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서면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0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BT}}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BT}}
|그림 = Seomyeon station platform 20180304 164039.jpg
|그림 = Seomyeon station platform 20180304 164039.jpg
|그림설명 = 1호선 승강장 ([[노포역|노포]] 방면)
|그림설명 = 1호선 노포 방향 승강장
|그림2 = Seomyeon station sign 20180304 163120.jpg
|그림2 = Seomyeon station sign 20180304 163120.jpg
|그림설명2 = 2호선 역명판 ([[장산역|장산]] 방면)
|그림설명2 = 2호선 역명판
|역번호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19<br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19
|역번호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19<br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19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부산)|중앙대로]] 지하730
|소재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부산)|중앙대로]] 지하730
|좌표 = {{좌표|35.157714|129.059165|format=dms|display=inline,title|type:railwaystation_region:KR}}
|좌표 = {{좌표|35.157714|129.059165|format=dms|display=inline,title|type:railwaystation_region:KR}}
|관할 = [[부산교통공사]] 제1운영사업소 [[서면역|서면관리역]]
|관할 = [[부산교통공사]] 제1운영사업소 서면관리역
|개업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985년]] [[7월 19일]]<br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1999년]] [[6월 30일]]
|개업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985년]] [[7월 19일]]([[금요일]])<br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1999년]] [[6월 30일]]([[수요일]])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2면 2선<br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1면 2선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2면 2선<br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1면 2선
|노선1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선1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영업거리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기점 25.4 km
|영업거리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기점 25.4km
|전역1 = [[범내골역|범내골]]
|전역1 = [[범내골역|범내골]]
|전거리1 = 1.2
|전거리1 = 1.2
20번째 줄: 20번째 줄:
|후거리1 = 0.6
|후거리1 = 0.6
|노선2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노선2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영업거리2 = [[장산역|장산]] 기점 16.3 km
|영업거리2 = [[장산역|장산]] 기점 16.3km
|전역2 = [[전포역|전포]]
|전역2 = [[전포역|전포]]
|전거리2 = 1.1
|전거리2 = 1.1
26번째 줄: 26번째 줄:
|후거리2 = 0.8
|후거리2 = 0.8
}}
}}
'''서면역'''(西面驛)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부산)|부전동]] 서면 교차로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이다.
'''서면역'''(西面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부산)|부전동]]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 역사 ==
* [[1985년]] [[7월 19일]]([[금요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9년]] [[6월 30일]]([[수요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서면역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환승역]]이 됨
* [[2001년]] [[8월 8일]]([[수요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역~[[금련산역]]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


== 특징 ==
== 특징 ==
[[부산 도시철도]] 최초의 환승역이며, [[부산광역시]]의 최대의 번화가인 서면 교차로의 지하에 역이 위치하고 특히 1↔2호선 유일의 환승역이기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역들 중 이용객 수가 가장 많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의 경우 이 역과 [[부전역 (도시철도)|부전역]] 사이의 통로가 지하 상가로 연결되어 있어 [[부전역 (도시철도)|부전역]]까지 걸어서 갈 수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경우 이 역과 [[전포역]] 사이에 급커브가 있어 2호선 열차가 45km/h 이하의 속도로 서행 운행한다.
[[부산 도시철도]] 최초의 [[환승역]]이며, [[부산광역시]]의 최대의 번화가인 서면 교차로의 지하에 역이 있고, 특히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유1한 [[환승역]]이기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역들 중 이용객 수가 가장 많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의 경우 이 역과 [[부전역 (도시철도)|부전역]] 사이의 통로가 지하 상가로 연결되어 있어 [[부전역 (도시철도)|부전역]]까지 걸어서 갈 수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경우 이 역과 [[전포역]] 사이에 급커브가 있어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열차]]가 45km/h 이하의 속도로 서행 운행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경우 이 역은 [[1999년]] [[6월 30일]]([[수요일]])부터 [[2001년]] [[8월 7일]]([[화요일]])까지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시·종착역이었으며, [[8월 8일]]([[수요일]]) [[금련산역]]까지 연장 개통 되면서 중간역으로 전환하였다. 역 구내에 [[부산 도시철도]] 유실물 센터가 있다.
2호선의 경우 이 역은 [[1999년]] [[6월 30일]]부터 [[2001년]] [[8월 7일]]까지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시.종착역이었으며, [[8월 8일]] [[금련산역]]까지 연장 개통 되면서 중간역으로 전환하였다.

역 구내에 부산 도시철도 유실물 센터가 있다.


== 역명 유래 ==
== 역명 유래 ==
역이 있는 지역의 옛날 행정 구역 이름에서 유래하였다.<ref>[[서면 (부산)|서면]]은 본래 [[부산광역시]]의 옛날 지명인 [[동래군]]의 [[면 (행정 구역)|하위 행정 구역]]이었고, 지금도 [[부전동]] 일대를 서면이라고 부른다.</ref>
역이 있는 지역의 옛날 행정 구역 이름에서 유래하였다.<ref>[[서면 (부산)|서면]]은 본래 [[부산광역시]]의 옛날 지명인 [[동래군]]의 [[면 (행정 구역)|하위 행정 구역]]이었고, 지금도 [[부전동 (부산)|부전동]] 1대를 서면이라고 부른다.</ref>

== 역사 ==
* [[1985년]]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9년]] [[6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종착역]]으로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01년]] [[8월 8일]] : 2호선 [[금련산역]]까지 연장 개통과 함께 2호선의 중간역이


== 역 구조 ==
== 역 구조 ==
최근에 [[대합실]]의 천장과 [[승강장]]의 천장이 교체되었다. 두 노선 모두 곡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은 곡선의 각도가 제법 큰 곡선 승강장인 반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은 곡선의 각도가 그다지 크지 않아서 직선 승강장으로 분류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의 경우,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다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승강장]]에서 직접 횡단할 수 없으므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환승통로를 통과해야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은 [[승강장]]에서 반대 방면 열차로 탑승할 수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제법 넓어 [[부산 도시철도]] 역들 중 발빠짐 사고가 가장 잦은 역으로 발표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은 양쪽에 지하상가가 있으며, 서면지하상가로 [[부전역]]까지는 걸어갈 수 있으나 대현프리몰 부산 지하상가로 [[범내골역]]까지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출구는 14개다.<ref>이 역은 출구 중 14번 출구만 없다.</ref>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 대합실의 천장과 승강장의 천장이 교체되었다. 두 노선 모두 곡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1호선은 곡선의 각도가 제법 큰 곡선 승강장인 반면, 2호선은 곡선의 각도가 그다지 크지 않아서 직선 승강장으로 분류되고 있다.

1호선의 경우,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다만, 1호선 승강장에서 직접 횡단할 수 없으므로, 2호선 환승통로를 통과해야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2호선은 승강장에서 반대 방면 열차로 탑승할 수 있다. 1호선 '''서면역'''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제법 넓어 [[부산 도시철도]] 역들 중 발빠짐 사고가 가장 잦은 역으로 발표되었다.

1호선 '''서면역'''은 양쪽에 지하상가가 있으며, 서면지하상가로 [[부전역]]까지는 걸어갈 수 있으나, 대현프리몰 부산 지하상가로 [[범내골역]]까지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 부산 1호선 승강장 ===
=== 부산 1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ref>이 역부터 [[노포역]]까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ref>
*반대편횡단: 불가능<ref>환승통로 이용시 가능</ref>
{| style="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
|-
70번째 줄: 62번째 줄:


=== 부산 2호선 승강장 ===
=== 부산 2호선 승강장 ===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횡단: 가능
{| style="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
|-
90번째 줄: 82번째 줄:


== 역 주변 ==
== 역 주변 ==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합실에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연결되기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대합실에서 [[롯데백화점]]이나 [[롯데호텔]]로 가려면 2호선 대합실을 거쳐야 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합실]]에서 [[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연결되기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대합실]]에서 [[롯데백화점]]이나 [[롯데호텔]]로 가려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합실]]을 거쳐야 한다. 역 구내에는 [[캐시비]] 서비스센터가 있으며, [[2013년]] [[7월 1일]]([[월요일]])에 개소하였고, [[평일]]([[월요일]]~[[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한다. 역 출구로 나와 부전시장 방향으로 가다 보면 [[티머니]] 영남권 서비스센터도 있으며, [[2012년]] [[8월 24일]]([[금요일]])에 개소하였다.

역 구내에는 [[캐시비]] 서비스센터가 있으며, [[2013년]] [[7월 1일]]에 개소하였고, 평일(월~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한다. 역 출구로 나와 부전시장 방향으로 가다 보면 [[티머니]] 영남권 서비스센터도 있으며, [[2012년]] [[8월 24일]]에 개소하였다.

* [[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부산본점]]
* [[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부산본점]]
* [[롯데호텔 부산]]
* [[롯데호텔 부산]]
100번째 줄: 89번째 줄:
* [[시코르|시코르 부산서면점]]
* [[시코르|시코르 부산서면점]]
* 동보서점
* 동보서점
* [[CGV]]대한
* [[CGV|CGV대한]]
* 대야관광호텔
* 대야관광호텔
* 시립부전도서관
* 시립부전도서관
* [[한국전력공사]] 부산지사
* [[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공사 부산지사]]
* 부전2동행정복지센터
* [[부전동 (부산)|부전2동]] 행정복지센터
* 서면시장
* 서면시장
* 부전2동우체국
* [[부전동 (부산)|부전2동]] 우체국
* 서면우체국
* 서면우체국
* [[전포초등학교]]
* [[전포초등학교]]
* 부전1동우체국
* [[부전동 (부산)|부전1동]] 우체국
* 철물상가
* 철물상가
* [[부산진구청]]
* [[부산진구청]]
* 부전1동우체국
* [[부전동 (부산)|부전1동]] 우체국
* [[서면 (부산)|서면]]우체국
* 부산진전화국
* 부산진전화국
* [[캐시비]] 서비스센터
* [[캐시비]] 서비스센터
119번째 줄: 107번째 줄:


== 승차량 변동 ==
== 승차량 변동 ==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며, 또한 [[대한민국]]의 비수도권 도시철도, 전철역 중에서도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며, 또한 [[대한민국]]의 비수도권 도시철도, [[전철역]] 중에서도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2002년]] 개통 당시에는 승객이 47171명으로 가장 많았다가 이후 승차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2007년]]까지 승차량이 계속 줄어들었다가 [[2008년]]부터 다시 승차량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2020년]]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의 하루 평균 승객이 40000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2002년 개통 당시에는 승객이 47171명으로 가장 많았다가 이후 승차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2007년까지 승차량이 계속 줄어들었다가 2008년부터 다시 승차량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2020년에는 1호선 서면역의 하루 평균 승객이 40000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font-size: 85%;"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font-size: 85%;"
!rowspan="2"|역 노선
!rowspan="2"|역 노선
159번째 줄: 145번째 줄:
|38747
|38747
|
|
|<ref name="metro">본 자료는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http://www.humetro.busan.kr/program/board/main/list.php?id=data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ref>
|<ref name="metro">본 자료는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http://www.humetro.busan.kr/program/board/main/list.php?id=data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ref>
|-
|-
|align="center"|[[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align="center"|[[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212번째 줄: 198번째 줄:
|-
|-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스크린도어</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스크린도어</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역명판</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신평 방향 역명판(부전동역의 '동' 삭제·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연장 개통 전)</small>
|-
|-
|align="center"| [[파일:119seomyeon2.jpg|200px]]
|align="center"| [[파일:119seomyeon2.jpg|200px]]
|align="center"| [[파일:119seomyeon3.JPG|200px]]
|align="center"| [[파일:119seomyeon3.JPG|200px]]
|-
|-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1호선 승강장</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노포 방향 승강장(부전동역의 '동' 삭제·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연장 개통 전)</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승강장 (역사 리모델링 당시)</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노포 방향 승강장(역사 리모델링 당시)(부전동역의 '동' 삭제·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연장 개통 전)</small>
|}
|}


228번째 줄: 214번째 줄:
|-
|-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안내도</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안내도</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승강장</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양산 방향 승강장</small>
|-
|-
|align="center"| [[파일:219seomyeon5.jpg|200px]]
|align="center"| [[파일:219seomyeon5.jpg|200px]]
234번째 줄: 220번째 줄:
|-
|-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환승 통로</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환승 통로</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승강장</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양산 방향 승강장</small>
|-
|-
|align="center"| [[파일:219seomyeon3.jpg|200px]]
|align="center"| [[파일:219seomyeon3.jpg|200px]]
|align="center"| [[파일:219seomyeon2.jpg|200px]]
|align="center"| [[파일:219seomyeon2.jpg|200px]]
|-
|-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선로측 역명판</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선로측 양산 방향 역명판</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벽화</small>
|align="center" style="width: 13em;"|<small>벽화</small>
|}
|}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위키공용분류-줄}}
* [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1&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부산교통공사 1호선 서면역 소개(철도 통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1&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
* [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1&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부산교통공사]]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서면역 소개(철도 통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1&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 [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2&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부산교통공사 2호선 서면역 소개(철도 통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2&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
* [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2&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부산교통공사]]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서면역 소개(철도 통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visual.railportal.kr/RailContents/altmInfoSys/index.do?areCd=02&railOprIsttCd=BS&lnCd=2&prprStinCd=0698&screen=car&isKorLines=Y}}


{{둘러보기 상자 묶음
{{둘러보기 상자 묶음
257번째 줄: 240번째 줄:
{{부산광역시의 교통}}
{{부산광역시의 교통}}
}}
}}
== 각주 ==

<references/>
[[분류:부산 부산진구의 전철역]]
[[분류:부산 부산진구의 전철역]]
[[분류:부산 도시철도 환승역]]
[[분류:부산 도시철도 환승역]]

2020년 6월 7일 (일) 22:32 판

서면
1호선 노포 방향 승강장
1호선 노포 방향 승강장
2호선 역명판
2호선 역명판
Map
개괄
관할 기관 부산교통공사 제1운영사업소 서면관리역
소재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지하730
좌표 북위 35° 09′ 28″ 동경 129° 03′ 33″ / 북위 35.157714° 동경 129.059165°  / 35.157714; 129.059165
개업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985년 7월 19일(금요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1999년 6월 30일(수요일)
역 번호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19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19
승강장수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2면 2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1면 2선
거리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기점 25.4km
범내골
(1.2 km)
부전
(0.6 km)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기점 16.3km
전포
(1.1 km)
부암
(0.8 km)

서면역(西面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 도시철도 2호선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역사

특징

부산 도시철도 최초의 환승역이며, 부산광역시의 최대의 번화가인 서면 교차로의 지하에 역이 있고, 특히 1호선2호선 유1한 환승역이기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역들 중 이용객 수가 가장 많다. 1호선의 경우 이 역과 부전역 사이의 통로가 지하 상가로 연결되어 있어 부전역까지 걸어서 갈 수 있으며, 2호선의 경우 이 역과 전포역 사이에 급커브가 있어 2호선 열차가 45km/h 이하의 속도로 서행 운행한다. 2호선의 경우 이 역은 1999년 6월 30일(수요일)부터 2001년 8월 7일(화요일)까지 2호선의 시·종착역이었으며, 8월 8일(수요일) 금련산역까지 연장 개통 되면서 중간역으로 전환하였다. 역 구내에 부산 도시철도 유실물 센터가 있다.

역명 유래

역이 있는 지역의 옛날 행정 구역 이름에서 유래하였다.[1]

역 구조

최근에 대합실의 천장과 승강장의 천장이 교체되었다. 두 노선 모두 곡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1호선은 곡선의 각도가 제법 큰 곡선 승강장인 반면, 2호선은 곡선의 각도가 그다지 크지 않아서 직선 승강장으로 분류되고 있다. 1호선의 경우,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다만, 1호선 승강장에서 직접 횡단할 수 없으므로 2호선 환승통로를 통과해야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2호선승강장에서 반대 방면 열차로 탑승할 수 있다. 1호선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서 승강장열차 사이의 간격이 제법 넓어 부산 도시철도 역들 중 발빠짐 사고가 가장 잦은 역으로 발표되었다. 1호선은 양쪽에 지하상가가 있으며, 서면지하상가로 부전역까지는 걸어갈 수 있으나 대현프리몰 부산 지하상가로 범내골역까지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출구는 14개다.[2]

부산 1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

범내골
| |
부전
상행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부산역·신평·다대포해수욕장 방면
하행 부전·연산·동래·노포 방면

부산 2호선 승강장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전포
| 하상 |
부암
상행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연·금련산·수영·해운대·장산 방면
하행 사상·덕천·호포·양산 방면

역 주변

2호선 대합실에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연결되기 때문에 1호선 대합실에서 롯데백화점이나 롯데호텔로 가려면 2호선 대합실을 거쳐야 한다. 역 구내에는 캐시비 서비스센터가 있으며, 2013년 7월 1일(월요일)에 개소하였고, 평일(월요일~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한다. 역 출구로 나와 부전시장 방향으로 가다 보면 티머니 영남권 서비스센터도 있으며, 2012년 8월 24일(금요일)에 개소하였다.

승차량 변동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며, 또한 대한민국의 비수도권 도시철도, 전철역 중에서도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2002년 개통 당시에는 승객이 47171명으로 가장 많았다가 이후 승차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2007년까지 승차량이 계속 줄어들었다가 2008년부터 다시 승차량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2020년에는 1호선의 하루 평균 승객이 40000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역 노선 승차 인원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호선 47171 42171 39833 37953 36003 33861 35617 35638 36067 37725 37917 38247 38599 38747 [4]
2호선 24863 24746 23710 22357 19501 18523 20241 20397 21317 23328 24381 25337 26072 26404 [4]

인접한 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18 범내골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0 부전
노포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8 전포
장산 방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20 부암
양산 방면

사진

외부 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