다. 또 구직촉진 급여 재원도 기존 연평균 3.7조 원에서 연평균 5400억 원으로 크게 줄었다. 노인기초연금도 마찬가지였다. '기초연금 30만 원 확대'라는 방침은 그대로였지만 연평균 6.3조 원이 아니라 연평균 4.4조 원으로 재원이 줄었다. 그리고 '간략 산식' 대신 "2018년부터 25만 원, 2021년부터 30만 원으로 인상시"라는 단서조항이 새로 붙었다.[237][238]

심상정 후보가 지적한 것처럼 문재인 후보의 주요 복지공약 소요 예산 등이 발표 당시와 다르게 대폭 축소된 셈이다.[237][238]

이에 대한 민주당의 해명은 초기에 올라갔던 자료는 캠프에서만 논의되었던 내용이 착오가 있어 잘못 올라간 것이고 금액이 확정된 후에 제대로 수정했다는 것이다. 민주당 경선 토론에서도 이 문제가 나온 적이 있는데 당시에도 문 후보는 금액면에서 확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또한 육아휴직 확대 예산은 기술 방식의 차이일 뿐, 연평균 1.8조의 예산을 편성하려면 연평균 4600억을 추가 소요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한다.[239]

자서전 월남 패망 관련 부분 논란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자서전 '운명' 중 일부 내용을 거론하며 문재인 후보의 안보관을 지적하자, 문재인 후보는 사실과 다른 엉뚱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홍준표는 4월 25일 JTBC·중앙일보·한국정치학회가 주최한 대통령후보 초청 TV토론에서 "문재인 후보가 쓴 자서전 132쪽에 보면 '미국의 월남전 패배와 월남의 패망은 진실의 승리다, 희열을 느꼈다' 이렇게 기재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준표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장병 5천 명이 월남전에서 죽었고 공산주의가 승리한 전쟁인 데 희열을 느꼈다는 게 무슨뜻이냐"고 물었다.

답변에 나선 문재인은 "지난 번 토론에서도 엉뚱한 주장을 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고 리영희 선생의 <전환시대의 논리>에 담겨 있는 논문이 3부작인데 1부와 2부, 중간에 월남 패망이 있고 베트남전 종전 이후에 3부 논문이 쓰였다"며 "그런 아주 중요한 국제적인 사건을 놓고 1·2·3부가 수미일관된다는 것이고, 그 점을 높이 평가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240][241]

논란이 된 문재인의 자서전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2부는 누구도 미국의 승리를 의심하지 않을 시기에 미국의 패배와 월남의 패망을 예고했다. 3부는 그 예고가 그대로 실현된 것을 현실 속에서 확인하면서 결산하는 것이었다. 적어도 글 속에서나마 진실의 승리를 확인하면서, 읽는 나 자신도 희열을 느꼈던 기억이 생생하다.[242]

— 문재인의 《운명》 132쪽

토론 이후 문재인이 월남 패배에 희열을 느낀다고 말한 것이 알려져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는 등 논란이 일었다.[243]

세월호 정치적 이용 논란

2017년 3월 12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팽목항을 방문, 방명록에 "고맙다"는 문구를 남겨 논란이 된 것과 관련, “자신을 되돌아 볼 때마다 희생된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서 참 미안하고 정치인으로서 참 아프면서도 고맙다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 아닌가”라고 해명했다.[244]

성소수자 존재 부정 논란

2017년 1월에 한겨레에서 실시한 차별금지법 제정과 동성결혼 합법화에 대한 입장 조사에 대하여 문재인은 “전통적인 가정, 가족, 결혼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지지”하나, “혐오와 차별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혀, 2012년의 대통령 선거 당시의 “합리적인 이유 없는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과 인권교육법을 제정하겠다”며, 동성 커플의 사회적 의무와 권리에 대한 제도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후퇴하였다.[245][246][247]

이와 관련하여 2017년 2월 16일에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열린 한 정책 포럼에서 같은 날 문재인이 ‘성 평등’ 정책을 발표하면서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는 것에 대해 한 성소수자가 “성평등 정책 안에 동성애자에 대한 성평등을 포함하지 못하시는 겁니까”라며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자 문재인은 “나중에 말씀 드릴 기회를 드릴게요”라고 답하였고 문재인 지지자들도 이에 동조하여 “나중에”를 외치며 발언을 막아서 논란이 되었고,[246][247] 이에 대해 녹색당을 비롯한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등 성소수자 인권단체들은 같은 날 성명 및 기자회견, 피켓 시위를 통해 해당 논란을 비판하고 사과를 요구하였다.[246][247]

그 이후인 같은 해 4월 25일의 JTBC에서 열린 대선후보 4차 토론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참여한 문재인은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은 반대’한다는 의견과는 별개로, “군 동성애는 국방전력을 약화시킨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라는 홍준표 후보의 질문에 “그렇게 생각합니다”라고 답하였고, 이에 “그래서 동성애 반대하십니까?”라고 묻자 “반대하죠”라고 홍준표 후보의 의견에 동의하였으며, 홍준표 후보가 재차 묻자 동성애를 좋아하지 않는다면서 동성애 합법화를 반대한다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248][249][250] 이에 대해 심상정 후보는 토론회 도중에 “동성애는 찬성이나 반대를 할 수 있는 얘기가 아니”라면서.“이성애자지만 성 소수자들의 인권과 또 자유가 존중되어야 한다”고, 성 정체성은 찬성과 반대로 나눌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을 밝혔다.[251] 이에 대해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등 활동가 13명은 다음날 문재인 후보의 지지선언 기자회견이 예정되어 있는 국회 본관 앞에서 문재인 후보의 연설이 끝나자 무지개 깃발을 펼치며 해당 발언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는 항의 시위를 벌였다.[252][253][254] 이 과정에서 문재인 후보가 멱살을 잡혔다는 주장 및 문재인 후보가 일정을 뒤로 하고 항의 시위 참가자들과 따로 만나 면담을 했다는 주장이 인터넷 상에 퍼졌으나 이 모두 거짓으로 드러났으며,[254][255] 시위 참가자 13명은 그 직후 경찰에 연행되었다.[252][253]

이와 관련하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4월 26일 성명을 내어 “동성애는 찬반의 대상도 불법도 아니며 모든 인간은 자신이 지닌 다양성과 그 존재 자체로 존중받아야한다”면서 “동성애 반대’를 천명한 것은 앞선 질문이 무엇이었건 명백한 혐오발언이었다”고 문재인 후보를 비판하였고,[256]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도 “성적 정체성과 성적 지향은 국가가 법적으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면서 “모든 인간은 이유 없이 미움받아서도, 차별받아서도 안된다”고 성명을 내었으며,.[252]김제동 방송인 및 이송희일 영화감독, 홍성수 등도 해당 발언과 태도를 비판하였다.[250]

2017년 4월 27일, 문재인은 질문의 내용이 군대 내 동성애였기에 자신은 여기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였으며, 동성애 때문에 차별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원칙만큼은 확고하다고 해명했다. 이어 "성소수자 요구에 비춰보면 내가 말한 것이 많이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그(동성애)에 대한 개인적 선호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사회 전체의 인권수준이 중요하다"며 정치인으로 현실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257]

각주

  1. “문재인 후보의 다운계약서와 민주당의 이중성 변명”. 《뉴스타운》. 2012년 12월 1일. 
  2. 여야, 문 후보 부산 상가 '다운계약서' 공방 KBS 2012년 11월 30일
  3. “문재인 후보 부인 '다운계약서' 작성 의혹”. 《매일경제》. 2012년 11월 29일. 
  4. “문재인, "다운계약서 일반적 관행"‥이중 잣대 논란”. 《MBC》. 2012년 11월 29일. 
  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1&aid=0000280033
  6. http://mbn.mk.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52273
  7. http://mbn.mk.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52274
  8. “1.17 [이상호의 사실은 LIVE] 삼성X파일과 이재용 구속”. 《고발뉴스》. 2017년 1월 17일. 
  9. http://v.media.daum.net/v/20060216104517401
  10. 문재인 아들 특혜 채용 의혹 '다섯 가지 쟁점'
  11. “文 아들 원서 마감 후 낸 학력 증명서”. 《채널A 뉴스》. 2017년 3월 18일. 
  12. “하태경 "문재인 아들 특혜 채용 증명"...최종 감사보고서 최초 공개”. 《국제신문》. 2017년 4월 10일. 
  13. “하태경 "문재인 아들 특혜 채용 문서 입수...채용 주도 인사담당자 징계". 《중앙일보》. 2017년 4월 10일. 
  14. “한국당, '문준용·盧 640만달러·北 인권결의안' 특검 발의”. 《연합뉴스》. 2017년 5월 1일. 2017년 5월 11일에 확인함. 
  15. '문준용 특혜의혹' 하태경 의원 보좌관, 檢 고발 대리인 조사
  16. '제보조작 부실검증' 피고인들 "특혜채용 의혹 여전히 남아". 《연합뉴스》. 2017년 9월 14일. 
  17. “국민의당 제보조작 사건 재판 속도전...법원, 9월 중 결론 방침”. 《뉴스핌》. 2017년 9월 18일. 
  18. 송수경 안희 기자 (2011년 6월 16일). '盧전 대통령 수사' 놓고 이인규-문재인 충돌”. 연합뉴스. 
  19. 옥철 기자 (2011년 6월 17일). “이인규 "노 前대통령에 충분히 예의 갖췄다". 연합뉴스. 
  20. 이명진 기자 (2011년 6월 17일). "아이들 집이라도 사줘야 한다며 盧 전 대통령 부부가 돈 요구". 조선일보. 
  21. “노무현 두 번 죽이는 '검사 이인규', 야비하다”. 2011년 6월 17일.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22. 구영식; 고정미 (2017년 4월 12일). "조직적 대응의 뉘앙스가 풍기지 않도록 엄중 경계하라". 오마이뉴스. 201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3. 구영식; 고정미 (2017년 4월 12일). “여의도 신동해빌딩 6층 '컴퓨터 91대'의 실체”. 오마이뉴스. 201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4. 서혜림 (2017년 3월 15일). “문재인 경선캠프 SNS본부장에 윤영찬 네이버 부사장”. 연합뉴스. 201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 “자유한국당 "문재인 캠프, SNS 여론조작 우려". 《이데일리》. 2017년 3월 17일. 
  26. “국민의당 “네이버, 문재인 후보의 1등 선거운동원””. 《KBS 뉴스》. 2017년 4월 8일. 
  27. http://newstapa.org/38785
  28. 조백건 기자 (2012년 11월 29일). “TV광고 속 문재인 의자가 700만원짜리? 네티즌 "서민 맞나", 부인 "50만원 준 중고". 조선일보. 
  29. “[대선후보 검증] 고가 가구 헐값 매입 의혹…해명도 오락가락”. 《KBS 뉴스》. 2017년 4월 12일. 
  30. 문재인 의자 논란, 임스 라운지 체어는 어떤 의자길래… 2012년 11월 28일 아시아투데이
  31. 文후보 광고 속 의자, '고가 명품' 주장 제기되자 2012년 11월 28일 조선일보
  32. 문재인 캠프, KBS 검증, 신상털기식 접근 '유감'
  33.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22508
  3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2/0200000000AKR20170502188751001.HTML?input=1195m
  35. http://www.nocutnews.co.kr/news/4778477
  36. h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705030514
  37.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9784&yy=2017
  38.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7932487
  39. http://osen.mt.co.kr/article/G1110638282
  40. http://v.media.daum.net/v/20170503085557275
  41. http://news.donga.com/3/all/20170503/84187668/2#csidxa102f0f9d3f29d7967274d628ed5c78
  42. http://news.donga.com/3/all/20170503/84185134/2
  43.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74916&ref=A
  44. SBS 김성준 본부장 "세월호 가족·문재인에 사과…외압 없었다"(공식입장전문)
  45. SBS 노조 "인양 의혹 보도, 문장 삭제·자극적 제목 변경"
  46. 인양 의혹 보도에 유족들 "세월호 또 정치에 끌어들이나"
  47. SBS '해수부 보도' 파문…사과에도 더 커진 논란, 왜?
  48. 'SBS 통화' 7급 공무원 자진신고…해수부, 대기발령 조치(종합)
  49.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SBS 8시 뉴스에 법정제재
  50. “청년시절 이석기 "김일성은 영원 불멸의 등불". 《세계일보》. 2013년 9월 1일. 
  51. “이석기, 盧정부때 두번 광복절 특사”. 《조선일보》. 2015년 5월 19일. 
  52. “광복절 일반사범 대규모특사”. 《YTN》. 2003년 7월 13일. 
  53. “靑, 8.15 특사 검토 착수 .. 안희정씨 포함여부 관심”. 《한국경제》. 2006년 7월 20일. 
  54. "盧정부때 문재인, 이석기 가석방 주도했다". 《세계일보》. 2013년 10월 17일. 
  55. “문재인과 이석기 '이상한 인연?'. 《TV조선》. 2013년 9월 3일. 
  56. ““이런 사람이 대통령됐다면… 끔찍” 문재인 기권표 인터넷 논란”. 《쿠키뉴스》. 2013년 9월 3일. 
  57. “노영민 "與, 문재인 사퇴? 무식하면 용감" - 노컷뉴스”.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58. “CBS”.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59. 미디어오늘 (2013년 9월 5일). “‘이석기·문재인’ 엮기 위한 조선·동아의 무리수”. 《미디어오늘》.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60. “권선동 "문재인, 직접 이석기 가석방 요청". 《데일리안》. 2013년 10월 17일. 
  61. “취임식 양심수사면 검토…盧당선자,2차사면땐 노동·운동권 대상”. 《국민일보》. 2003년 1월 26일. 
  62. “<사설>사면요건 강화해야 한다”. 《문화일보》. 2003년 4월 23일. 
  63. “호남민심 의식한 ‘DJ 끌어안기’”. 《국민일보》. 2004년 1월 18일. 
  64. “靑 "DJ 아들 사면, 인간적으로 바람직". 《연합뉴스》. 2005년 8월 12일. 
  65. “황교안, MB정부 사면로비 의혹…관련사건 수임 드러나”. 《한겨레》. 2015년 6월 9일. 
  66. “朴 대통령, 광복절 특별사면 전격 언급…이유는?”. 《TV조선》. 2015년 7월 13일. 
  67. “문재인, '종북' 이석기 특사 해명해야”. 《한국일보》. 2015년 4월 25일. 
  68. “김문수 “문재인 되면 한미동맹 흔들…종북정당 되살아나””. 《헤럴드경제》. 2017년 2월 20일. 
  69. “정우택 "바다이야기·아들 채용·이석기 사면이 문재인의 3대 문제". 《SBS 뉴스》. 2017년 4월 4일. 
  70. “홍준표 “이석기 가석방에 특별복권도 한 게 문재인””. 《시사포커스》. 2017년 4월 11일. 
  71. “< DJ 3주기 추도식..민주당 대선주자 총출동>(종합)”. 《연합뉴스》. 2012년 8월 18일. 
  72. http://news1.kr/articles/781088
  73. “낮은 단계 연방제”. 《시사상식사전》.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74. McCormick, John (2002) Understanding the European Union: a Concise Introduction, Palgrave, Basingstoke, p. 6.
  75. Diamond, Martin (1961) "The Federalist's View of Federalism", in Benson, George (ed.) Essays in Federalism, Institute for Studies in Federalism, Claremont, p. 22. Downs, William (2011) 'Comparative Federalism, Confederalism, Unitary Systems', in Ishiyama, John and Breuning, Marijke (eds) Twenty-first Century Political Science: A Reference Handbook, Sage, Los Angeles, Vol. I, pp. 168-9. Hueglin, Thomas and Fenna, Alan (2006) Comparative Federalism: A Systematic Inquiry, Broadview, Peterborough, p. 31.
  76. “高麗聯邦制(고려연방제)되풀이”. 《동아일보》. 1980년 10월 11일. 
  77. 《조국통일문제 100문 100답》. 평양: 평양출판사. 2003. 
  78. 조갑제 (2012). 《從北 백과사전》. 조갑제닷컴. ISBN 9788992421836. 
  79. “이한구 '종북논란' 다시 불지피기”. 《세계일보》. 2012년 6월 19일. 
  80. http://www.fnnews.com/news/201704252258597018
  81.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9000&num=48278
  82. 문재인 (1997). “부림사건과 국가보안법 제7조의 위헌성”. 《교회와 사회》. 
  83. 문재인 (2011). 《운명》. 가교. 327-328쪽. ISBN 9788977771888. 
  84. “남재준 "문재인 국정원 개편 주장, 국정원 무력화‧국가보안법 폐지 꼼수". 《일요서울》. 2017년 4월 24일. 
  85. ““문재인 수석이 보안법 폐지 총대 메달라 했다””. 《신동아》. 2012년 11월 21일.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86. '인권안 北에 물어본 적 있나' 질문에… 文 "문의 안했고 알아보라고는 했다". 《조선일보》. 2017년 4월 20일.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8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309394
  88. “동교동-봉하마을 `조문 방북' 엇갈린 표정”. 《연합뉴스》. 2011년 12월 21일. 
  89. “노무현재단 `방북 조문' 사실상 무산”. 《연합뉴스》. 2011년 12월 20일. 
  90. “노무현 재단, 김정일 조문단 파견 결정”. 《오마이뉴스》. 2011년 12월 20일. 
  91. “[김정일 사망]“조문, 인도주의적 차원서 접근해야”… “종북좌파 주장에 경악 금할수 없다””. 《동아일보》. 2011년 12월 20일. 
  92. “北 조문 놓고 '남남갈등' 조짐…야권 "민간 조문단 구성해야". 《매일신문》. 2011년 12월 21일. 
  93. “박지원 "정부, 권양숙 여사 조문도 허용해야". 《이데일리》. 2011년 12월 21일. 
  94. 문재인 (2012년 12월 1일). “문재인 후보, 강원도 공약실천 결의 특별의총 모두발언”. 
  95. “[대선 강원공약 쟁점] 2. 동계올림픽 경기장 논란”. 《강원도민일보》. 2012년 12월 14일. 
  96. 김원덕 (2012년 12월 10일). “문재인 후보와 민주당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방해할 작정인가[논평]”. 《새누리당》. 
  97. “문재인 ‘평창올림픽 남북 분산 개최’ 언급.. 논란 재점화되나”. 《아시아투데이》. 2015년 1월 8일. 
  98. “文 "평창올림픽에 北 참가시켜 남북관계 물꼬 터야"(종합)”. 《연합뉴스》. 2017년 1월 25일. 
  99. “文 '한반도 新경제지도구상' 선언 "5.24조치 해제해야". 《MBC 뉴스데스크》. 2015년 8월 16일. 
  100. ““5·24 해제 제안 부적절” vs “전승절 행사 참석해야””. 《KBS 뉴스》. 2015년 8월 17일. 
  101. “황교안 "5·24 조치 해제, 북한 조치 선행돼야". 《YTN》. 2015년 8월 19일. 
  102. “DJ계 “문재인 제안, 햇볕정책 계승 아니다””. 《채널A 뉴스》. 2015년 8월 18일. 
  103. “국민 69% "북한 변화 없이 5.24 조치 해제 필요 없어". 《국민일보》. 2015년 8월 21일. 
  104. “문재인 "개성공단 폐쇄 결정은 박근혜 정부 최악". 《중앙일보》. 2016년 2월 12일. 
  105. “文 “전쟁이라도 하자는 건가” vs 與 “이적행위…어느나라 정치인?” 맹비난”. 《동아일보》. 2016년 2월 15일. 
  106. “문재인-한민구, 개성공단 폐쇄 놓고 '불꽃 설전'(종합)”. 《연합뉴스》. 2016년 2월 15일. 
  107. “문재인 "개성공단 폐쇄만큼 멍청한 짓이 어디있나?". 《뉴시스》. 2016년 11월 26일. 
  108. “[도올이 묻고 문재인이 답하다] “사드는 차기 정권 넘기고, 개성공단 즉각 재개해야””. 《중앙일보》. 2016년 12월 16일. 
  109. “문재인 “개성공단 폐쇄도 최순실 작품””. 《중앙일보》. 2016년 11월 26일.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110. “대선走者 안보관 정밀 검증해야 한다”. 《문화일보》. 2016년 12월 20일. 
  111. “유승민 " 문재인이 대통령되면 안보 걱정". 《SBS 뉴스》. 2016년 12월 27일. 
  112. “태영호는 왜 이 시점에 '공개활동' 나섰을까?”. 《프레시안》. 2016년 12월 27일. 
  113.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인터뷰 전문”.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114. http://news.donga.com/3/all/20170210/82801403/1
  115.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61603#
  116. http://www.securitycouncilreport.org/un-documents/dprk-north-korea/
  117. http://news.joins.com/article/21438216
  118.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0404008500038/?did=1825m
  119. http://www.focus.kr/view.php?key=2017041900233638246
  120.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419010012603
  121.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F21&newsid=02817526615897432&DCD=A00602&OutLnkChk=Y
  122. http://v.media.daum.net/v/20170427115520244
  123. http://v.media.daum.net/v/20170501184024820
  124. '송민순 회고록' 파문…與 "文 국기문란 충격" 野 "색깔론 그만". 《연합뉴스》. 2016년 10월 15일. 
  125. “盧정부, 2007년 유엔 北인권결의안 기권 결정… 북한과 사전협의, 미국엔 막판 통보”. 《조선일보》. 2016년 10월 19일. 
  126. “또 다시 '노무현'... 송민순 회고록 쟁점 셋”. 《오마이뉴스》. 2016년 10월 17일. 
  127. “UNGA FOLLOW UP DEMARCHE DELIVERED”. 《위키리크스》. 2007년 12월 5일. 
  12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8758593&isYeonhapFlash=Y
  129. “문재인 "송민순, 중대한 기억 착오 새누리, 자신 있으면 끝까지 해보라". 2016년 10월 23일.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130. “문재인 '안보 공약'…"先방미 고정관념 버려야" 견지”. 《TV조선》. 2016년 12월 26일. 
  131. “文 "특전사 나온 내가 종북?…병역기피‧방산비리가 진짜 종북" - 노컷뉴스”.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132.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7949&yy=2017
  133. http://www.focus.kr/view.php?key=2017041900221527214
  134.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422500035&wlog_tag3=naver
  135. “하태경 "文, 인권결의안 표결 전 국정원 통해 北 입장 확인". 《파이낸셜뉴스》. 2017년 4월 15일. 
  13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860155
  13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860155
  138. “[단독] 송민순 “문재인, 이처럼 증거 있는데도 계속 부인””. 《중앙일보》. 2017년 4월 21일. 
  13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54&oid=052&aid=0001001862
  140. http://news.joins.com/article/21504733
  141. http://m.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66
  142. “김만복 "文, 北인권결의안 기권 아닌 '찬성' 북에 확인한 것". 《뉴스1》. 2017년 4월 22일. 
  14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3806999&viewType=pc
  14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3806999&viewType=pc
  145. 하태경 (2017년 4월 23일). “김경수 대변인의 16일 회의록, 18일 메모 공개에 대한 입장”. 
  146. “靑 "北인권결의안 기권은 노대통령 지시". 《연합뉴스》. 2007년 11월 21일. 2017년 4월 23일에 확인함. 
  147. “文 측, 반박자료 '靑 회의록' 공개…의혹은 그대로”. 《MBC 뉴스데스크》. 2017년 4월 23일. 2017년 4월 23일에 확인함. 
  148. http://www.mediapen.com/news/view/215769
  149. http://news.joins.com/article/21008771
  150. “새누리당 "'대통령 되면 북한 먼저 간다'는 문재인, 끔찍하고 초헌법적인 발언". 《조선일보》. 2016년 12월 17일. 
  151. “JP, 유승민에 "文 안보관 기가 막혀…안보 잘 지켜달라". 《연합뉴스》. 2017년 1월 29일. 
  152. “[차기 리더에게 듣는다] 이재명 "문재인 대세론 사라져… 지금 대중은 머슴형 리더십 요구". 《세계일보》. 2016년 12월 20일. 
  153. “박지원 "문재인의 입을 탄핵해야할 때". 《뉴시스》. 2016년 12월 21일. 
  154. http://foreignpolicy.com/2016/12/27/the-pivot-to-asia-obama-trump/
  155.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9/2016122900184.html
  156.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1229000029
  157.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12/28/20161228001332.html?OutUrl=naver
  158. http://m.news.naver.com/read.nhn?oid=448&aid=0000193954&sid1=100&mode=LSD
  159.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6/2016122690209.html
  160. 송수경 (2015년 3월 13일). “문재인 "통일 후에도 주한미군 필요"…中 방문도 추진”. 《연합뉴스》.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161. http://m.news.naver.com/read.nhn?oid=057&aid=0001084837&sid1=100&mode=LSD
  162. http://m.news.naver.com/read.nhn?oid=057&aid=0001084837&sid1=100&mode=LSD
  163. http://m.news.naver.com/read.nhn?oid=057&aid=0001084837&sid1=100&mode=LSD
  16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19/0200000000AKR20170419199300001.HTML?input=1195m
  165. http://m.news.naver.com/read.nhn?oid=421&aid=0002684818&sid1=100&mode=LSD
  16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79&aid=0002958527&viewType=pc
  16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203538
  16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781847
  16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7905072
  17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203538
  17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203538
  17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3927681
  173. http://news1.kr/articles/1355743
  17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0/0200000000AKR20170420089100014.HTML?input=1195m
  17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49&aid=0000128536
  17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203428
  177. http://v.media.daum.net/v/20170420140012149
  17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7905134&sid1=001&lfrom=kakao
  179. http://www.hankyung.com/election2017/newsview.php?aid=2017042314377&nv=o
  180. https://www.wikileaks.org/plusd/cables/06SEOUL3760_a.html
  181. https://www.wikileaks.org/plusd/cables/06SEOUL3861_a.html
  18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spy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8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782790
  18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782790
  185. 김재덕 (2006년 10월 27일). “이해찬·오영교·문재인 등 대통령 정무특보 임명”. 노컷뉴스. 2017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18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376673
  18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376673
  188.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56845&ref=nav_search
  189.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6/0200000000AKR20170426176600001.HTML?input=1195m
  190. http://v.media.daum.net/v/20170426181602962
  191. http://v.media.daum.net/v/20170426235617637
  192. http://imnews.imbc.com/replay/2017/nwdesk/article/4295261_21408.html
  193.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3/2017050302138.html
  194.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441243&code=61111111&cp=nv
  19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3022747
  196.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2/2017050290153.html
  197.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77429.html
  198.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45984&iid=25742856&oid=025&aid=0002676783&ptype=052
  199.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52&aid=0000958267&date=20170114&type=2&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1
  200. http://news.joins.com/article/21137899
  201.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85596
  202.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F21&newsid=02066406615798048&DCD=A00602&OutLnkChk=Y
  203.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116_0014643830&cID=10303&pID=10300
  20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06/0200000000AKR20170206165500001.HTML?input=1195m
  205. http://news1.kr/articles/?2904769
  206.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84991
  207. http://www.ytn.co.kr/_ln/0101_201702061842474791
  208.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08/0200000000AKR20170308099200001.HTML?input=1179m
  209.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271060
  210. 강계만 (2017년 4월 17일). “[단독] 문재인, `사드 국회비준동의 추진` 공약 삭제”. 매일경제. 201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11. http://news.nate.com/view/20170426n07796
  212. “[팔팔영상] 대통령님, 미세먼지 공약 지키고 계시죠?”. 《YTN》. 2018년 3월 27일. 
  213. "3월 고농도 미세먼지 中 영향 최대 69%"...정치권 한목소리 질타”. 《YTN》. 2018년 4월 9일. 
  214. “‘최악’ 미세먼지에 靑 청원 봇물…“제발 좀 어떻게 해주세요””. 《동아일보》. 2018년 3월 27일. 
  215. 이성기 기자 (2006년 5월 16일). “문재인 '부산정권' 발언 안팎서 뭇매”. 서울경제. 2012년 6월 8일에 확인함. 
  216. “문재인 “탄핵 기각시 혁명”…정치권 논란”. 《KBS 뉴스》. 2016년 12월 17일. 
  217.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8/2016122890186.html
  218. “새누리 "문재인 혁명 발언, 경악 금할 수 없어". 《YTN》. 2016년 12월 18일. 
  219. “박지원 “문재인 혁명 발언, 지극히 위험””. 《KBS 뉴스》. 2016년 12월 17일. 
  220. “정세균 “문재인 ‘혁명 발언’ 과하다” 비판”. 《세계일보》. 2016년 12월 28일. 
  221. “문재인 "내가 혁명 말하니 비헌법적이라 하는건 편파적".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222. http://v.media.daum.net/v/20170117030349685
  223. “문재인 측 “軍 복무기간 1년 공약한 게 아니다””.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22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20&aid=0003035317
  225. “문재인 측 “軍 복무기간 1년 공약한 게 아니다””.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226. http://news.donga.com/rss/feed/3/all/20170320/83400045/1?gid=83400024&srev=1&regdate=20170320
  227.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340044&code=61111511&cp=nv
  228. http://news.donga.com/rss/feed/3/all/20170320/83400045/1?gid=83400024&srev=1&regdate=20170320
  229.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340044&code=61111511&cp=nv
  230. http://news.donga.com/rss/feed/3/all/20170320/83400045/1?gid=83400024&srev=1&regdate=20170320
  231.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340044&code=61111511&cp=nv
  23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273631
  23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2957400
  234.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420000074
  23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54&oid=119&aid=0002180606
  236.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0/0200000000AKR20170420003200001.HTML?input=1195m
  237. 박홍두 (2017년 4월 20일). “심상정 “문재인 복지공약은 스스로 후퇴했다””. 경향신문. 2017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30일에 확인함. 
  238. 이준호 (2017년 4월 20일). “문재인, 아동-청년-노인 복지공약 축소했다”. 오마이뉴스. 2017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30일에 확인함. 
  239. 박홍두 (2017년 4월 20일). “심상정 “文의 아동수당 2분의1로 줄어…선관위 제출 뒤 주말에 대폭 후퇴” 사실은?”. 조선닷컴. 2017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30일에 확인함. 
  240.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70466&ref=A
  24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4252255001&code=910110
  242. 문재인 (2011). 《운명》. 가교. 132쪽. ISBN 9788977771888. 
  243. http://www.econotalking.kr/news/articleView.html?idxno=148012
  244. 문재인, 세월호 방명록에 ‘고맙다’ 논란…文측 “눈물 나게 미안하고, 고맙지 않나?”
  245. “반기문 ‘덕택’에 묻게 됐다…동성결혼에 찬성하시나요?”. 한겨레. 2017년 1월 31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46. ““페미니스트 대통령” 되겠다는 문재인, 성소수자 인권은 “나중에”?”. 2017년 2월 17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47. “페미니스트 자처한 문재인, 성소수자 인권은 '나중에'?”. 노컷뉴스. 2017년 2월 17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48. “[국회] 문 '동성애 발언' 파장…성소수자들 '기습 항의'. JTBC. 2017년 4월 26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49. “문재인 "동성애 합법화 반대, 차별은 안돼"…TV토론(종합)”. 연합뉴스. 2017년 4월 26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0. “동성애 반대하는 페미니스트 후보? 문재인 발언에 비판 봇물”. 한겨레. 2017년 4월 26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1. “문재인 "동성애 합법화 반대, 차별은 금지"…심상정 일침”. JTBC. 2017년 4월 26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2. 허진무 (2017년 4월 26일). “[2017 시민의 선택]“동성애 반대 문재인 사과하라” 성소수자단체 회원 항의 시위”. 경향신문.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3. 양아라 (2017년 4월 26일). ““동성애 반대한다면 제 존재를 반대하는 겁니까!” 성소수자들 항의시위 받은 문재인”. 민중의소리.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4. 진주원 (2017년 4월 26일). “성소수자들이 문재인 멱살잡았다고? 민주당 “사실 아냐””. 여성신문.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5. '문재인 멱살'·'성소수자 면담' 모두 허위사실”. 오마이뉴스. 2017년 4월 27일.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6. 원호연 (2017년 4월 26일). “민주노총 “문재인, 성소수자 혐오발언 즉각 사죄하라“”. 헤럴드경제. 2017년 5월 3일에 확인함. 
  257. 문재인, 동성애 발언논란 해명 "차별 안된다는 원칙은 확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