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Jae4181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0월 2일 (금) 17:02 판
용인시
용인시청
용인시청
용인시의 위치
용인시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행정 구역3구 1읍 6면 23행정동 18법정동
청사 소재지처인구 중부대로 1199(삼가동)
시장정찬민
국회의원갑 : 이우현(처인구, 기흥구)
을 : 김민기(기흥구, 수지구)
병 : 한선교(수지구)
지리
면적591.32㎢
인문
인구973,749명 (2015.9.30년)
상징
시목전나무
시화철쭉
시조
지역 부호
웹사이트www.yongin.go.kr

용인시(龍仁市, 문화어: 룡인시)는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이다. 동쪽으로 이천시, 서쪽으로 수원시·의왕시·화성시, 남쪽으로 평택시·안성시, 북쪽은 성남시·광주시와 접한다.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의 3개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시청 소재지는 처인구 삼가동이고, 1읍 6면 23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이다. 명소로는 에버랜드한국 민속촌 등이 있다.

지형이 산으로 둘러싸인 여러 좁은 분지여서, 도시 구조는 하나의 생활권이 아닌 여러 시가지로 분산되어 있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용인'이라고 하면 처인구 중앙동(구 용인읍, 통칭 '김량장') 일대를 일컫는데, 이는 기흥구 구성동 일대였던 중심지에서 군청일제강점기에 옮겨온 것에 기인한다.

역사

지명 유래

용인시에서 '용(龍)'자가 들어가게 된 유래에는 이런 설화가 내려온다. 용인시의 좌측으로는 투구봉이 있고 우측으로는 칼봉이 자리 잡고 있는데, 봉우리의 형상이 투구와 칼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투구봉과 칼봉 사이에는 넓은 터가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장군대지형의 땅'으로 믿고 있다. 장군이 무술을 연마하기에 꼭 알맞을 정도의 넓은 지형이다. 옛날에 남씨 문중에서 이곳에 묘를 썼는데, 그 후 얼마 안 있어 그 문중 가운데 한 집에서 아기장수를 낳았다. 아기는 낳은 지 사흘 만에 옆구리에 날개가 돋아났으며, 힘 또한 장사여서 상대할 사람이 없었다.

아기장수가 태어날 무렵은 당파싸움이 치열하던 때로, 자신의 가문을 보존하기 위해 서로간에 암투가 끊이지 않았다. 그리하여 혹 다른 집안 자제 가운데 훌륭하게 될 소지가 있는 아이가 있으면 그 아이는 물론 그 집안 전체를 몰살하였다. 열세에 몰려 있던 남씨 문중에선 아기장수가 태어난 것이 오히려 화근이 될 것이라고 불안해했다. 남씨 문중에서는 전체 회의를 열어 숙고한 끝에 아기장수가 성장하기 전에 처단할 것을 결의하였다. 워낙 힘이 센지라 여럿이 커다란 바위로 눌러 죽였다. 아기를 양지 쪽에 묻어 주려고 땅을 파보았더니 거기에서 투구와 칼이 나왔다고 한다.

한편 남씨 가문에서 아기장수가 태어날 때 장군대지형에서 마주 보이는 액교산에 있는 바위에서 용마(龍馬)가 나와 울었다고 한다. 이 용마는 아기장수가 죽자 태울 주인이 없음을 슬퍼하며 성산(城山, 석성산)을 향해 달려나갔다. 현재 고림리의 액교산에는 용마가 났다는 용마바위가 아직도 전하는데, 용마가 몸부림치며 울부짖던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다고 한다. 이곳 지역은 이런 설화가 많다. 「고장군 묘소 전설」, 「아기장수와 용마바위」, 「유방리의 남씨네 아기장수」등이 내용이 비슷하다. 이것이 훗날에 조선시대남이장군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이런 전설들이 전해져 삼국시대의 구성현(駒城縣)이 고려 초 용구현(龍駒縣)으로 바뀌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좌전고개 만세운동

용인 3.1만세운동 기념탑(처인구 원산면 좌항리)

좌전고개 만세운동은 일제 강점기 때 일어난 운동으로 용인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를 기념하는 기념탑이 현재 사적지의 기념물로 용인 독립만세운동의 역사를 알려주고 있다. 「좌전고개 만세운동」이라고 불리는 용인 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오전 3시 주민 1천여 명이 참가해 벌인 용인 최초의 독립만세운동으로, 이날을 계기로 1만3천여 명이 동참했고 이 중 700여 명이 일제에 의해 죽거나 실종됐다.

연혁

본래의 용인·양지(陽地)·죽산(竹山)의 일부를 합한 것으로 용인은 고구려 때 구성현(駒城縣), 신라 경덕왕거서현(巨黍縣)라 고치고 한주(漢州)에 소속시켰다. 고려초에는 용구현(龍駒縣)으로 하고 현종 때 광주(廣州)에 소속, 명종 때 현으로 하고 감무를 두었다. 조선 태조 6년(1397)에 현령을 두고, 태종 13년(1413) 처인현(處仁縣)을 합해 용인현이 되었다.[1]

12 - 수여면, 포곡면, 모현면, 읍삼면, 수지면, 기흥면, 남사면, 이동면, 내사면, 고삼면, 외사면, 원삼면

지리

단국대(檀國大)와 탄천 발원지(마북천)

경기도 남부 내륙에 있으며,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역내는 광주산맥의 여맥이 기복하여 구릉이 각처에 발달하고 소분지가 점재하며, 하천은 중앙지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흐른다.

하천으로는 탄천이 북류(北流)하여 한강에 합하고, 구흥천이 남으로 흘러 평택시를 지나 분향만으로 유입하며, 동남쪽으로 청미천의 상류가 흐르며 유역의 소분지를 관개한다. 용인 일대는 광주산맥의 낮은 구릉이 경안(京安)과 길량장의 침식곡으로 동서로 분단된 서쪽 지방이다. 용인시의 땅 모양이 거북과 같다 하여, 이른바 풍수지리에서 이야기하는 길지로 알려진 곳이 많다.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라는 표현이 여기에서 유래하였다.[11]

기후

내륙부에 위치하여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 11.3도, 1월 평균 -4.8도, 8월 평균 26도, 연평균 강수량 1,300㎜이다.[12]

행정 구역

용인시 행정구역

용인시의 행정 구역은 3구 1읍 6면 24동 1,119통·리 7,794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 전체의 5.8%에 해당하는 591.36㎢이며, 2015년 7월 3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986,298명, 351,169세대이다.[13]

  • 행정구역 : 3개구 1 6 24
  • 본청 : 6국 31과
  • 직속기관 : 4, 사업소 : 4
  • 본청 660명, 의회 25명, 직속기관 180명, 사업소 279명
  • 구청 598명, ·· 424명
  • 공무원 : 2,166명

산업

용인중앙시장

농업이 주산업으로 미맥을 주로 생산하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수익성이 높은 청정 야채 재배가 성하다. 1970년대 이후 수도권 분산정책의 일환으로 기흥·수지구 일대에 많은 화학·전자·섬유·기계·식품 등의 생산업체가 들어서 있다. 수지구·기흥구·모현면에 목장이 많다.[14]

수지구에 죽전디지털밸리와 광교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면서 2001년 6월 5일 정보통신부경기도 용인시에 소프트웨어 지원센터의 신규 설치를 확정하였으며, 2002년 7월 31일에 용인소프트웨어지원센터가 개소하였다. 2006년 7월 26일에는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으로 변경되었다.[15]

2012년 2월 23일 용인시는 미국의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인 프렉스에어코리아㈜가 1180억원을 들여 기흥구에 공장을 신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장은 기흥구 농서동 2만 4029㎡부지에 연면적 4243㎡ 규모로 건설되며, 제조 및 부대시설을 갖춘 초고순도 질소가스 제조 공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관광

한국민속촌

관광지로는 한국민속촌에버랜드 등이 있는데, 이 두 곳은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16] 원래 삼성그룹은 에버랜드를 안성시 (당시 안성군)에 지으려고 하였으나 안성 시민들이 지나치게 반대하여 용인시에 에버랜드를 건립하게 되었다.[출처 필요]

처인성은 경기도 기념물 제44호로써 용인시 남사면 아곡리 43번지에 위치해 있다. 총면적 5,820평의 장방형으로 된 토성으로 본래 고려 때 군창(軍倉)으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추정되며, 백제 때 축성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고려의 퇴세를 만회하고 몽골의 세력을 몰아내게 한 장소이다.

호암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이영미술관, 둥지박물관, 세중옛돌박물관, 등잔박물관, 경기도박물관, 삼성교통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 있다.

김수환 추기경의 묘소가 있는 용인 천주교 공원묘지에는 하루 평균 800명의 추모객이 다녀간다.[17]

한택식물원은 백암면 옥산리의 비봉산(372m)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원장 이택주 씨가 1979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서 2003년 5월부터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다. 현재 총면적이 30만평 쯤 되는 이 식물원에는 8000여종, 720만 그루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18]

군사

용인시 처인구에는 제3야전군사령부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에 속한 55사단이 포곡읍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한국 전쟁 당시, 터키군이 김량장동에서 중공군에 맞서 금양장 전투를 치렀다. 터키군은 이 전투에서 '백병전'으로 10배 가까운 중공군을 괴멸시키고 승리해 군우리 전투에서의 패배를 설욕했다. 금양장 전투 당시 전사자는 중공군이 1900명, 터키군은 12명이었다.

교통

철도

2004년 11월 26일 분당선 보정임시역이 개통되면서 용인에도 철도 교통 시대가 열렸다. 같은 노선 죽전역2007년 12월 24일에, 죽전 ~ 기흥 구간이 2011년 12월 28일에, 상갈역2012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2013년 4월 26일에 전 구간 개통되었다. 신분당선 정자역 ~ 광교역 연장 구간이 2016년 2월에 개통 될 예정이다.

일반 여객 철도인 수려선이 이용객 감소로 1972년에 폐지된 이후, 일반 여객 철도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를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수원역으로 가야 한다. 수지구를 지나는 신분당선 연장구간이 2010년에 착공되었으며, 수도권 대심도지하철 (화성 동탄 - 고양 일산)이 계획 중이다.

버스

도로

1972년 영동고속도로가, 2009년용인서울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현재는 경부고속도로가 시의 서부를 지나가고 영동고속도로와 신갈분기점에서 만난다. 국도는 동서를 관통하는 국도 제42호선, 남북을 관통하는 국도 제45호선과 양지를 종점으로 하는 국도 제17호선이 있다.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스포츠

용인대학교 생활관

용인시에 위치한 명지대학교, 단국대학교용인대학교에서 하계, 동계 올림픽을 비롯하여 여러 스포츠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고 축구, 농구 외에도 수영, 쇼트트랙, 태권도, 럭비, 골프 등과 용인시청 소속의 볼링, 씨름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유명 선수로는 명지대학교의 축구선수 박지성과 단국대학교박태환 수영 선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3관왕 진선유와 2관왕 이정수를 꼽을 수 있다. 처인구 마평동에는 1982년에 준공된 관람석 12,000석의 용인종합운동장이 위치해 있다.

교육 기관

사립대학교

국공립대학교

사립전문대학

출신 인물

같이 보기

자매 도시

교류

각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용인의 연혁
  2.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3.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5.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6.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7.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1조 제14항, 제15항
  8.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년 9월 26일)
  9. 법률 제4994호 파주시 등 5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1995년 12월 6일)
  10. 용인시 조례 제648호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년 10월 5일)
  11. “‘살만한 곳’ 용인”. 굿모닝용인(용인시민신문). 2009년 3월 18일.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12.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후
  13. 용인시의 기본현황, 2015년 7월 31일
  14.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용인의 산업
  15. [1], 디지털용인문화대전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 항목
  16.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용인의 교통·관광
  17. 권혁재 기자 (2009년 6월 4일). “[week&커버스토리] 추모여행,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소풍’”. 중앙일보사. 2009년 6월 17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18. 양영훈 (2006). 《똑똑한 여행책》. 열번째행성. 45쪽.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