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음
조음 방법 |
---|
장애음 |
파열음 |
불파음 |
마찰음 |
파찰음 |
치찰음 |
공명음 |
비강음 |
탄음 |
전동음 |
유음 |
접근음 |
홀소리 |
반모음 |
공명강 |
구강음 |
비강음 |
비모음 |
기류의 방향 |
설측음 |
치측음 |
중설음 |
기류의 근원 |
폐장기류음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흡착음 |
방출음 |
내파음 |
성대의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기식 |
유기음 |
무기음 |
긴장도 |
연음 |
경음 |
조음 위치 |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다. 대기음(帶氣音)이라고도 하며,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특히 거센소리라고 한다.
한국어에서 ㄱ, ㄷ, ㅂ, ㅈ에 대해 ㅋ, ㅌ, ㅍ, ㅊ이 거센 소리이다. 손을 입 앞에 대거나 종이를 입 앞에 대고 발음해 보면 이를 느낄 수 있다. 국제 음성 기호로 유기음은 ʰ로 표기한다. ㄱ, ㄷ, ㅂ를 /k/, /t/, /p/로 표기하므로 ㅋ, ㅌ, ㅍ은 /kʰ/, /tʰ/, /pʰ/로 표기한다.
한국어를 비롯해서 중국어, 힌두어, 아이슬란드어, 태국어, 고대 그리스어,크메르어, 압하지야어, 조지아어가 /t/와 /tʰ/를 다른 음소로 구분한다. 알레만 독일어에서도 /p t k/와 /pʰ tʰ kʰ/가 구분되는데, 후자는 보통 자음군으로 분류된다.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앞이 유기음화한 닿소리 /ʰp ʰt ʰk/가 있다.
유기음만 존재하는 언어로는 영어, 독일어 등이 있다. 영어와 독일어에는 유기음과 유성음만 존재.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