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인식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정리 필요|날짜=2011-8-11}}
{{철학 사이드바}}
{{철학 사이드바}}
{{확정성 사이드바}}
{{확정성 사이드바}}
'''인식론'''(認識論)은 모든 지식은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이여야만 한다는 감각론이며 [[인식]] 일반의 근본 문제를 다루는 [[철학]]의 한 부문이다. '''지식론'''(知識論)이라고도 불린다. 인식론(Epistemology)은 [[고대 그리스어]]의 episteme(지식 또는 인식)와 logos(이론)을 합친 데에서 비롯한다. 진리나 지식의 성질과 기원 그리고 범위(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한계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
'''인식론'''(認識論)은 [[지식]] 대한 제반 사항을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로서<ref>Porter, Noah, ed. (1913). "Epistemology". [https://web.archive.org/web/20131015165808/http://machaut.uchicago.edu/?resource=Webster%27s&word=epistemology&use1913=on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G & C. Merriam Co. p. 501.</ref> 지식의 본질, 신념의 합리성과 정당성 등을 연구한다. 인식론(Epistemology)은 [[고대 그리스어]]의 episteme(지식 또는 인식)와 logos(이론)을 합친 데에서 비롯하였다.

인식론이 다루는 중요 주제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 지식에 대한 [[철학적 분석]]과 [[진리]], [[신념]], 정당화 등의 개념과 연관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ref>Steup, Matthias. Zalta, Edward N., ed. [http://plato.stanford.edu/archives/spr2014/entries/epistemology/ "Epistemology"].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4 ed.)</ref><ref>Borchert, Donald M., ed. (1967). "Epistemology".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Macmillan.</ref>
#. [[회의주의]]에 대한 제반 문제
#. 지식과 정당화의 기반과 범주
#. 지식과 정방화의 규범

인식론 연구에 대한 위의 구분은 스코틀랜드 철학자 [[제임스 프레더릭 페리에]]가 1854년 《형이상학의 원리:앎과 존재의 이론》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다.<ref>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2007.</ref>

== 배경과 역사 ==
=== 배경 ===
인식론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epistemology는 지식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ἐπιστήμη(에피스테메)와 낱말 또는 말하기를 뜻하는 λόγος([[로고스]])를 합하여 만든 말이다.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제임스 프레더릭 페리에는 [[존재론]]을 뜻하는 ontology의 조어 방식을 참조하여 epistemology를 만들고 그 성격을 규정하였다. 독일에서는 [[요한 피흐테]]와 [[베르나르드 볼차노]]가 동일한 의미로 Wissenschaftslehre를 사용하였고, 이는 뒤에 [[에드문트 후설]]이 다시 채용하였다. 프랑스에서는 1908년 [[에밀 메이에송]]이 《정체성과 실제》에서 보다 좁은 의미로 "지식에 대한 이론"을 뜻하는 용어로 épistémologie 를 사용하였다. 메이에송은 이를 과학 철학과 같은 의미로 보았다.<ref name="Epistemology">{{cite journal |last=Suchting|first=Wal|title=Epistemology|work=Historical Materialism<!--|accessdate=22 October 2013-->|archivedate=2011|location=Academic Search Premier|pages=331–345}}</ref>

=== 인식론 연구의 역사 ===
인식적인 연구는 그리스·중세에도 있었으나, 철학의 중심적인 과제가 된 것은 근세, 특히 [[로크]]부터이다. 인식의 기원에 관한 주장으로는 [[이성론]]과 [[경험론]]이 있다. 근세에 와서 이성론은 주로 [[유럽]]에서 그리고 경험론은 [[영국]]에서 발달했다. 영국에서는 중세기 이후 경험론의 전통이 있었으며 로크 이후에는 더욱더 치밀해졌다. [[칸트]]는 이 양자를 종합하려고 선험적 관념론을 주장했다. 다음으로 인식의 본질에 관해서는 '인식의 대상'이 관념적이라는 [[관념론]]과 실재적이라는 [[실재론]]이 대립한다. 칸트의 비판주의는 인식이 경험적 실재론인 동시에 선험적 관념론이라 하여, 이 양자를 종합하려 했으나 충분히 종합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그 후 철학도 복잡해짐에 따라 인식론도 복잡해졌다. 신칸트주의, 그리고 현상학에서는 인식론이 철학의 방법 그 자체가 되어 있다.<ref>'인식론 - 일원론·이원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지식 ==
[[파일:Classical-Definition-of-Kno.svg|thumb| 지식은 진실과 믿음의 교집합의 일부분인가?]]
[[파일:Classical-Definition-of-Kno.svg|thumb| 지식은 진실과 믿음의 교집합의 일부분인가?]]
=== 지식의 세 가지 종류 ===
인식적인 연구는 그리스·중세에도 있었으나, 철학의 중심적인 과제가 된 것은 근세, 특히 [[로크]]부터이다. 인식의 기원에 관한 주장으로는 [[이성론]]과 [[경험론]]이 있다. 근세에 와서 이성론은 주로 [[유럽]]에서 그리고 경험론은 [[영국]]에서 발달했다. 영국에서는 중세기 이후 경험론의 전통이 있었으며 로크 이후에는 더욱더 치밀해졌다. [[칸트]]는 이 양자를 종합하려고 선험적 관념론을 주장했다.
2+2=4 라는 수학 지식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수]]와 [[연산]]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철학에서는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노하우]]) 그리고 숙지된 지식을 구분한다. 예를 든 덧셈의 계산에는 수와 연산에 대한 선언적 지식과 함께 이를 계산하는 절차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연산의 숙달에 의해 터득된 지식을 내면화하게 된다.<ref>John Bengson (Editor), Marc A. Moffett (Editor): Essays on Knowledge, Mind, and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1</ref>

[[버트런드 러셀]]은 《표현에 대하여》(On denoting)와 《철학의 문제들》(Problems of Philosophy)에서 기술된 지식과 숙지된 지식을 구분하였다. 또한, [[길버트 라일]]은 《마음의 개념》(The Concept of Mind)에서 선언적 지식(Know that)과 절차적 지식(Know how)를 구분하였다. [[마이클 폴라니]]는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자전거를 타면서 균형을 잡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즉,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동역학|자전거 동역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알고 있다고 해도 훈련을 거쳐 균형을 잡는 법을 터득하지 못한다면 안정적으로 자전거를 탈 수는 없다.

=== 신념 ===
{{본문|믿음}}
신념은 개개인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이다. 신념의 형성에는 종교적 신앙, 타인의 견해에 대한 신뢰, 권위에 대한 인정 등이 작용한다. 철학의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인식론 역시 "우리가 무엇을 믿는가?"하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떤 것이 진리로 받아들여지는 가에는 인식의 관점이 작용한다.<ref>질 들뢰르, 서동욱 역, 《칸트의 비판철학》, 민음사, 2006년, ISBN 978-89-3741-595-1, 67-69쪽</ref><ref>이한구, 《역사학의 철학》, 민음사, 2007년, ISBN 978-89-3742-590-5, 113-114쪽</ref>

=== 진리 ===
{{부분토막글}}
=== 정당화 ===
{{부분토막글}}
=== 게티어 문제 ===
{{부분토막글}}
=== 형식주의와 내면주의 ===
{{부분토막글}}
=== 가치 문제 ===
{{부분토막글}}
== 인지 ==
=== 사전 지식과 사후 지식 ===
{{부분토막글}}
=== 분석-종합 판별 ===
{{부분토막글}}

== 연구 경향 ==
{{부분토막글}}


== 회의주의 ==
다음으로 인식의 본질에 관해서는 '인식의 대상'이 관념적이라는 [[관념론]]과 실재적이라는 [[실재론]]이 대립한다. 칸트의 비판주의는 인식이 경험적 실재론인 동시에 선험적 관념론이라 하여, 이 양자를 종합하려 했으나 충분히 종합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부분토막글}}


== 같이 보기 ==
그 후 철학도 복잡해짐에 따라 인식론도 복잡해졌다. 신칸트주의, 그리고 현상학에서는 인식론이 철학의 방법 그 자체가 되어 있다.<ref>'인식론 - 일원론·이원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방법론]]
* [[과학적 방법]]


== 각주 ==
== 각주 ==
{{각주}}
<references/>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Refbegin|2}}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분류=철학}}
*{{Cite journal | last1 = Annis | first1 = David | year = 1978 | title = A Contextualist Theory of Epistemic Justification | url = | journal =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 volume = 15 | issue = | pages = 213–219 }}
*[[Alfred Jules Ayer|Ayer, Alfred Jules]]. 1936. ''[[Language, Truth, and Logic]]''.
*BonJour, Laurence. 2002. ''Epistemology: Classic Problems and Contemporary Response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Cite journal | last1 = Boufoy-Bastick | first1 = Z. | year = 2005 | title = Introducing 'Applicable Knowledge' as a Challenge to the Attainment of Absolute Knowledge | url = | journal = Sophia Journal of Philosophy | volume = 8 | issue = | pages = 39–51 }}
*[[Luc Bovens|Bovens, Luc]] & [[Stephan Hartmann|Hartmann, Stephan]]. 2003. ''Bayesian Epistem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anayot Butchvarov|Butchvarov, Panayot]]. 1970. ''The Concept of Knowledge''.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Cite journal | doi = 10.1080/00048409812348411 | last1 = Cohen | first1 = Stewart | year = 1998 | title = Contextualist Solutions to Epistemological Problems: Skepticism, Gettier, and the Lottery | url = | journal =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 volume = 76 | issue = 2| pages = 289–306 }}
*Cohen, Stewart. 1999. "Contextualism, Skepticism, and Reasons", in Tomberlin 1999.
*[[Jonathan Dancy|Dancy, Jonathan]]. 1991.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SBN 0-631-13622-3
*{{Cite journal | last1 = DeRose | first1 = Keith | authorlink = Keith DeRose | year = 1992 | title = Contextualism and Knowledge Attributions | url = | journal =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 volume = 15 | issue = | pages = 213–19 }}
*DeRose, Keith. 1999. "Contextualism: An Explanation and Defense", in Greco and Sosa 1999.
*[[René Descartes|Descartes, Rene]]. 1641.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Feldman, Richard. 1999. "Contextualism and Skepticism", in Tomberlin 1999, pp.&nbsp;91–114.
*[[Edmund Gettier|Gettier, Edmund]]. 1963.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Analysis'', Vol. 23, pp.&nbsp;121–23. [http://www.ditext.com/gettier/gettier.html Online text].
*Greco, J. & Sosa, E. 1999. ''Blackwell Guide to Epistemology'', Blackwell Publishing.
*[[Errol Harris|Harris, Errol E.]] 1970. ''Hypothesis And Perception'', George Allen and Unwin, London, Reprinted 2002 Routledge, London.
*{{Cite journal | doi = 10.1111/j.1467-9205.1989.tb00275.x | last1 = Harwood | first1 = Sterling | year = 1989 | title = Taking Skepticism Seriously – And In Context | url = | journal =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 volume = 12 | issue = 3| pages = 223–233 }}
*Hay, Clare. 2008. ''The Theory of Knowledge: A Coursebook'', The Lutterworth Press, Cambridge. ISBN 978-0-7188-3088-5
*Hawthorne, John. 2005. "The Case for Closure", ''Contemporary Debates in Epistemology'', Peter Sosa and Matthias Steup (ed.): 26–43.
*[[Vincent F. Hendricks|Hendricks, Vincent F]]. 2006. ''Mainstream and Formal Epistem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nt, Immanuel]]. 1781. ''[[Critique of Pure Reason]]''.
*[[Morris T. Keeton|Keeton, Morris T.]] 1962. "Empiricism", in ''Dictionary of Philosophy'', Dagobert D. Runes (ed.), Littlefield, Adams, and Company, Totowa, NJ, pp.&nbsp;89–90.
*[[Søren Kierkegaard|Kierkegaard, Søren]]. 1844. ''[[Philosophical Fragments]]''.
*[[Richard Kirkham|Kirkham, Richard]]. 1984. "Does the Gettier Problem Rest on a Mistake?" ''Mind'', 93.
*[[Peter D. Klein|Klein, Peter]]. 1981. ''Certainty: a Refutation of Skepticism'',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Henry E. Kyburg, Jr.|Kyburg, H.E.]] 1961. ''Probability and the Logic of Rational Belief'',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Alfred Korzybski|Korzybski, Alfred]]. 1994 (1933). ''Science and Sanity: An Introduction to Non-Aristotelian Systems and General Semantics'', Fifth Edition. Ft. Worth, TX: Institute of General Semantics.
*{{Cite journal | doi = 10.1080/00048409612347521 | last1 = Lewis | first1 = David | authorlink = David Kellogg Lewis | year = 1996 | title = Elusive Knowledge | url = | journal = Australian Journal of Philosophy | volume = 74 | issue = 4| pages = 549–67 }}
*[[Edgar Morin|Morin, Edgar]]. 1986. ''La Méthode, Tome 3, La Connaissance de la connaissance'' (Method, 3rd volume : The knowledge of knowledge)
*[[Adam Morton|Morton, Adam]]. 2002. ''A Guide Through the Theory of Knowledge'' (Third Edition) Oxford: Blackwell Publishing. ISBN 1-4051-0012-5
*Nelson, Quee. 2007. ''The Slightest Philosophy'', Indianapolis, IN: Dog Ear Publishing, 296 pages.
*[[Ilkka Niiniluoto|Niiniluoto, Ilkka]]. 2002. ''Critical Scientific Realism'', Oxford: Oxford Univ. Press.
*[[Plato]]. ''[[Meno]]''.
*[[Karl Popper|Popper, Karl R.]] 1972.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Oxford: Oxford Univ. Press.
*Preyer, G./Siebelt, F./Ulfig, A. 1994. ''Language, Mind and Epistemology'',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Ayn Rand|Rand, Ayn]]. 1979. ''Introduction to Objectivist Epistemology'', New York: Meridian.
*[[Bertrand Russell|Russell, Bertrand]]. 1912. ''The Problems of Philosoph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ertrand Russell|Russell, Bertrand]]. 1940. ''An Inquiry into Meaning and Truth'', Nottingham: Spokesman Books.
*[[George Santayana|Santayana, George]]. 1923. ''[[Scepticism and Animal Faith]]'',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 London: Constable and Co.
*[[African Spir|Spir, African]]. 1877. ''Denken und Wirklichkeit: Versuch einer Erneuerung der kritischen Philosophie'' (Thought and Reality: Attempt at a Renewal of Critical Philosophy), (Second Edition) Leipzig: J. G. Findel.
*{{Cite journal | last1 = Schiffer | first1 = Stephen | authorlink = Stephen Schiffer | year = 1996 | title = Contextualist Solutions to Skepticism | url = | journal =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 volume = 96 | issue = | pages = 317–33 }}
*Steup, Matthias. 2005. "Knowledge and Skepticism", ''Contemporary Debates in Epistemology'', Peter Sosa and Matthias Steup (eds.): 1–13.
*Tomberlin, James (ed.). 1999. ''Philosophical Perspectives 13, Epistemology'', Blackwell Publishing.
*{{Cite book | last1 = Turri | first1 = John | year = 2016 | title = Knowledge and the Norm of Assertion: An Essay in Philosophical Science. Cambridge: Open Book Publishers | url=http://www.openbookpublishers.com/product/397/knowledge-and-the-norm-of-assertion--an-essay-in-philosophical-science }}
*[[Ludwig Wittgenstein|Wittgenstein, Ludwig]]. 1922.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Frank P. Ramsey]] and [[C.K. Ogden]] (trns.), Dover. [http://www.kfs.org/~jonathan/witt/tlph.html Online text].
{{refend}}


{{Navboxes
{{Navboxes

2016년 6월 22일 (수) 14:14 판

인식론(認識論)은 지식에 대한 제반 사항을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로서[1] 지식의 본질, 신념의 합리성과 정당성 등을 연구한다. 인식론(Epistemology)은 고대 그리스어의 episteme(지식 또는 인식)와 logos(이론)을 합친 데에서 비롯하였다.

인식론이 다루는 중요 주제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 지식에 대한 철학적 분석진리, 신념, 정당화 등의 개념과 연관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2][3]
  2. . 회의주의에 대한 제반 문제
  3. . 지식과 정당화의 기반과 범주
  4. . 지식과 정방화의 규범

인식론 연구에 대한 위의 구분은 스코틀랜드 철학자 제임스 프레더릭 페리에가 1854년 《형이상학의 원리:앎과 존재의 이론》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다.[4]

배경과 역사

배경

인식론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epistemology는 지식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ἐπιστήμη(에피스테메)와 낱말 또는 말하기를 뜻하는 λόγος(로고스)를 합하여 만든 말이다.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제임스 프레더릭 페리에는 존재론을 뜻하는 ontology의 조어 방식을 참조하여 epistemology를 만들고 그 성격을 규정하였다. 독일에서는 요한 피흐테베르나르드 볼차노가 동일한 의미로 Wissenschaftslehre를 사용하였고, 이는 뒤에 에드문트 후설이 다시 채용하였다. 프랑스에서는 1908년 에밀 메이에송이 《정체성과 실제》에서 보다 좁은 의미로 "지식에 대한 이론"을 뜻하는 용어로 épistémologie 를 사용하였다. 메이에송은 이를 과학 철학과 같은 의미로 보았다.[5]

인식론 연구의 역사

인식적인 연구는 그리스·중세에도 있었으나, 철학의 중심적인 과제가 된 것은 근세, 특히 로크부터이다. 인식의 기원에 관한 주장으로는 이성론경험론이 있다. 근세에 와서 이성론은 주로 유럽에서 그리고 경험론은 영국에서 발달했다. 영국에서는 중세기 이후 경험론의 전통이 있었으며 로크 이후에는 더욱더 치밀해졌다. 칸트는 이 양자를 종합하려고 선험적 관념론을 주장했다. 다음으로 인식의 본질에 관해서는 '인식의 대상'이 관념적이라는 관념론과 실재적이라는 실재론이 대립한다. 칸트의 비판주의는 인식이 경험적 실재론인 동시에 선험적 관념론이라 하여, 이 양자를 종합하려 했으나 충분히 종합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그 후 철학도 복잡해짐에 따라 인식론도 복잡해졌다. 신칸트주의, 그리고 현상학에서는 인식론이 철학의 방법 그 자체가 되어 있다.[6]

지식

지식은 진실과 믿음의 교집합의 일부분인가?

지식의 세 가지 종류

2+2=4 라는 수학 지식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연산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철학에서는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노하우) 그리고 숙지된 지식을 구분한다. 예를 든 덧셈의 계산에는 수와 연산에 대한 선언적 지식과 함께 이를 계산하는 절차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연산의 숙달에 의해 터득된 지식을 내면화하게 된다.[7]

버트런드 러셀은 《표현에 대하여》(On denoting)와 《철학의 문제들》(Problems of Philosophy)에서 기술된 지식과 숙지된 지식을 구분하였다. 또한, 길버트 라일은 《마음의 개념》(The Concept of Mind)에서 선언적 지식(Know that)과 절차적 지식(Know how)를 구분하였다. 마이클 폴라니는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자전거를 타면서 균형을 잡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즉, 자전거 동역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알고 있다고 해도 훈련을 거쳐 균형을 잡는 법을 터득하지 못한다면 안정적으로 자전거를 탈 수는 없다.

신념

신념은 개개인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이다. 신념의 형성에는 종교적 신앙, 타인의 견해에 대한 신뢰, 권위에 대한 인정 등이 작용한다. 철학의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인식론 역시 "우리가 무엇을 믿는가?"하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떤 것이 진리로 받아들여지는 가에는 인식의 관점이 작용한다.[8][9]

진리

정당화

게티어 문제

형식주의와 내면주의

가치 문제

인지

사전 지식과 사후 지식

분석-종합 판별

연구 경향

회의주의

같이 보기

각주

  1. Porter, Noah, ed. (1913). "Epistemology".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G & C. Merriam Co. p. 501.
  2. Steup, Matthias. Zalta, Edward N., ed. "Epistemology".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4 ed.)
  3. Borchert, Donald M., ed. (1967). "Epistemology".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Macmillan.
  4.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2007.
  5. Suchting, Wal. “Epistemology”. 《Historical Materialism》 (Academic Search Premier): 331–345. 
  6. '인식론 - 일원론·이원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
  7. John Bengson (Editor), Marc A. Moffett (Editor): Essays on Knowledge, Mind, and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8. 질 들뢰르, 서동욱 역, 《칸트의 비판철학》, 민음사, 2006년, ISBN 978-89-3741-595-1, 67-69쪽
  9. 이한구, 《역사학의 철학》, 민음사, 2007년, ISBN 978-89-3742-590-5, 113-114쪽

참고 문헌

  • Annis, David (1978). “A Contextualist Theory of Epistemic Justification”.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15: 213–219. 
  • Ayer, Alfred Jules. 1936. Language, Truth, and Logic.
  • BonJour, Laurence. 2002. Epistemology: Classic Problems and Contemporary Response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 Boufoy-Bastick, Z. (2005). “Introducing 'Applicable Knowledge' as a Challenge to the Attainment of Absolute Knowledge”. 《Sophia Journal of Philosophy》 8: 39–51. 
  • Bovens, Luc & Hartmann, Stephan. 2003. Bayesian Epistem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utchvarov, Panayot. 1970. The Concept of Knowledge.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 Cohen, Stewart (1998). “Contextualist Solutions to Epistemological Problems: Skepticism, Gettier, and the Lottery”.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76 (2): 289–306. doi:10.1080/00048409812348411. 
  • Cohen, Stewart. 1999. "Contextualism, Skepticism, and Reasons", in Tomberlin 1999.
  • Dancy, Jonathan. 1991.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SBN 0-631-13622-3
  • DeRose, Keith (1992). “Contextualism and Knowledge Attributions”.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15: 213–19. 
  • DeRose, Keith. 1999. "Contextualism: An Explanation and Defense", in Greco and Sosa 1999.
  • Descartes, Rene. 1641.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 Feldman, Richard. 1999. "Contextualism and Skepticism", in Tomberlin 1999, pp. 91–114.
  • Gettier, Edmund. 1963.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Analysis, Vol. 23, pp. 121–23. Online text.
  • Greco, J. & Sosa, E. 1999. Blackwell Guide to Epistemology, Blackwell Publishing.
  • Harris, Errol E. 1970. Hypothesis And Perception, George Allen and Unwin, London, Reprinted 2002 Routledge, London.
  • Harwood, Sterling (1989). “Taking Skepticism Seriously – And In Context”.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12 (3): 223–233. doi:10.1111/j.1467-9205.1989.tb00275.x. 
  • Hay, Clare. 2008. The Theory of Knowledge: A Coursebook, The Lutterworth Press, Cambridge. ISBN 978-0-7188-3088-5
  • Hawthorne, John. 2005. "The Case for Closure", Contemporary Debates in Epistemology, Peter Sosa and Matthias Steup (ed.): 26–43.
  • Hendricks, Vincent F. 2006. Mainstream and Formal Epistem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Kant, Immanuel. 1781. Critique of Pure Reason.
  • Keeton, Morris T. 1962. "Empiricism", in Dictionary of Philosophy, Dagobert D. Runes (ed.), Littlefield, Adams, and Company, Totowa, NJ, pp. 89–90.
  • Kierkegaard, Søren. 1844. Philosophical Fragments.
  • Kirkham, Richard. 1984. "Does the Gettier Problem Rest on a Mistake?" Mind, 93.
  • Klein, Peter. 1981. Certainty: a Refutation of Skepticism,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Kyburg, H.E. 1961. Probability and the Logic of Rational Belief,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 Korzybski, Alfred. 1994 (1933). Science and Sanity: An Introduction to Non-Aristotelian Systems and General Semantics, Fifth Edition. Ft. Worth, TX: Institute of General Semantics.
  • Lewis, David (1996). “Elusive Knowledge”. 《Australian Journal of Philosophy》 74 (4): 549–67. doi:10.1080/00048409612347521. 
  • Morin, Edgar. 1986. La Méthode, Tome 3, La Connaissance de la connaissance (Method, 3rd volume : The knowledge of knowledge)
  • Morton, Adam. 2002. A Guide Through the Theory of Knowledge (Third Edition) Oxford: Blackwell Publishing. ISBN 1-4051-0012-5
  • Nelson, Quee. 2007. The Slightest Philosophy, Indianapolis, IN: Dog Ear Publishing, 296 pages.
  • Niiniluoto, Ilkka. 2002. Critical Scientific Realism, Oxford: Oxford Univ. Press.
  • Plato. Meno.
  • Popper, Karl R. 1972.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Oxford: Oxford Univ. Press.
  • Preyer, G./Siebelt, F./Ulfig, A. 1994. Language, Mind and Epistemology,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 Rand, Ayn. 1979. Introduction to Objectivist Epistemology, New York: Meridian.
  • Russell, Bertrand. 1912. The Problems of Philosoph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Russell, Bertrand. 1940. An Inquiry into Meaning and Truth, Nottingham: Spokesman Books.
  • Santayana, George. 1923. Scepticism and Animal Faith,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 London: Constable and Co.
  • Spir, African. 1877. Denken und Wirklichkeit: Versuch einer Erneuerung der kritischen Philosophie (Thought and Reality: Attempt at a Renewal of Critical Philosophy), (Second Edition) Leipzig: J. G. Findel.
  • Schiffer, Stephen (1996). “Contextualist Solutions to Skepticism”.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96: 317–33. 
  • Steup, Matthias. 2005. "Knowledge and Skepticism", Contemporary Debates in Epistemology, Peter Sosa and Matthias Steup (eds.): 1–13.
  • Tomberlin, James (ed.). 1999. Philosophical Perspectives 13, Epistemology, Blackwell Publishing.
  • Turri, John (2016). 《Knowledge and the Norm of Assertion: An Essay in Philosophical Science. Cambridge: Open Book Publishers》. 
  • Wittgenstein, Ludwig. 1922.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Frank P. Ramsey and C.K. Ogden (trns.), Dover. Online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