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리스어역사
(그리스 문자)
원시 그리스어 (기원전 2000년경)
미케네어 (기원전 1600~1100년경)
고대 그리스어 (기원전 800~300년경)
고대 그리스어 방언:
아이올리아, 아르카디아,
아티케-이오니아,
도리아, 팜필리아; 호메로스.
고대 마케도니아어.
코이네 그리스어 (기원전 300년경~)
중세 그리스어 (기원전 330년경~1453년)
현대 그리스어 (1453년~)
그리스어 방언:
카파도키아, 크리티, 키프로스,
민중 그리스어, 그리코어, 카타레부사,
폰토스, 차코니아, 예반
v  d  e  h

그리스어네덜란드인문학자이자 신약성서 번역자인 에라스무스를 기점으로 고대 그리스어(Ἑλληνικὴ γλῶσσα)와 현대 그리스어로 나눈다. 고대 그리스어는 악센트방점을 찍으며, 글자의 음가와 문법, 단어 의미, 사용방법이 현대 그리스어와 다르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스스로를 "헬라스"인(고대 그리스어: Έλλας 헬라스[*])이라 불렀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어를 헬라스어 또는 헬라어라고도 하며, 헬라어의 한자 음역인 희랍어(希臘語)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어권에서는 신약성서를 쓴 언어를 '헬라어'라고 하는데 코이네 그리스어의 약칭으로 사용된다. 엄밀하게 말하면 기원전 300년에서 기원후 300년까지 헬레니즘 사회가 구축되어 헬레니즘 권역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인 일반적 헬라어였던 코이네 헬라어를 지칭한다.

방언[편집]

고대 그리스어는 표준어가 없는 다원적인 언어로, 여러 방언으로 나눠진다.

주요 방언 집단으로는 아티케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아르카디아-퀴프로스 그리스어도리아 그리스어가 있으며 이들 방언 가운데 대부분은 다시 세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몇몇 방언들은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볼 수 있듯이 표준화된 문어체를 갖고 있는 반면, 다른 방언들은 오직 비문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어는 역사적인 변천을 보이는데, 호메로스 그리스어는 고졸기 그리스어의 문어체이며 이오니아와 아이올리스 방언에서 주로 기원하였고 호메로스서사시, 일리아스오디세이아 뿐만 아니라 후의 다른 작가들이 쓴 시에서도 사용되었다. 호메로스 그리스어는 고전 아티카 방언이나 다른 고전시 방언과는 문법과 발음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

역사[편집]

고대 그리스어

그리스어파 언어들의 발전 과정과 초기 형태, 기원은 잘 파악되지 않고 있는데, 그 당시에 쓰인 흔적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리스어파 방언 집단이 아마도 과거에 널리 쓰였을 원시인구어와 고전 시대의 초창기 그리스어 구어(口語)를 기점으로 존재했다는 몇몇 가설들이 있다. 이 시기에 존재했다고 입증된 유일한 방언[note 1]미케네 그리스어이지만, 이 방언과 다른 역사적 방언들, 당대 역사적 상황과의 관계는 전반적인 방언 집단들이 그 당시부터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대 그리스어 음소 알람[편집]

자음[편집]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μ
m
ν
n
γ
(ŋ)
파열음 유성음 β
b
δ
d
γ
ɡ
무성음 π
p
τ
t
κ
k
기식음 φ
θ
χ
마찰음 σ
s
h
전동음 ρ
r
측음 λ
l

[ŋ] occurred as an allophone of /n/ that was used before velars and as an allophone of /ɡ/ before nasals. /r/ was probably voiceless when word-initial (written ). /s/ was assimilated to [z] before voiced consonants.

모음[편집]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비원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ι
i
υ
y
중고모음 ε ει
e
ο ου
o
중저모음 η
ɛː
ω
ɔː
저모음 α
a

/oː/ raised to [uː], probably by the 4th century BCE.

저작[편집]

각주[편집]

  1. Imprecisely attested and somewhat reconstructive due to its being written in an ill-fitting syllabary (Linear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