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도시철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울산 도시철도
정보
종류 도시 철도
운행 지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상태 계획 중
노선 수 4
역 수 50
운영
소유자 울산광역시청
운영자 미정
시설
총 노선 연장 48.25 km

울산 도시철도(蔚山都市鐵道)는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에서 건설·운영될 도시 철도 체계이다. 총 4개 노선이 노면전차로 운행되며, 2029년 1호선 개통이 확정되었다.

역사[편집]

경상남도 울산시는 1993년에 방어진~야음 및 태화강역~외곽 간 경전철을 구상하였고[1], 울산광역시는 1997년 말에 초안을 완성한 도시교통정비계획에서 울산시청~울산역~울산시청 간 중전철 1호선과 방어진, 언양, 통도사 방향으로 향하는 경전철 세 노선을 구상하였다.[2] 2002년 6월에는 기존의 노선을 백지화하고 모두 경전철로 짓기로 변경하였으며[3], 무인궤도교통(AGT),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모노레일, 노면전차 등의 시스템을 검토하였다.[4] 2003년 12월 2일, 다섯 개의 노면전차 노선을 2008년부터 차례로 착공하여 2011년부터 개통하는 계획이 확정되었다.[5] 한국개발연구원에서는 효문역~울산역~울산시청~울산대학교~굴화 간 1호선 본선과 굴화~신울산역~언양 간 지선을 대상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선만 건설할 때 B/C=1.21로 경제성이 있으며, 지선과 함께 건설할 때 B/C=0.71로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하였다.[6] 그러나 울산 일대 시민단체에서 지나친 사업비, 과다 추정된 수요 등을 이유로 경전철 건설을 반대하였고[7], 2006년 10월 24일에 열린 국정감사에서 박맹우 시장은 경전철 사업을 연기할 의사를 밝혔다.[8] 2008년 10월 28일에 국토해양부에서 1호선 본선(15.95 km)을 대상으로 기본계획을 고시하였으나[9], 2009년 2월 울산광역시는 경전철을 보류하고 해당 구간에 BRT를 우선 추진하기로 하였다.[10]

한편, 울산과 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가 경전철로 구상되었다. 2001년에 건설교통부에서 삼호~부산 노포동 간 34.4 km를 경전철로 잇는 계획을 마련하였으며[11], 2007년에는 해당 노선과 함께 굴화~양산 북정 간 34.6 km 경전철을 부산, 울산, 경상남도가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12] 이 가운데 굴화~북정 경전철의 추진이 2010년 들어 가시화되자[13], 울산광역시에서는 2008년에 고시되었던 울산 1호선을 다시 추진하였으나[14], 2012년 6월에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굴화~북정 경전철을 추진할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하자[15], 1호선 건설을 장기 계획으로 다시 전환하였다.[16][17][18]

2010년대 중반 들어 울산광역시는 다시 도시철도 계획 추진에 나섰다. 2017년 3월에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이 착수되었고[19], 2019년 6월에 마무리되어 네 개의 노선을 노면전차로 건설하고 2027년부터 개통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20] 이를 바탕으로 울산광역시에서는 2019년 10월에 국토교통부에 해당 계획의 승인을 요청하였으며[21], 2020년 8월 14일에 노선1과 노선2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였다.[22] 동년 9월 7일에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고시되었다.[23] 울산시는 2020년 12월 중 1호선에 대하여 타당성재조사를 신청할 계획이고 2호선은 2021년에 다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울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 사업은 총 사업비 1조 3,316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울산시는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울산시의 역대 추진 사업 중 최대규모이다.

2023년 8월 1호선 트램 건설이 확정되었다. 2026년 착공, 2029년 개통 예정이다.

노선[편집]

다음은 국토교통부 고시를 따랐다. (단, 노선색과 역 수는 2019년 6월 18일에 발표된 울산광역시 도시철도 구축계획(안)을 따름.)

기점 종점 연장 역 수 운영
태화강역 신복로터리 10.99 km 15개 2029년 예정
북울산역 야음사거리 13.69 km 14개 미정
효문행정복지센터 대왕암공원 16.99 km 15개
신복로터리 복산성당 앞 5.94 km 8개

이 밖에, 울산항선을 활용한 수소전기 노면전차 실증 노선(4.6 km)이 구상 중이다.[24]

각주[편집]

  1. “蔚山 경전철건설-정부 지원있어야…[蔚山]”. 국제신문. 1993년 6월 4일.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2. “[울산]광역 교통망 확정, 지하철.경전철 건설 부산 연계”. 부산일보. 1997년 11월 7일.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3. 김창식 (2002년 8월 21일). “울산 2015년 경전철시대”.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4. 정재락 (2003년 8월 31일). “[부산/경남]울산 모노레일등 새교통수단 도입”. 동아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5. 추성태 (2003년 12월 2일). “신교통수단 신형노면전차로”.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6. 박현 (2004년 12월 31일). 울산시 경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7. 추성태 (2005년 12월 14일). “시민단체 경전철 재검토 촉구”.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8. 이재명 (2006년 10월 24일). “경전철 사업 일단 보류”.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9.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603호, 2008년 10월 28일.
  10. 목상균 (2009년 2월 13일). “울산시 '간선 급행버스' 우선 추진”. 한국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1. 김창식 (2001년 9월 25일). “울산 "경전철 시대" 온다”.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2. 서찬수 (2007년 3월 13일). “울산~경남~부산 경전철로 연결”.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3. 이주환 (2011년 3월 8일). “부~울 광역철도 가시권”. 부산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4. 신형욱 (2011년 4월 6일). “효문~굴화 노면경전철 재추진”.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5. 김태권; 백남경 (2012년 6월 27일). “울산~양산 광역철도 '물 건너갔다'. 부산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6. 신형욱 (2011년 8월 16일). “효문역~굴화 노면경전철 또 보류”.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7. 이형중 (2012년 6월 11일). ““경전철사업 당장 추진은 무리””.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8. 정재락 (2018년 6월 19일). “울산시에는 왜 지하철-트램이 없을까?”. 동아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19. 최창환 (2017년 3월 15일). “울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연구용역 나서”.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20. 장영은 (2019년 6월 18일). “울산시 도심에 트램 깔아 교통·관광 두마리 토끼 잡는다”. 연합뉴스.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21. 강태아 (2019년 10월 31일). “울산 트램 구축계획안 정부에 승인 요청”. 울산매일.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22. 장영은 (2020년 9월 1일). “첫 수소 트램형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 국토부 승인”. 연합뉴스.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23.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615호, 2020년 9월 7일.
  24. 최창환 (2020년 7월 2일). “울산에서 국내 최초 ‘수소트램’ 달린다”. 경상일보.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